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七

277. 冃 쓰개 모

by kimlaw 2021. 8. 22.

《說文》 小兒蠻夷頭衣也。从冂;二,其飾也。
o 어린 아이나 오랑캐가 머리에 쓰는 두의(頭衣)이다.
《玉篇》 冃,小兒、蠻夷頭衣也。
《옥편》 모,소아、만이두의야。

두의

o 冂 멀 경을 따르고, 중앙에 있는 二는 장식을 뜻한다.

설문해자

o 冃는 冂二, 즉 冂 멀 경과 二 두 이로 구성된다.
o 帽 모자 모의 고자(古字 ancient form)이다.
o 쓰개는 머리를 보호하고 장식하기 위하여, 또는 신분이나 의례에 따라 격식을 갖추기 위하여 머리에 쓰는 물건을 가리킨다.

쓰개(중국)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冃의 부수는 冂(멀경몸)이다.

[冃部]
冕 면류관 면 《說文》 大夫以上冠也。邃延、垂瑬、紞纊。从冃免聲。古者黃帝初作冕。
o 대부 이상이 쓰는 관(冠 royal crown, diadem, ceremonial cap)이다.

면류관(중국)

o 옥으로 만든 줄이 있고, 그 줄을 아래로 드리운다.
o 모자 위에 긴 판이 있고, 앞뒤로 구슬을 꿴 줄을 매달고, 구슬을 꿴 줄을 「유」(瑬)라고 하며, 유를 몇 개 다는지는 지위에 따라 다르다.
o 아래로 늘어진 줄의 수에 따라 삼류면(三旒冕), 오류면(五旒冕), 칠류면(七旒冕), 구류면(九旒冕), 십이류면(十二旒冕) 등으로 나뉜다.
o 왕은 아홉 줄을 단 구류면(九旒冕)을 쓰고, 황제는 열두 줄을 단 십이류면(十二旒冕)을 쓴다.

면류관(조선 순중)

o 冃 쓰개 모를 따르고, 免 벗어날 면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옛날 면류관을 처음 만든 사람은 황제(黃帝)이다.
o 관 벗을 면은 임금이나 관리가 쓴 모자를 가리키는 면류관 면의 본자(本字)이고, 고문에서는 임금이 관(冠)을 쓰고 있는 모습을 상형한다.

상-은허갑골문
周中
商代

胄 투구 주 《說文》 兜鍪也。从冃由聲。
o 전투를 할 때에 머리에 쓰는 투구(helmet worn by warriors in ancient times)이다.

투구

o 冃 쓰개 모를 따르고, 由 말미암을 유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금문에서는 머리에 투구를 쓰고, 눈만 빼꼼히 나온 모양을 상형한다.

商代
周早

o 맏아들 주와는 다른 글자이고, 맏아들 주는 고기 육을 따르고 말미암을 유를 성부로 하는 형성문자이며, 제왕이나 귀족의 후예(descendants of emperor or noble)을 가리킨다.

o 갑주(甲胄)는 갑옷과 투구를 가리킨다. 

冒 무릅쓸 모 《說文》 冡而前也。从冃从目。
o 쓰개를 덮어쓰고 위험을 무릅쓰며 앞으로 나아가다.
o 冃 쓰개 모를 따르고, 目 눈 목을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금문에서는 위에 쓰개(모자)가 있고, 아래에 눈이 있는 모양이므로, 머리에 쓰는 쓰개 혹은 모자를 의미한다.

周中
모자를 쓴 잔 에뷔테른(모딜리아니 1884-1920)

o 冐 무릅쓸 모는 동음동의이다.
o 㒻 무릅쓸 모 㫯 막 나아갈 묵 媢 강샘할 모는 같은 의미이다.
o 冒 쓰개 모, 모자 모로도 쓰이고, 覍 고깔 변 帽 모자 모는 같은 글자이다.
o 冒 선우 이름 묵, 묵돌 묵으로도 쓰이고, 흉노(匈奴)의 족장을 선우라 부르며 묵돌(冒頓)은 흉노의 선우이다.
o 冒 대모 모, 대모 매로도 쓰이고, 대모는 거북의 이름이며 瑁 대모 매는 같은 글자이다.
最 가장 최 《說文》 犯而取也。从冃从取。
o 일부러 불법적인 행동을 하여 빼앗아 가다(offend and fetch).
o 冃 쓰개 모를 따르고, 取 가질 취를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현재 사용하는 最는 日 해 일과 取 가질 취로 구성된다.

o 㝡 가장 최는 같은 글자이다.

[冃(쓰개 모)가 자부로 들어간 글자]
冒 무릅쓸 모 庸 떳떳할 용, 쓸 용 塌 애벌갈 탑, 무너질 탑

[English] mào  
hat
cap

[유사한자] 冃冄月
冃 쓰개 모, 어린이 두건 모
冄 나아갈 염
月 달 월

[참고] 쓰개
쓰개는 옛날 머리에 쓴 모자를 말한다. 주로 여인이 쓰개를 쓴다. 쓰개는 여러 가지 용도가 있다. 단순히 얼굴을 가리기 위하여 쓰개를 쓰기도 하고, 추위를 막거나 햇빛을 가리기 위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의례나 격식을 위하여 쓰개를 쓰는 경우도 있고, 계층이나 신분을 나타낼 목적으로 쓰개를 착용하기도 한다.
쓰개는 어떤 용도로 사용하는가에 따라서 불리는 명칭도 다양하다. 화관(花冠)이나 족두리는 혼례나 경사가 있을 때 착용하고, 남바위나 볼끼, 아얌, 조바위, 굴레, 희양은 주로 추위를 막는 방한용으로 사용한다. 전모(氈帽)나 가리마, 너울, 쓰개치마는 얼굴을 햇볕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착용하지만, 한편 신분이나 계층을 드러내기도 한다.

安陵新迎圖(안릉신영도, 김홍도)

신임관을 영접하거나 혼례 등 특별한 의식이 있을 때 격식과 예절을 갖춘 행렬의 순서를 그린 그림을 반차도(班次圖)라 한다. 안릉신영도(安陵新迎圖)는 위의를 갖춘 행렬을 그린 반차도로서 요산헌(樂山軒)이라는 사람이 자신의 부친이 1785년에 황해도 안릉의 목민관으로 부임할 때 그 행렬의 위의가 성대한 모습을 보고 김홍도에게 부탁하여 그린 그림이라 한다.
6m가 넘는 안릉신영도에는 기수나 중군, 악대, 아전과 노비 등 여러 행렬이 나오고, 중간에 기생 등 아녀자의 행렬도 있다. 행렬에 참가한 아녀자를 자세히 살펴보면 전모를 쓴 여인(아마도 기생)도 여럿 있고, 전모를 쓰고 쓰개치마를 어깨에 걸치고 있거나, 장옷을 쓴 여인 등이 말을 타고 따라가는 모습이 보인다.

▮ 쓰개치마
치마와 같은 모양으로, 주로 양반층의 부녀자가 외출을 할 때 얼굴을 가리기 위하여 사용한 쓰개

尼僧迎妓(이승영기, 신윤복)
月下情人(월하정인, 신윤복)
쓰개치마를 쓰고 외출하는 여인

▮ 장옷
조선시대 때 부녀자가 밖으로 외출할 때 얼굴을 가리기 위하여 사용한 쓰개
a lady's veil

장옷 입은 여인(신윤복)

▮ 조바위
평민층에서부터 상류계층에 이르기까지 부녀자가 겨울에 방한용으로 착용한 모자
a women's winter hat (with earflaps)

조바위

▮ 남바위
앞은 이마를 덮고, 뒤는 목과 등을 내리덮으며, 위쪽에 구멍이 뚫려 있는 쓰개로 추울 때 쓰는 방한용 모자
a fur-lined lady's hood

남바위

▮ 풍차
겨울에 추위를 막기 위하여 머리에 쓰는 두건(볼끼의 유무를 제외하면 남바위와 차이가 없고, 볼끼는 앞으로 묶어 사용하지만, 볼끼를 쓰지 않을 때에는 뒤로 넘겨 고정하기도 한다)
a fur hood

풍차

▮ 굴레
조선시대 때 주로 상류층 집안의 어린아이가 쓰던 모자

굴레

▮ 전모(氈帽)
조선시대 때 여성이 외출용으로 사용한 쓰개(멋을 좋아하는 기녀가 바깥나들이를 할 때에 사용한 쓰개라는 주장이 강하다)

전모
전모를 쓴 여인(신윤복)

▮ 방갓
여성이 외출을 할 때에 가리개로 사용한 쓰개(사각형으로 만들어져 방갓이라고 한다)

방갓

▮ 삿갓
조선시대 서민층의 여인이 외출할 때에 얼굴을 가리기 위하여 쓰던 쓰개(주로 갈대나 대오리를 엮어 만드는데, 모양은 우산과 같이 생기고, 가장자리는 육각형이다)
a bamboo hat, a reed hat, a conical bamboo rain-hat

街頭賣店(가두매점, 김홍도)
路中相逢(노중상봉, 신윤복)

▮ 화관(花冠)
예복에 갖추어 쓰는 관모(冠帽)의 일종으로, 족두리보다 높이가 높고, 두꺼운 종이에 무늬를 새기고 검정칠을 한 뒤, 가장자리를 도채부금(塗彩傅金)하고, 위를 금은보화로 화려하게 만든 머리장식
a woman's ceremonial coronet

화관(조선)

▮ 족두리
여인이 결혼할 때 예복에 갖추어 쓰던 관(冠) a bride's headpiece (worn at a wedding), a bridal tiara[crown]
검은 비단으로 겉을 싸고 안은 딱딱한 종이와 솜을 넣어 단단하게 하며, 위에는 칠보장식으로 아름답게 꾸민 머리장식

족두리
족두리

'第七' 카테고리의 다른 글

279. 网 그물 망  (0) 2021.08.22
278. 㒳 두 량, 냥 냥  (0) 2021.08.22
276. 𠔼 겹쳐 덮을 모  (0) 2021.08.22
275. 冖 덮을 멱  (0) 2021.08.21
274. 疒 병질 녁  (0) 2021.08.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