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歸也。从反身。
o 돌아가다.
徐鍇 《說文解字注》 古人所谓反身修道。故曰㱕也。
서개 《설문해자주》 고인소위반신수도。고왈귀야。
o 身 몸 신을 반대로 뒤집은 모양(turn the body)이다.
o 참고로 人 사람 인을 반대로 뒤집으면 匕 비수 비가 되고, 从 좇을 종을 반대로 뒤집으면 比 견줄 비가 된다(反人爲匕, 反从爲比).
o 㐆는 𠂆彐𠃌, 즉 𠂆 당길 예와 彐 돼지 머리 계, 𠃌 미상으로 구성된다.
o 隱 [yǐn] 숨을 은과 같은 의미이다.
o 㐆 의지할 의로도 쓰고, 依 [yī] 의지할 의(lean on, rely on, depend on)와 같은 글자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㐆의 부수는 丿(삐침별)이다.
[㐆部]
殷 소리 은, 성할 은, 받을 은, 검붉은 빛 안, 은나라 은 《說文》 作樂之盛稱殷。从㐆从殳。《易》曰 : 殷薦之上帝。
o 악기에서 나는 성대한 음악(grand music)를 일컬어 殷 소리 은이라 한다.
o 㐆 돌아갈 은을 따르고, 殳 몽둥이 수를 따른다.
o 배가 큰 사람과 두드릴 때에 쓰는 망치와 같은 도구을 손에 든 모양을 상형하고, 그 해석에 관하여는 여러 견해가 있다.
o 殳 몽둥이 수는 본래 고대중국에서 사용한 무기를 가리키나 춤을 출 때에 손에 드는 도구로 볼 수도 있으므로, 도구를 들고 혼신을 다하여 춤을 추는 모양을 나타내고, 성대하다, 기운이나 세력이 한창 왕성하다는 의미라고 보는 주장이 있다.
《广雅 释诂》 殷,大也。
《엄아 석고》 은,대야。
o 殳 몽둥이 수는 환자를 치료할 때에 사용하는 침(針)을 가리키며, 의원(醫院)이 배가 아픈 환자 혹은 임신하여 배가 불룩한 여인을 돌보는 모양이라고 보고, 醫 의원 의의 초문(初文)이라고 보는 주장도 있다.
o 본래 身 몸 신은 배가 크게 튀어나온 사람으로 귀족을 가리키고, 㐆 돌아갈 은은 身 몸 신을 반대로 뒤집은 모양이므로, 귀족이 어떤 잘못을 범하여 귀족의 신분을 잃고 지금은 노인(奴人)이라는 의미이며, 殳 몽둥이 수는 도구를 들고 노역(奴役)을 하고 있다는 의미라고 보는 주장도 있다
o 《주역》에서 이르기를 성대한 전례(典礼)를 상제에게 드린다고 한다.
o 殷 검붉은빛 안(blood red, deep red)으로도 쓰인다.
o 殷 은나라 은(late Shang Dynasty, Yin Dynasty 殷朝)으로도 쓴다.
[English] yǐn
turn one's body
turn around
return
submit to
alternative form of 隱(隐)
[English] yī
trust to
put confidence in
depend on
alternative form of 依
[유사한자] 㐆𠂤
㐆 돌아갈 은
𠂤 쌓일 퇴
[성어]
殷鑒不遠(은감불원)
은(殷)나라의 멸망이 그리 오래지 않다.
귀감(龜鑑)으로 삼을 만한 전례가 멀리 있지 않다.
the downfall of the Shang dynasty is not far past
《詩經 大雅 蕩之什 蕩》 殷鑒不遠,在夏后之世。
《시경 대아 탕지십 탕》 은감불원,재하후지세。
은나라의 멸망이 준 교훈이 아주 오래지 않고, 하나라의 세상이 끝날 날도 멀지 않다.
The beacon of Yin is not far-distant; It is in the age of the [last] sovereign of Xia.
'第八' 카테고리의 다른 글
301. 裘 갖옷 구 (0) | 2021.09.01 |
---|---|
300. 衣 옷 의 (0) | 2021.09.01 |
298. 身 몸 신 (0) | 2021.08.31 |
297. 臥 누울 와 (0) | 2021.08.31 |
296. 重 무거울 중 (0) | 2021.08.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