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考也。七十曰老。从人、毛、匕。言須髮變白也。
o 늙다, 오래 살다.
o 설문해자에서 허신은 오래 살다, 장수하다는 의미를 가지는 考 생각할 고, 老 늙을 로를 대표적인 전주문자(轉注文字)로 들고 있고, 본래 考 생각할 고의 음은 「고」(kao)이고 老 늙을 로의 음은 「노」(lao)이나, 考 생각할 고와 老 늙을 로의 첩운(疊韻) ao를 어기(語基)로 삼아 서로 통하여 두 글자는 서로 바꾸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考 생각할 고를 쓸 자리에 老 늙을 로를 쓰며, 또한 老 늙을 로를 쓸 자리에 考 생각할 고를 쓰는 방식으로 서로 그 의미를 빌려 쓸 수 있다고 한다.
o 70세를 老 늙을 로라 한다.
o 人 사람 인, 毛 털 모, 匕 비수 비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수염과 머리카락이 희게 된다고 한다.
o 갑골문을 보면 길고 흰 머리카락(毛 hair)이 있는 노인(人 an old man)이 허리를 굽혀 지팡이(匕 cane)를 짚고 있는 모양을 상형한다.
o 老는 耂匕, 즉 耂 늙을로엄 로와 匕 비수 비로 구성된다.
o 七十三, 八十四, 閻王不請自己去(칠십삼, 팔십사, 염왕불청자기거), 즉 73세와 84세는 염라대왕 자신도 싫어하는 나이라 하며, 공자는 73세에 죽고 맹자는 84세에 죽어 많은 사람이 73세와 84세를 꺼려하고, 73세를 잘 넘기면 84세까지는 무난하게 살 수 있고, 84세를 잘 넘기면 100세까지 장수할 수 있다고 한다.
o 부수명칭은 「늙을로」이다.
o 부수로 사용될 때에는 耂로 변하기도 하고, 그 부수명칭은 「늙을로엄」이라 한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おいがしら(老頭), おいかんむり(老冠)라 하고, 영어로는 radical old라 한다.
[老部]
耊 늙은이 질 《說文》 年八十曰耊。从老省,从至。
o 여든 살된 노인(octogenarian)을 耊 늙은이 질이라 한다.
o 老 늙을 로의 생략형을 따르고, 至 이를 지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耊은 耂至, 즉 耂 늙을로엄 로와 至 이를 지로 구성된다.
o 중국에서는 蝶 나비 접이 여든 살을 의미하는 耋 늙은이 질과 발음(dié)이 같으므로, 나비는 장수를 상징한다고 보고, 나비를 그린 그림은 장수를 기원한다는 의미이다.
o 팔질(八耊)은 팔순(八旬)과 같이 여든 살을 가리키고, 칠질(七耊)은 칠순과 같이 일흔 살을 가리킨다.
耄 늙은이 모 《說文》 年九十曰耄。从老,从蒿省。
o 나이 90세를 耄 늙은이 모라 한다.
《东周列国志》 老夫年耄,力不能制,负罪先公。
《동주렬국지》 노부년모,역불능제,부죄선공。
o 70세 내지 90세를 가리킨다고 보기도 한다.
《盐铁论 孝养》 七十曰耄。
《염철론 효양》 칠십왈모。
《释名》 七十曰耄。头发白,耄耄然也。
《석명》 칠십왈모。두발백,모모연야。
《礼记 曲礼》 八十、九十曰耄。
《예기 곡례》 팔십、구십왈모。
o 설문해자에서는 老 늙을 로를 따르고, 蒿 쑥 호의 생략형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후에는 耄 늙은이 모로 쓰고, 耄는 老毛, 즉 老 늙을 로와 毛 털 모로 구성된다.
o 칠십와상상, 팔십불희기(七十瓦上霜, 八十不稀奇)는 70세는 기와 위에 내린 서리와 같으나, 80세까지 사는 사람도 드물지는 않다(at seventy the tiles have frost on them, but don't worry, eighty isn't that unusual), 즉 아무리 나이가 많다고 하더라도 아직은 더 살 여지가 얼마든지 있다(despite signs of aging, there's still life left to live)는 의미이다.
o 인생칠십고래희(人生七十古來稀)는 고래로부터 사람이 70세까지 살기는 드물다(it is rare for a person to live to seventy)는 의미로 중국의 시인 두보(杜甫)가 지은 《곡강이수》(曲江二首)에서 유래한다.
杜甫 《曲江二首》 酒債尋常行處有,人生七十古來稀。
두보 《곡강이수》 주채심상행처유,인생칠십고래희。
Du Fu 《Twisting River》 My debts for ale are commonplace everywhere I go, for a man to live to seventy has always been quite rare.
耆 늙은이 기 《說文》 老也。从老省,旨聲。
o 60세의 노인(man of sixty)을 가리킨다.
《礼记 曲礼》 六十曰耆。
《예기 곡례》 육십왈기。
《释名》 六十曰耆。耆,指也,不从力役,指事使人也。
《석명》 육십왈기。기,지야,부종력역,지사사인야。
o 老 늙을 로의 생략형을 따르고, 旨 뜻 지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耆는 耂旨, 즉 耂 늙을로엄 로와 旨 뜻 지로 구성된다.
耇 늙을 구 《說文》 老人面凍黎若垢。从老省,句聲。
o 노인의 얼굴에 언 배와 같은 검버섯(老年斑 age spot)이 생기다.
o 아흔이 되면 얼굴에 검은 반점(dark spots on an aged person's skin)이 생겨 언 배처럼 된다고 하여 90세를 동리(凍梨)라 한다.
o 90세를 피부에 복어의 무늬와 같은 반점이 생기는 나이라는 의미로 태배(鮐背)라고도 한다.
o 老 늙을 로의 생략형을 따르고, 句 글귀 구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句 글귀 구는 등이 굽은 모양(駝背)을 나타낸다.
o 耇는 耂句, 즉 耂 늙을로엄 로와 句 글귀 구로 구성된다.
o 耈 늙을 구 耉 늙을 구는 같은 글자이다.
𦒻 노인얼굴에 기미 낄 구 《說文》 老人面如點也。从老省,占聲。讀若耿介之耿。
𦒶 늙은이 겨우 따라갈 수 《說文》 老人行才相逮。从老省,易省,行象。讀若樹。
壽 묵숨 수 《說文》 久也。从老省,壽聲。
o 오래 살다(long live).
o 老 늙을 로의 생략형을 따르고, 壽 목숨 수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금문을 보면 위에 노인이 있고, 그 아래는 밭의 두둑(田疇)을 나타내므로, 나이가 많은 노인이 아직도 논밭을 일구면서 잘 살고 있다(活得长久)는 의미이다.
o 口 입 구와 又 오른손 우가 추가되기도 하고, 口 입 구는 술잔(酒杯)을 가리키며 又 오른손 우는 손을 들어 술잔을 받치는 모양을 나타내므로, 오래 논밭을 가꾸며 살 수 있도록 술잔을 받치며 기원한다는 의미이다.
o 술잔을 받치는 잔대(盞臺)를 가리키는 皿 그릇 명을 따르기도 한다.
o 寿는 간체자이고, 일본에서 사용되는 신자체(약자)이다.
o 壽는 士乛工一吋, 즉 士 선비 사와 乛 구결자 야, 工 장인 공, 一 한 일, 吋 마디 촌으로 구성된다.
考 상고할 고, 생각할 고, 살필 고 《說文》 老也。从老省,丂聲。
o 늙다(aged),
《文言》 考,年岁大。
《문언》 고,연세대。
o 갑골문이나 금문에서는 考 상고할 고와 老 늙을 로는 같은 글자이고, 모두 머리카락을 길게 기른 노인이 지팡이에 의지하고 있는 모습을 상형한다.
o 老 늙을 로의 생략형을 따르고, 丂 공교할 교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考는 耂丂, 즉 耂 늙을로엄 로(an old man with long hair, bent over)와 丂 공교할 교로 구성된다.
o 위에 있는 耂 늙을로엄 로는 노인의 머리, 머리카락, 몸, 손을 나타내고, 아래에 있는 丂 공교할 교는 지팡이(拐杖)를 나타낸다.
o 考 죽은 아비 고로도 쓰고, 살아 있는 경우에는 父 아버지 부, 母 어미 모, 妻 아내 처라 하며, 죽은 경우에는 考 죽은 아비 고, 妣 죽은 어미 비, 嫔 아내 빈이라 한다.
《礼记 曲礼》 生曰父曰母曰妻,死曰考曰妣曰嫔。
《예기 곡례》 생왈부왈모왈처,사왈고왈비왈빈。
o 선고(先考)는 남에게 돌아가신 자기의 아버지를 이르는 표현이고, 고비(考妣)는 돌아가신 아버지와 어머니를 일컫는다.
孝 효도 효 《說文》 善事父母者。从老省,从子。子承老也。
o 부모을 잘 섬기다(dutiful).
《尔雅》 善父母为孝。
《이아》 선부모위효。
o 老 늙을 로의 생략형을 따르고, 子 아들 자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금문을 보면 아이(子)가 노인을 부축하고 있는 모양(an old man and a child, filial piety between generations)을 상형하고, 자녀가 진심갈력(盡心竭力)으로 부모를 봉양하고 부모에게 복종한다는 의미이다.
o 자효(子孝), 즉 아들이 부모에게 효도하는 도리는 사람으로서 좇아야 할 여섯 가지 도리(六顺)에 해당한다.
《左传 隐公三年》 君义、臣行、父慈、子孝、兄爱、弟敬,所谓六顺也。
《좌전 은공삼년》 군의、신행、부자、자효、형애、제경,소위육순야。
o 畜 기를 휵으로 쓸 때에는 효도하다는 의미가 있다.
《礼记 祭统》 孝者,畜也。顺于道,不逆于伦之谓畜。
《예기 제통》 효자,휵야。순우도,불역우륜지위휵。
o 孽 서자 얼은 불효(不孝) 혹은 불효순(不孝顺 disobedient to one’s parents)과 같이 孝 효도 효에 반대되는 의미로도 쓴다.
贾谊 《新书 道术》 子爱利亲谓之孝,反孝为孽。
가의 《신서 도술》 자애리친위지효,반효위얼。
o 孝는 耂子, 즉 耂 늙을로엄 로와 子 아들 자로 구성된다.
[老(늙을로, 늙을로엄)이 부수로 들어간 글자]
考 생각할 고, 살필 고
䎛(한국한자) 음역자 기, 음역자 놈 𦒵 미상
耄 늙은이 모 者 사람 자 耆 늙을 기, 이룰 지 𦒹 미상
耇 늙을 구 耈 늙을 구 耉 늙을 구
耊 늙은이 질 耋 늙은이 질 䎜 늙을 혼 䎝 날아오를 저 䎞(한국한자) 음역자 작
𦓅 미상
𦓇 미상
𦓉 미상
𦓊 미상
[老(늙을 로)가 자부로 들어간 글자]
佬 점잖을 료(요), 사내 로(노) 咾 약한 소리 로(노) 姥 할머니 모, 외조모 로(노) 峔 산 이름 모, 산 이름 명 恅 심란할 로(노) 㧯 양동이 로(노) 㳣 물 이름 로(노) 烤(→火) 구울 고 狫 오랑캐 이름 로(노) 栳 고리 로(노) 珯 옥 구슬 로(노) 𦚱 미상 硓 미상 粩 미상 𦕳 미상 蛯 새우 로(노) 𨀼 미상 銠(铑) 로듐 로(노) 鮱 큰 숭어 로(노)
𦓜 미상 䳓 무수리 로(노)
㐗(한국한자) 음역자 놀 㖈(한국한자) 음역자 놈
荖 구장 배 䇭 고리 로(노)
𧻩 미상
諸(→言) 모든 제 酵 술밑 효
孝(→子) 효도 효
煮(→火) 삶을 자
[English] lǎo
old
aged
venerable
always
the youngest
very
a particle indicating ordinal numbers to designate order of birth
parents
a particle used before a man's family name to indicate familiarity and friendship
(said of meat, etc.) tough
over-cooked
treat with the reverence to the aged
(said of color) dark
[참고] 노인을 표현하는 한자
耆 늙은이 기 – 60세 노인
耋 늙은이 질 - 70세나 80세 노인
耄 늙은이 모 - 80-90세 노인
耉 늙은이 구
o 검버섯이 생기는 나이의 노인
o 아흔이 되면 얼굴에 반점이 생겨 언 배처럼 된다고 하여 90세를 동리(凍梨)라 한다.
[참고] 나이와 관계되는 한자
幼 어릴 유 童 아이 동 少 젊을 소 長 어른 장 老 늙을 로(노)
[疊字] 老䎜
老 늙을 로(노)
䎜 늙을 혼, 어리석을 혼 aged, get age / advanced age, great age, old age
'第八' 카테고리의 다른 글
304. 毳 솜털 취 (0) | 2021.09.01 |
---|---|
303. 毛 털 모 (0) | 2021.09.01 |
301. 裘 갖옷 구 (0) | 2021.09.01 |
300. 衣 옷 의 (0) | 2021.09.01 |
299. 㐆 돌아갈 은, 돌아갈 의 (0) | 2021.08.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