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마는 말이 아니다.
「궤변」을 비유적으로 가리키는 표현이다.
공손룡이 《공손룡자 견백론》(公孫龍子 堅白論)에서 말한 堅白石二(견백석이), 즉 "단단하고 흰 돌은 하나가 아니고 둘이다"는 주장도 역시 「궤변」을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표현이다.
《公孫龍子 堅白論》 堅、白、石、三,可乎?
曰:不可。
曰:二可乎?
曰:可。
曰:何哉?
曰:無堅得白,其舉也二;無白得堅,其舉也二。
《공손룡자 견백론》 견、백、석、삼,가호?
왈:불가。
왈:이가호?
왈:가。
왈:하재?
왈:무견득백,기거야이;무백득견,기거야이。
《순자 정명》(荀子 正名), 《묵자 소취》(墨子 小取)에서는 殺盜非殺人(살도비살인), 즉 "도둑을 죽이는 행위는 사람을 죽이는 행위가 아니다"고 한다.
《墨子 小取》 盜人,人也; 多盜,非多人也; 無盜,非無人也。奚以明之: 惡多盜,非惡多人也; 欲無盜,非欲無人也。世相與共是之,若若是,則雖盜人,人也; 愛盜,非愛人也; 不愛盜,非不愛人也; 殺盜人,非殺人也。
《묵자 소취》 도인,인야; 다도,비다인야; 무도,비무인야。해이명지: 악다도,비악다인야; 욕무도,비욕무인야。세상여공시지,약약시,칙수도인,인야; 애도,비애인야; 불애도,비불애인야; 살도인,비살인야。무난도,무난의。
도둑은 사람이다. 도둑이 많다고 하여 사람이 많지는 않다. 도둑이 없다고 하여 사람이 없지는 않다. 어찌 증명할 수 있는가? 많은 도둑을 싫어한다고 하여 많은 사람을 싫어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도둑이 없기를 바란다고 하여 사람이 없기를 바란다는 의미는 아니다. 세상이 모두 옳다고 하고, 만약 옳다고 하면 곧 도둑은 사람이기는 하다. 그러나 도둑을 좋아한다고 하여 사람을 좋아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도둑을 좋아하지 아니한다고 하여 사람을 좋아하지 아니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도둑을 죽인다고 하여 사람을 죽인다는 의미는 아니다.
烏鴉悖論(오아패론), 즉 까마귀의 역설(The raven paradox, also known as Hempel's paradox, Hempel's ravens)도 같은 의미이다.
A white horse is not a horse.
sophism
sophistry
paradox
false syllogism
sophistry paradoxes
《公孫龍子 白馬論》 馬者,所以命形也;白者,所以命色也。命色者非命形也。故曰:白馬非馬。
《공손룡자 백마론》 마자,소이명형야;백자,소이명색야。명색자비명형야。고왈:"백마비마。"
"Horse" is how the shape is named; "white" is how the color is named. That which names color does not name shape. Thus I say: "a white horse is not a horse."
말(馬)는 형상(形狀)을 가리키며, 흰색(白)은 색깔을 가리킨다. 색깔은 형상이 아니다. 그러므로 흰말은 말이 아니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有其父必有其子(유기부필유기자) (0) | 2023.03.04 |
---|---|
對牛彈琴(대우탄금) (1) | 2023.03.03 |
皮之不存, 毛將焉附(피지부존, 모장언부) (0) | 2023.03.01 |
竹籃打水(죽람타수) (0) | 2023.03.01 |
竹馬故友(죽마고우) (0) | 2023.0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