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이 모두 적군의 군사로 보인다.
전투에서 패배하여 혼란에 빠진 전진(前秦)의 군대는 팔공산의 초목을 보고도 모두 진(晉)나라의 군사(又望八公山上草木, 皆以爲晉兵)로 생각하고 겁에 질려 벌벌 떨다.
겁을 먹은 사람이 하찮은 일이나 작은 소리에도 몹시 놀라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일컫는 표현이다.
속담에서는 "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고 한다.
風聲鶴唳(풍성학려 apprehend danger in every sound)도 같은 의미이다.
《晋书 谢玄传》 闻风声鹤唳,皆以为王师已至。
《진서 사현전》 문풍성학려,개이위왕사이지。
草木皆兵 風聲鶴唳(초목개병 풍성학려)라고도 쓰고, "풀과 나무가 모두 적군의 병사로 보이고, 바람소리와 학의 울림소리가 적군이 울려대는 진군의 나팔소리로 들린다"는 의미이다.
every tree or bush an enemy soldier
every bush and tree looks like an enemy
every bush harbors an enemy
When the wind blows the grass and trees, one thinks that the enemy soldiers are everywhere.
treat the vegetation on the mountain as enemy soldiers
panic and treat everyone as an enemy
be overly paranoid
be panic-stricken
feel beleaguered
extreme nervousness
《晋書 苻堅載記》 堅與苻融登城而望王師,見部陣齊整,將士精銳,又北望八公山上草木,皆類人形,顧謂融曰 : "此亦勍敵也,何謂少乎!" 憮然有懼色。
《진서 부견재기》 견여부융등성이망왕사,견부진제정,장사정예,우북망팔공산상초목,개류인형,고위융왈 : "차역경적야,하위소호!" 무연유구색。
Fu Jian and Fu Rong climbed up the citadel in Shouyang to observe the royal Jin army. Jian saw that the troops were in neat order, and the soldiers were of best quality. Then when Jian looked at the trees on Bagongshan, he thought that the trees resembled humans and was afraid that there were ambushes : "There are strong enemies there too! How can you say that Jin has only few troops?" said Jian to Rong disappointedly and worriedly.
오호십육국시대(五胡十六國時代) 전진(前秦)의 황제 부견은 중국의 북부지역을 모두 장악하고, 80만의 대군을 이끌고 동진(東晋)까지 쳐들어간다. 동진의 군사는 8만에 불과하다. 동진의 군사는 전진의 황제 부견이 직접 대군을 이끌고 동진을 공격한다는 소식에 지레 겁을 먹고는 벌벌 떨고 있다. 마침 선봉에 선 동진의 장수 사현(謝玄)이 정예군사 5천을 데리고 부견의 군사 1만5천을 가볍게 섬멸시킨다. 동진의 군사는 사기충천(士氣衝天)한다.
드디어 전진의 멸망을 가져온 비수대전(淝水大戰)이 개시된다. 동진의 장수 사현은 비수를 넘어 전진의 군대를 향하여 진격한다. 동진의 군사에 밀려 후퇴하는 전진의 대군은 서로 뒤엉켜 넘어지고, 서로 밟고 밟히며 뒤죽박죽 아수라장이 된다. 전진의 대군은 이미 사기가 땅에 떨어지고, 겁에 질려 전의(戰意)마저 상실하고 만다. 전진의 군사는 산 속의 풀과 나무만 보아도 동진의 군사를 본 듯 놀라 자빠지고, 바람소리와 학의 울음소리만 들어도 동진의 군대가 진격하는 줄로 착각하고는 벌벌 떨면서 줄행랑 놓기에 바쁘다(八公山上草木 風聲鶴唳 皆以爲晉兵).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緣木求魚(연목구어) (0) | 2022.11.14 |
---|---|
蜀犬吠日(촉견폐일) (0) | 2022.11.08 |
八佾舞於庭(팔일무어정) (0) | 2022.10.30 |
繩鋸木斷 水滴石穿(승거목단 수적석천) (0) | 2022.10.23 |
三顧草廬(삼고초려) (1) | 2022.10.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