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숭이에게 도토리를 아침에는 세 개, 저녁에는 네 개 주다.
자기의 이익을 위하여 간사한 꾀로 남을 속이고 놀리다.
마음을 제멋대로 자주 바꾸다.
주견이 없이 변덕스럽다.
간교한 술수로 누구를 속이다.
three in the morning, and four in the evening
deceive using tricks
being preoccupied with immediate (superficial) differences without realizing that there are no differences in substance
change one's mind frequently
blow hot and cold
be fickle or capricious
swindle someone with trickery
《列子 黃帝》 宋有狙公者,愛狙,養之成群,能解狙之意;狙亦得公之心。損其家口,充狙之欲。俄而匱焉,將限其食。恐眾狙之不馴於己也,先誑之曰: "與若茅,朝三而暮四,足乎?" 眾狙皆起而怒。俄而曰: "與若茅,朝四而暮三,足乎?" 眾狙皆伏而喜。物之以能鄙相籠,皆猶此也。聖人以智籠群愚,亦猶狙公之以智籠眾狙也。若實不虧,使其喜怒哉!
《열자 황제》 송유저공자,애저,양지성군,능해저지의;저역득공지심。손기가구,충저지욕。아이궤언,장한기식。공중저지불순어기야,선광지왈: "여약모,조삼이모사,족호?" 중저개기이노。아이왈: "여약모,조사이모삼,족호?" 중저개복이희。물지이능비상롱,개유차야。성인이지롱군우,역유저공지이지롱중저야。약실불휴,사기희노재!
There was a man who kept monkeys as pets. While feeding chestnuts to the monkeys, he said, "I will feed you three chestnuts in the morning, and four in the evening. " The monkeys all went angry. The man later said, "How about four in the morning, and three in the evening?" The monkeys all became happy.
송(宋)나라에 사는 저공(狙公)이라는 사람이 원숭이를 키우고 있다. 저공은 원숭이를 무척 좋아할 뿐만 아니라, 원숭이의 속마음까지 알 수 있을 정도로 원숭이와 가깝게 지내고 있다. 저공은 갑자기 생활이 궁핍하게 되어 원숭이에게 주던 도토리를 줄여야 할 형편에 놓이게 된다. 처음 저공은 원숭이에게 도토리를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씩(朝三而暮四) 준다고 한다. 모든 원숭이가 버럭 성을 내며 일어나 난리를 친다. 조금 후 저공이 다시 돌아와서는 원숭이에게 도토리를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씩(朝四而暮三) 준다고 말을 바꾼다. 여러 원숭이가 일제히 엎드려 뒹굴며 기뻐 어쩔 줄 몰라한다.
《莊子 齊物論》 曰狙公賦芧,曰: "朝三而莫四。" 眾狙皆怒。曰: "然則朝四而莫三。" 眾狙皆悅。
《장자 제물론》 왈저공부서,왈: "조삼이막사。" 중저개노。왈: "연칙조사이막삼。" 중저개열。
A keeper of monkeys, in giving them out their acorns, (once) said, "In the morning I will give you three (measures) and in the evening four." This made them all angry, and he said, "Very well. In the morning I will give you four and in the evening three." The monkeys were all pleased.
저공이 원숭이에게 도토리를 주며 이른다: "도토리를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 주마." 원숭이가 모두 화를 낸다. 저공이 다시 이른다: "좋다. 도토리를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 주마." 원숭이가 모두 기뻐한다.
[단상]
아무리 지혜(지식)가 많다고 하더라도 그 지혜를 다른 사람, 특히 자기보다 못하거나 어리석은 사람을 농락하는 데 써서는 안 된다. 지혜를 많이 가진 사람이 그 지혜로 자기보다 불리한 위치에 있는 사람을 그럴듯하게 속인다면 조삼모사(朝三暮四)와 같다. 권력이나 권한을 가지고 있다고 하여 그 권력이나 권한으로 국민이나 다른 사람을 교묘하게 속여 제 마음대로 다루려고 한다면 마치 저공이 간사한 꾀로 원숭이를 속인 경우와 다르지 않다. 또한 전후에 아무런 차이도 없는 결과 사이에서 저공에게 농락당한 원숭이처럼, 일희일비(一喜一悲)하고 있지 않는지도 모두가 곰곰 생각하여야 한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海不讓水(해불양수) (0) | 2022.11.29 |
---|---|
風樹之歎(풍수지탄) (0) | 2022.11.24 |
四面楚歌(사면초가) (0) | 2022.11.21 |
三生有幸(삼생유행) (0) | 2022.11.18 |
五里霧中(오리무중) (0) | 2022.1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