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물 안 개구리"를 가리킨다.
식견이 좁거나 편견에 사로잡혀 세상이 넓은 줄을 모르는 사람을 사리킨다.
궁벽한 곳에서만 살아서 넓은 세상의 물정을 모르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일컫는 표현이다.
한국속담에서는 "우물 안 개구리 바다 넓은 줄 모른다"고도 한다.
坐井觀天(좌정관천)이라고도 한다.
井蛙不可以語於海(정와불가이어어해)라고도 한다.
夏蟲不可以語氷(하충불가이어빙), 즉 "여름에 사는 벌레에게는 얼음을 설명할 수 없다"도 같은 의미로 쓴다.
《장자》(莊子)에서는 朝菌不知晦朔, 蟪蛄不知春秋(조균부지회삭, 혜고부지춘추), 즉 "아침에 잠깐 돋아나는 버섯은 그믐과 초하루를 알지 못하고, 쓰르라미와 여치와 같이 여름에 사는 벌레는 봄과 가을을 알지 못한다"(혹은 "아침버섯은 하루를 알지 못하고, 여름벌레는 일 년을 알지 못한다")고 한다.
《莊子 逍遥游》 小知不及大知,小年不及大年。奚以知其然也? 朝菌不知晦朔,蟪蛄不知春秋。
《장자 소요유》 소지불급대지,소년불급대년。해이지기연야? 조균부지회삭,혜고부지춘추。
The knowledge of that which is small does not reach to that which is great; the experience of a few years does not reach to that of many. How do we know that it is so? The mushroom of a morning does not know what takes place between the beginning and end of a month; the short-lived cicada does not know what takes place between the spring and autumn.
작은 지식으로는 큰 지식에 미칠 수 없다. 경험이 적은 사람은 경험이 많은 사람을 따라갈 수 없다. 이치를 어찌 알 수 있는가? 아침에 피는 버섯은 그믐과 초하루를 알지 못하고, 여름에 사는 벌레는 봄과 가을을 알지 못한다.
一孔之見(일공지견)은 같은 표현이다.
管中窺豹(관중규표), 즉 "대롱 속으로 표범을 엿보다"도 같은 표현이다.
한국속담에서는 "바늘구멍으로 하늘 보기", "댓구멍으로 하늘 보기"라고 하고, 견문(見聞)이나 견식이 좁아 세상의 형편을 잘 모르는 사람을 가리킨다.
a frog in the well
a frog at the bottom of a well
a frog living at the bottom of a well
The frog in the well can only see a small part of the sky through the opening.
The frog at the bottom of the well can only see a piece of sky as big as the head of the well.
A frog in a well cannot be talked with about an ocean.
An insect of the summer cannot be talked with about ice.
a person of narrow view
a person of very limited outlook and experience
a person with limited vision
people with narrow knowledge
a babe in the woods
《莊子 秋水》 井蛙不可以語於海者,拘於虛也。夏蟲不可以語氷,篤於時也。
《장자 추수》 정와불가이어어해자,구어허야。하충불가이어빙,독어시야。
A frog in a well cannot be talked with about an ocean - it is confined to its own narrow place. An insect of the summer cannot be talked with about ice - it knows nothing beyond its own season.
자기가 살고 있는 우물만 알고 있는 우물 안 개구리에게는 바다에 대하여 설명할 수 없고, 여름 밖에 모르는 여름벌레에게는 얼음에 대하여 설명할 수 없다.
《韓愈 原道》 坐井而觀天,所謂天小者,非天小也。
《한유 원도》 좌정이관천,소위천소자,비천소야。
우물 속에 앉아서 하늘을 보면서 하늘이 작다고 하는 원인은 하늘이 작아서가 아니다.
《尸子》 自井中視星,所見不過數星。
《시자》 자정중시성,소견불과수성。
우물 안에서 별을 보면 보이는 별은 몇 개밖에 안 된다.
[成語故事]
有一只青蛙长年住在一口枯井里。它对自己生活的小天地满意极了,一有机会就要当众吹嘘一番。有一天,它吃饱了饭,蹲在井栏上正闲得无聊,忽然看见不远处有一只大海鳖在散步。青蛙赶紧扯开嗓门喊了起来: "喂,海鳖兄,请过来,快请过来。" 海鳖爬到枯井旁边。青蛙立刻打开了话匣子: "今天算你运气了,我让你开开眼界,参观一下我的居室。那简直是一座天堂。你大概从来也没有见过这样宽敞的住所吧。"
海鳖探头往井里瞅瞅,只见浅浅的井底积了一摊长满绿苔的泥水,还闻到一股扑鼻的臭味。海鳖皱了皱眉头,赶紧缩回了脑袋。青蛙根本没有注意海鳖的表情,挺着大肚子继续吹嘘: "住在这儿,我舒服极了。傍晚可以跳到井栏上乘凉;深夜可以钻到井壁的窟窿里睡觉;泡在水里,让水浸着两腋,托住面颊,可以游泳;跳到泥里,让泥盖没脚背,埋住四足,可以打滚。那些小虫子、螃蟹、蝌蚪什么的,哪一个能比得上我呢。" 青蛙唾沫星儿四溅,越说越得意: "瞧,这一坑水,这一口井,都属我一个人所有,我爱怎么样就怎么样。这样的乐趣可以算到顶了吧。海鳖兄,你不想进去观光观光吗。"
海鳖感到盛情难却,便爬向井口,可是左腿还没能全部伸进去,右腿的就被井栏卡住了。海鳖只能退了回来,青蛙摇摆头。海鳖说: "大海水天茫茫,无边无际。用千里不能形容它的辽阔,用万丈不能表明它的深度。传说四千多年以前,大禹做国君的时候,十年九涝,海水没有加深;三千多年以前,商汤统治的年代,八年七旱,海水也不见减少。海是这样大,以至时间的长短、旱涝的变化都不能使它的水量发生明显的变化。青蛙弟,我就生活在大海中。你看,比起你这一眼枯井、一坑浅水来,哪个天地更开阔,哪个乐趣更大呢。" 青蛙听傻了,鼓着眼睛,半天合不拢嘴。
[성어고사]
유일지청와장년주재일구고정리。타대자기생활적소천지만의겁료,일유궤회취요당중취허일번。유일천,타흘포료반,준재정란상정한득무료,홀연간견불원처유일지대해별재산보。청와간긴차개상문함료기래: "위,해별형,청과래,쾌청과래。" 해별파도고정방변。청와입각타개료화갑자: "금천산니운기료,아양니개개안계,참관일하아적거실。나간직시일좌천당。이대개종래야몰유견과저양관창적주소파。"
해별탐두왕정리추추,지견천천적정저적료일탄장만록태적니수,환문도일고복비적취미。해별추료추미두,간긴축회료뇌대。청와근본몰유주의해별적표정,정착대두자계속취허: "주재저인,아서복겁료。방만가이도도정란상승량;심야가이첩도정벽적굴륭리수각;포재수리,양수침착량액,탁주면협,가이유영;도도니리,양니개몰각배,매주사족,가이타곤。나사소충자、방해、과두십요적,나일개능비득상아니。" 청와타말성인사천,월설월득의: "초,저일갱수,저일구정,도속아일개인소유,아애즘요양취즘요양。저양적악취가이산도정료파。해별형,니불상진거관광관광마。"
해별감도성정난각,편파향정구,가시좌퇴환몰능전부신진거,우퇴적취피정란잡주료。해별지능퇴료회래,청와요파두。해별설: "대해수천망망,무변무제。용천리불능형용타적료활,용만장불능표명타적심도。전설사천다년이전,대우주국군적시후,십년구로,해수몰유가심;삼천다년이전,상탕통치적년대,팔년칠한,해수야불견감소。해시저양대,이지시간적장단、한로적변화도불능사타적수량발생명현적변화。청와제,아취생활재대해중。이간,비기니저일안고정、일갱천수래,나개천지경개활,나개악취경대니。" 청와은사료,고착안정,반천합불롱취。
Once there was a frog who lived in a deep well. He spent all his days in this small space, never venturing out into the wider world. The frog was content with his life and believed that his well was the biggest and best in all the land.
One day, a frog from a nearby pond came to visit him. The visitor saw the well and exclaimed, "Wow, this is such a small space! You must be so bored living here."
The well frog replied, "No way, this is the best place to live! I have everything I need, and it's safe and comfortable."
The visitor shook his head, "You don't know what you're missing out on! Beyond the walls of your well lies a vast pond, filled with food and adventure. Come see it for yourself!"
But the well frog refused, "Why would I leave what I know and love for something unknown and uncertain? The world beyond is dangerous and unpredictable. I'm happy here, where I belong."
And so the well frog remained in his well, never knowing the vast realm that lay beyond.
우물 안 개구리가 하늘을 본다면 하늘의 크기는 어느 정도가 될까? 아마도 우물의 구멍만한 크기가 하늘의 전부라고 생각하면서 어찌 하늘이 저토록 작을까 고민하리라고 본다.
개구리는 우물 속에 갇혀 하늘을 보면서 왜 하늘이 작다고 생각할까? 진정으로 하늘이 작아서가 아니다. 동굴의 비유(Plato's Cave)에서와 같이 다리와 목이 사슬에 묶여 동굴에 갇힌 채 늘 어두운 벽만 쳐다보고 산 사람은 불빛에 비친 다른 사람의 그림자만을 보고는 그 그림자가 사람이라고 착각하게 된다. 또한 베이컨이 지적한 동굴의 우상(Idol of Cave)처럼 사람이 스스로 판 동굴에 갇히게 되면 자연의 광명이 들어오더라도 그 광명은 미리 정하여진 주형(鑄型)대로 모양이 만들어져 인식된다. 마찬가지로 우물에 갖혀 한 세상을 산 개구리는 올바른 인식을 방해하는 우물의 우상을 통하여 바른 판단을 그르치는 편견에 사로잡혀 있으므로, 더 이상 넓은 하늘을 생각할 수 없다.
역시 우물 안 개구리가 밤하늘에 뜬 별을 보면 보이는 별은 몇 개밖에 안 된다. 밤하늘에는 무수한 별이 떠다닌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다. 밤하늘에는 무수히 많은 별이 있지만 우물 안 개구리는 불과 몇 개의 별만을 볼 수 있을 뿐이고, 그 몇 개의 별이 하늘에 떠 있는 별의 전부라고 믿는다. 우물 속에 갇힌 동안에 쌓인 단견, 편견이나 착각 때문이다.
우물이나 동굴 속에 갇혀 형성된 짧은 사고(思考)로부터 오는 착각이나 단견, 편견에 빠져 본 세상을 벗어나면, 지금까지 알고 있는 세상을 박차고 나가면 더 큰 세상을 볼 수 있다. 하늘이 저만큼 넓고, 밤하늘에는 무수히 많은 별이 저마다 반짝이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우물 안 개구리는 자기가 사는 우물만 알고, 크고 넓은 바다에 대하여는 전혀 알지 못한다(a frog in a well does not know the great ocean). 그러나 우물 안 개구리도 어느 날 과감하게 우물로부터 뛰쳐나온다면 우물보다 훨씬 넓고 큰 바다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是可忍, 孰不可忍?(시가인, 숙불가인?) (1) | 2022.12.03 |
---|---|
甘井先竭(감정선갈) (0) | 2022.12.02 |
囊中之錐(낭중지추) (0) | 2022.12.01 |
毛遂自薦(모수자천) (1) | 2022.12.01 |
上善若水(상선약수) (0) | 2022.1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