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十二

431. 乙 제비 을, 제비 알

by kimlaw 2021. 9. 23.

《說文》 玄鳥也。齊魯謂之乙。取其鳴自呼。象形。
o 현조(玄鳥), 즉 제비를 가리킨다.
o 연자(燕子)라고도 한다.
o 제(齊)나라와 노(魯)나라에서는 제비라고 부른다.
o 울음소리에 착안하여 제비라 부른다.
o 상형문자이고, 제비가 나는 모습을 상형한다.

설문해자

o 鳦 [yǐ] 제비 을과 같은 글자이다.

설문해자

o 乭 이름 돌 乫 땅 이름 갈은 乙 새 을을 자부로 하여 한국에서 만들어진 글자이다.
o 부수로 사용될 때에는 乚(새을)로 변하기도 한다.
o 부수명칭은 「새을」이다.
o 부수명칭은 일본에서는 おつ(乙), おつにょう(乙繞), 낚싯바늘(乚)과 비슷하다는 의미로 つりばり(釣針)라 하고, 중국에서는 乙字旁(을자방)이라 하며 영어로는 radical the second, radical latter라 한다.

[乙部]
孔 구멍 공 《說文》 通也。从乙从子。乙,請子之候鳥也。乙至而得子,嘉美之也。古人名嘉字子孔。
o 통하다.
o 구멍(hole)을 가리킨다.
《玉篇》 孔,窍也,空也。
《옥편》 공,규야,공야。
o 乙 제비 을을 따르고, 子 아들 자를 따른다.

설문해자

o 乙 제비 을은 아들을 점지하여 주기를 청하는 후조(候鳥)를 가리킨다.
o 제비가 날아 내려 땅에 앉을 경우에 아들을 얻게 되므로, 축하할 만큼 매우 기쁘고 즐거운 경사가 생기게 된다.
o 회의문자이다.
o 옛날에는 사람의 이름에 嘉 아름다울 가라는 글자를 넣어 제비가 낳은 아들이라는 의미로 자공(子孔)이라 부른다.
o 금문을 보면 유아가 젖을 빨고 있는 모습을 상형하고, 유아는 쉽게 매우 많은 양의 젖을 먹을 수 있으므로, 매우(very)라는 의미로도 쓰인다.

春秋
周 · 虢季子白

o 일설은 孔은 子乚, 즉 子 아들 자와 乚 숨을 은으로 구성되고, 乚 숨을 은은 여성의 몸에서 은밀하게 숨은 젖을 가리키므로, 영아가 젖을 먹는 모습을 의미한다고 본다.
乳 낳을 유, 젖 유 《說文》 人及鳥生子曰乳,獸曰産。从孚从乙。乙者,玄鳥也。《明堂月令》 : 玄鳥至之日,祠于高禖,以請子。故乳从乙。請子必以乙至之日者,乙,春分來,秋分去,開生之候鳥,帝少昊司分之官也。
o 사람이 아이를 낳거나 새가 새끼를 부화하는 경우는 乳 낳을 유(give birth to)라 하고, 짐승이 새끼를 낳는 경우는 産 낳을 산이라 한다.
o 孚 미쁠 부를 따르고, 乙 제비 을을 따른다.

설문해자
杨沂孙

o 乙 제비 을은 현조(玄鳥)를 가리킨다.
o 《명당월령》(明堂月令)에서 이르기를 제비(현조)가 땅으로 날아 내려오는 날에 고매(高禖 혼인과 출생을 관장하는 신)에게 융숭한 예의를 갖추어 제사를 올리면서 아들을 점지하여 달라고 청한다고 한다.
o 제비가 아들을 점지하여 주므로, 乳 낳을 유는 乙 제비 을을 따른다.
o 반드시 제비가 날아온 날에 아들을 점지하여 달라고 청하여야 하며, 제비는 춘분에 날아와서 추분에 돌아가고, 생명을 태어나게 하는 후조(철새)이다.
o 제비에게 사분(司分)이라는 벼슬을 하사한 사람은 삼황오제(三皇五帝) 중 오제에 속하는 소호이다.
《吕氏春秋》 太昊、炎帝、黄帝、少昊、颛頊。
《여씨춘추》 태호、염제、황제、소호、전욱。
o 갑골문에서는 두 팔로 유아를 껴안고는 젖(milk)을 먹이는 모습을 상형한다.

商-殷墟甲骨文

o 복이회아, 유이포아(腹以懷我, 乳以哺我)는 어머니께서 태어날 때까지 배로써 품어 주시고, 태어난 후에는 젖으로써 먹여 주신다는 의미이다.

[乙(새을)이 부수로 사용된 한자]
九 아홉 구 乞 빌 걸 也 어조사 야 乾 하늘 건 亂 어지러울 란(난) 乳 젖 유

[English] yǐ
swallow

[동의한자]
燕 제비 연 鴯 제비 이 栍 제비 생 籤 제비 첨

'第十二' 카테고리의 다른 글

436. 鹽 소금 염  (0) 2021.09.23
435. 鹵 소금 로(노)  (0) 2021.09.23
434. 西 서녘 서  (0) 2021.09.23
433. 至 이를 지  (0) 2021.09.23
432. 不 아닐 부, 아닐 불  (0) 2021.09.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