《說文》 手也。象形。三指者,手之列多略不過三也。
o 손(right hand)을 가리킨다.
o 상형문자이다.
o 오른손을 상형한다.
0 세 손가락(三指)을 강조하고 있고, 손가락으로 많다고 할 때에는 대략 셋을 넘지 아니한다는 의미이다.
o 右 오른쪽 우의 본자(本字)이다.
o 又 또 우(again)로도 쓰고, 再 [zài] 두 재, 復(复) [bô] 다시 부와 같은 의미이다.
o 又 오른손 우는 손(手)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상형문자이고, 손과 관련이 있는 글자로 攴 칠복, 殳 몽둥이 수는 손에 무기를 들고 있는 모양이고, 廾 두 손으로 받들 공은 양손을 들어 받치는 모양이고, 寸 마디 촌은 손목으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내며, 爪 손톱 조는 손가락이 아래를 향하고 있는 모양이다.
o 예를 들어 鄧 나라 이름 등의 간체자를 邓 나라 이름 등으로 쓰고, 戲 놀이 희의 간체자를 戏 놀이 희로 쓰는 경우와 같이, 중국에서 사용되는 간체자에서는 복잡한 글자를 대신하여 又 오른손 우를 사용하기도 한다.
o 일본에서 사용하는 신자체(新字体)에서는 攴 칠 복을 又 오른손 우로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o 부수명칭은 「또우」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また(又)라 하고, 영어로는 radical again이라 한다.
[又部]
右 오른쪽 우, 도울 우 《說文》 手口相助也。从又从口。
o 손과 입이 서로 돕다.
o 又 오른손 우를 따르고, 口 입 구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본래는 손과 입으로 다른 사람을 돕다(右助)는 의미이지만 후에 佑 도울 우(help)가 만들어져 쓰이게 된다.
o 본래 갑골문에서는 又 오른손 우(right hand)로 쓰이고, 후에 금문에서 아래에 口 입 구(mouth, speech)가 추가되고, 아마도 손으로만 돕지 않고 입으로도 도울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o 又 오른손 우를 성부로 하는 형성문자로 볼 수도 있다.
o 右는 𠂇口, 즉 𠂇 왼 좌와 口 입 구로 구성된다.
厷 팔뚝 굉, 클 굉 《說文》 臂上也。从又,从古文。
o 팔뚝(the upper-arm)이다.
o 又 오른손 우를 따르고, 고문(古文)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厷은 𠂇厶, 즉 𠂇 왼 좌와 厶 사사 사로 구성된다.
o 宏 클 굉 肱 팔 굉은 같은 글자이다.
叉 깍지 낄 차 《說文》 手指相錯也。从又,象叉之形。
o 손가락이 서로 어긋나 있다.
o 깍지를 끼다(crotch, fork, prong).
o 又 오른손 우를 따르고, 포크(fork)를 상형한다.
㕚 손톱 조 《說文》 手足甲也。从又,象㕚形。
o 손가락이나 발가락의 끝을 덮고 있는 껍질, 즉 발톱과 손톱을 가리킨다.
o 又 우른손 우를 따르고, 손톱의 모양을 상형한다.
o 爪 손톱 조의 고자(古字)이다.
父 아버지 부, 아비 부, 자 보 《說文》 矩也。家長率教者。从又舉杖。
o 크다.
o 가장은 거느리며 가르치는 사람이다.
o 아버지(father, Vater), 아비를 가리킨다.
o 회초리를 들고 있는 又 오른손 우를 따른다
o 회초리는 아버지의 위엄을 나타내고, 자식을 엄하게 훈육한다는 의미이다.
o 금문에서는 손에 돌도끼(石斧)를 든 모양(a hand holding a stone axe)을 상형한다고 보기도 하고, 아버지는 가족을 위하여 도끼를 들고 일을 하는 사람(a man working with a axe)이라는 의미이다.
o 현재 중국에서는 아빠 혹은 아버지를 가리키는 단어로 파파(爸爸 bàba)를 쓰고, 爸 아버지 파, 아비 파라고 한다.
o 父는 八乂, 즉 八 여덟 팔과 乂 벨 예로 구성된다.
o 父는 八乀丿, 즉 八 여덟 팔과 乀 파임 불, 丿 삐침 별로 구성된다고 볼 수도 있다.
o 乂 벨 예와 비슷하여 혼동하기 쉬우나, 다른 글자이다.
o 설문해자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우부(又部)에 속한다고 보나, 강희자전에서는 부수(4획)에 해당하고, 부수명칭은 「아비부」라고 한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ちち(父)라 하고, 중국에서는 부자두(父字頭)라 하며, 영어로는 radical father라 한다.
o 강희자전에서 부부(父部)에 속하는 한자는 많지 않으나, 爷 아버지 야, 아비 야 爸 아버지 파, 아비 파 㸖 김치 담글 저 爹 아버지 다, 아비 다 㸗 의붓아버지 동 㸘 일 만 만 爺 아버지 야, 아비 야 㸙 아버지 차, 아비 차, 아버지 자, 아비 자가 父(아비부)가 부수로 들어간 글자이다.
o 養不教, 父之過(양불교, 부지과)는 배불리 먹이기만 하고 가르치지 아니하면 부모의 과오이다(It is wrong for a father to only feed but not teach his child)는 의미이다.
《三字經》 養不教,父之過。教不嚴,師之惰。
《삼자경》 양불교,부지과。교불엄,사지타。
배불리 먹이기만 하고 가르치지 아니하면 부모의 과오이고, 기르치기만 하고 엄하지 아니하면 스승이 게으르다는 의미이다.
To feed without teaching is the father's fault; To teach, without severity, is the teacher's laziness.
叜 늙은이 수 《說文》 老也。从又从灾。闕。
o 늙은이를 가리킨다.
o 又 오른손 우를 따르고, 灾 재앙 재를 따른다.
o 갑골문을 보면 집 안에서 손에 등불을 들고 있는 모양을 나타낸다.
o 회의문자이다.
o 미상이다.
燮 불꽃 섭 《說文》 和也。从言从又、炎。籒文𤎬从𢆉。𢆉,音飪。讀若溼。
曼 길게 끌 만 《說文》 引也。从又冒聲。
o 끌다(long-draw-out distant).
o 又 오른손 우를 따르고, 冒 무릅쓸 모는 따른다.
o 형성문자이다.
o 㗈 길게 끌 만 㬅 길게 끌 만은 같은 글자이다.
𠭙 펼 신 《說文》 引也。从又𢑚聲。𢑚,古文申。
夬 터놓을 쾌, 쾌괘 쾌, 깍지 결 《說文》 分決也。从又,纡象決形。
o 나누어 정하다.
o 又 오른 손 우를 따르고, 위에 있는 부분은 정하는 모양을 상형한다.
o コ는 물건이고, 세로로 놓인 丨 뚫을 곤은 물건을 나누어 정한다는 의미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손에 나눈 물건을 들고 있는 모양을 나타낸다.
尹 다스릴 윤, 성씨 윤 《說文》 治也。从又、丿,握事者也。
o 다스리다(govern).
o 又 오른손 우, 丿 삐침 별을 따르고, 일을 담당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o 회의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좌측에 있는 종선(縱線 丨)은 붓을 상형하며, 우측에는 손을 나타내는 又 오른손 우가 있으므로, 손으로 붓을 잡고 정사(政事)를 처리한다(administer)는 의미이다.
𠭯 취할 사 《說文》 又卑也。从又虘聲。
𠭰 이끌 이 《說文》 引也。从又𠩺聲。
㕞 닦을 쇄, 청소할 쇄 《說文》 拭也。从又持巾在尸下。
o 닦다.
o 尸 지게 호 아래에 있는 巾 수건 건을 손에 들고 있는 모양을 따른다.
o 손에 청소도구를 들고 닦거나 쓸고 있다는 의미이다.
o 刷 닦을 쇄는 같은 글자이다.
及 미칠 급 《說文》 逮也。从又从人。
o 미치다(reach).
o 又 오른손 우를 따르고, 人 사람 인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뒤로부터 따라온 사람이 앞에 있는 사람(人)을 손(手)으로 붙잡고 있는 모양(overtake, catch up with)이다.
秉 잡을 병 《說文》 禾束也。从又持禾。
o 볏단(a bundle of crops)이다.
o 손(手 又)으로 벼(禾)를 잡고 있는 모양을 따른다.
o 又 오른손 우를 따르고, 禾 벼 화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秉 잡을 병은 한 개의 벼를 잡고 있는 모양이고, 兼 겸할 겸은 두 개의 벼를 잡고 있는 모양이다.
反 돌이킬 반, 돌아올 반, 어려울 번, 삼갈 판 《說文》 覆也。从又,厂反形。
o 뒤집히다.
o 又 오른손 우, 厂 기슭 엄을 따르고, 뒤집는 모양이다.
o 상형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벼랑( 厂)을 한 손(手 又)으로 잡고 올라가는 모양을 나타내고, 어렵다, 곤란하다는 의미이다.
𠬝 다스릴 복 《說文》 治也。从又从卪。卪,事之節也。
o 다스리다.
o 又 오른손 우를 따르고, 卪 병부 절을 따른다.
o 卪 병부 절은 일를 처리하는 예절이나 규칙, 제도를 가리킨다.
o 회의문자이다.
𠬢 미끄러울 도 《說文》 滑也。《詩》云 : 𠬢兮達兮。从又、屮。一曰取也。
𠭥 점칠 체 《說文》 楚人謂卜問吉凶曰𠭥。从又持祟,祟亦聲。讀若贅。
叔 아저씨 숙, 콩 숙 《說文》 拾也。从又尗聲。汝南名收芌為叔。
o 줍다(pick up).
o 又 오른손 우를 따르고, 尗 아저씨 숙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여남(汝南)에서는 토란을 거두는 경우를 칭하여 叔 흩어져 있는 토란을 주울 숙이라 한다.
o 尗 아저씨 숙, 콩 숙은 같은 글자이다.
𠬸 가라앉을 몰 《說文》 入水有所取也。从又在囘下。囘,古文回。回,淵水也。讀若沫。
取 취할 취, 가질 취 《說文》 捕取也。从又从耳。《周禮》 : 獲者取左耳。《司馬法》曰 : 載獻聝。聝者,耳也。
o 잡아 취하다.
o 又 오른손 우를 따르고, 耳 귀 이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왼쪽에 귀가 있고, 오른쪽에 손이 있으므로, 오른손으로 왼귀를 잡아 베는 모양을 나타낸다.
o 《주례》에서 이르기를 획자취좌이(獲者取左耳)라고 한다.
o 《사마법》(司馬法)에서 이르기를 재헌괵(載獻聝)이라 한다.
o 聝 귀 괵, 귀 벨 괵은 바로 귀(耳)를 가리킨다.
彗 비 혜, 살별 혜, 살별 수, 살별 세 《說文》 掃竹也。从又持甡。
o 죽비, 즉 대나무로 만든 빗자루를 가리킨다.
o 설문해자는 위에 甡 모이는 모양 신이 있고, 아래에 손을 가리키는 又 오른손 우가 있으므로, 손으로 甡 모이는 모양 신을 잡고 있는 모양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갑골문을 보면 빗자루(broom)를 상형하고, 상형문자이다.
o 蔧 풀비 혜는 같은 글자이다.
o 篲 살별 수, 살별 혜는 같은 글자이다.
叚 빌 가 《說文》 借也。闕。
o 빌리다.
o 설문해자는 미상이라고 한다.
o 금문을 보면 바위나 벼랑을 나타내는 厂 기슭 엄, 그 안에 가공하지 않은 옥(玉)을 가리키는 二 두 이가 있으므로, 바위에서 옥을 가려내는 모양을 나타낸다.
o 금문에서는 손에 도구를 들고 바위에서 옥을 캐는 모양을 나타내기도 한다.
友 벗 우 《說文》 同志為友。从二又。相交友也。
o 서로 뜻이 맞는 사람을 友 벗 우라 한다.
o 두 개의 又 오른손 우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서로 벗으로 사귄다는 의미이다.
o 두 손이 서로 같은 방향을 향하고 있는 모양을 상형하고, 가까운 친구끼리 손을 잡고 사이좋게 지낸다는 의미이다.
o 㕛 [yǒu] 벗 우도 같은 글자이다.
o 현재 사용되는 友는 𠂇又, 즉 𠂇 왼손 좌와 又 오른손 우로 구성되므로, 좌우의 두 손처럼 가깝고, 서로 돕고 의지한다는 의미이다.
o 朋 벗 붕과 같은 의미이고, 다만 학교나 같은 스승에게 배운 동문(同門 classmate)을 朋 벗 붕이라 하고, 같은 흥취(興趣)나 지향(志向)을 가진 동지(同志)를 友 벗 우라 한다.
《禮記》 同門曰朋,同志曰友。
《예기》 동문왈붕,동지왈우。
o 《논어 학이》에서 공자는 유붕자원방래, 불역락호(有朋自遠方来, 不亦樂乎), 즉 동문수학한 벗이 멀리서 찾아오니 아주 즐겁다고 한다.
《論語 學而》 子曰 :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 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
《논어 학이》 자왈 :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유붕자원방래, 불역락호? 인부지이부온, 불역군자호?
배우고 늘 익히니 정말 기쁘지 않은가? 벗이 멀리서 찾아오니 역시 즐겁지 않은가? 남이 알아주지 않아도 원망하지 않으니 역시 군자(君子)가 아닌가?
The Master said, “Is it not pleasant to learn with a constant perseverance and application? Is it not delightful to have friends coming from distant quarters? Is he not a man of complete virtue, who feels no discomposure though men may take no note of him?“
o 현재 중국에서는 벗이나 친구(friend, companion, fraternity, Freund)를 의미하는 단어로 朋 벗 붕과 友 벗 우를 합하여 붕우(朋友)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o 《논어 학이》에서 증자는 매일 자신을 세 번 반성하며, 여붕우교이불신호(與朋友交而不信乎), 즉 벗과 사귀면서는 믿음이 있는지를 반성한다고 한다.
《論語 學而》 曾子曰 吾日三省吾身: 爲人謀而不忠乎? 與朋友交而不信乎? 傳不習乎?
《논어 학이》 증자왈 오일삼성오신: 위인모이불충호? 여붕우교이불신호? 전불습호?
증자가 이르기를 매일 자신을 세 번 반성하여야 한다 : 남을 위하여 일을 할 때에 진심갈력(尽心竭力)하고 있는지? 벗과 사귀면서는 성실하며 신뢰를 주고 있는지? 스승으로부터 받은 학업을 익히며 실천하고 있는지?
The philosopher Zeng said, "I daily examine myself on three points: whether, in transacting business for others, I may have been not faithful; whether, in intercourse with friends, I may have been not sincere; whether I may have not mastered and practiced the instructions of my teacher.“
度 법도 도, 헤아릴 탁, 살 택 《說文》 法制也。从又,庶省聲。
o 법률과 제도(law, rule)이다.
o 又 오른손 우를 따르고, 庶 여러 서의 생략형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본래는 손(又)을 이용하여 길이나 부피를 재어 사물의 크기나 양을 헤아린다(linear measure)는 의미이다.
[又(또우)가 부수로 사용된 한자]
叉 갈래 차, 작살 차 及 미칠 급 友 벗 우 双 두 쌍, 쌍 쌍 反 돌이킬 반, 돌아올 반, 어려울 번, 삼갈 판 収 거둘 수 叏 터놓을 쾌, 쾌괘 쾌, 깍지 결 叐 달릴 발 发 터럭 발, 필 발 叒 땅 이름 약 叓 일 사 叔 아저씨 숙, 콩 숙 叕 연할 철 取 가질 취 受 받을 수 变 변할 변 叙 펼 서, 차례 서 叚 빌릴 가, 성씨 하, 층계 단 叛 배반할 반 叜 늙은이 수 叝 삼가 고할 고 叞 벼슬 위, 위로할 위, 다리미 울 叟 늙은이 수 叠 거듭 첩, 겹쳐질 첩 叡 밝을 예 叢 떨기 총, 모일 총
[English] yòu
right hand
also / again
in addition to
and
moreover / furthermore
[유사한자] 又叉攵文𠬠
又 또 우
叉 갈래 차, 작살 차, 비녀 채 《說文》 手指相錯也。从又,象叉之形。
攵 칠 복
文 글월 문
𠬠 미상
[疊字] 又双㕛叒叕
又 [yòu] 또 우 again, at the same time
双(雙) [shuāng] 쌍 쌍 《說文》 隹二枚也。从雔,又持之。double, twin, dual / pair / two bir
㕛 [yǒu] 벗 우 《玉篇》 古文友字。《說文》 从二手相交。friend, mate, company
叒 [ruò] 따를 약, 땅 이름 약, 나무 이름 약 《說文》 日初出東方湯谷,所登榑桑,叒木也。象形。
叕 [zhuó] 연할 철 《說文》 缀联也。象形。
[참고] 叒(땅 이름 약)이 들어간 글자
叠 거듭 첩, 겹쳐질 첩
顙 이마 상
桑 [sāng] 뽕나무 상 《說文》 蠶所食葉木。从叒、木。mulberry
o 누에(蠶)가 그 잎을 먹는 나무이다.
o 상형문자이다.
o 叒 땅 이름 약과 木 나무 목을 따른다.
o 桑田碧海(상전벽해)는 뽕나무 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의미로 세상이 몰라볼 정도로 덧없이 빠르게 바뀐 경우를 비유적으로 가리키는 표현이다.
[참고] 叕(연할 철)이 들어간 글자
綴 [zhuì] 꽤맬 철 《礼记 内则》 衣裳绽裂,纫箴请补缀。
啜 [chuò] 마실 철
掇 [duō] 주울 철
輟 [chuò] 그칠 철
裰 [duō] 기울 철, 기울 탈
剟 [duō] 깍을 철
涰 [chuò] 먹을 철
娺 [zhuó] 빠르고 용맹스러울 촬
毲 [duō] 모직물 탈
欼 [chǐ] 씹을 치, 산적 한 입에 넣을 최
棳 [zhuō] 몽치 절
敠(敪) [duō] 무게 달 철
腏 [zhuì] 살 바를 철
畷 [zhuì] 밭두둑길 철
窡 [zhuó] 나타날 촬
蝃 [dì] 무지게 체, 거미 철
諁 [zhuó] 수다할 철
醊 [zhuì] 제사 이름 철
錣 [zhuì] 물미 철
鵽 [duò] 사막새 탈
o 사막에 사는 새를 鵽鳩(탈구)라 한다.
o 寇雉(구치) 혹은 泆泆(일일)이라고도 한다.
䄌 [zhuì] 제사 이름 철
䍳 [chuò] 양의 질병 결
䝌 [jué] 돼지 결
䞵 [juě] 거꾸러질 철
䟾 [juě] 뛸 철
䦤 [chuài] 곡신 이름 쵀
䮕 [chuò] 별박이 철
'第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78. 史 역사 사 (0) | 2021.06.26 |
---|---|
77. 𠂇 왼손 좌 (0) | 2021.06.23 |
75. 鬥 싸울 투, 싸울 두 (0) | 2021.06.23 |
74. 丮 잡을 극 (0) | 2021.06.22 |
73. 爪 손톱 조 (0) | 2021.06.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