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七

275. 冖 덮을 멱

by kimlaw 2021. 8. 21.

《說文》 覆也。从一下垂也。
o 덮다.
o 一 한 일의 양쪽을 아래로 늘어뜨린 모양을 따른다.

설문해자

o 물건을 덮은 모양을 상형한다.

周早

o 冖은 丿乛, 즉 丿 삐침 별과 乛 구결자 야로 구성된다.
o 冪 덮을 멱의 고자(ancient form)이다.
o 부수명칭은 「민갓머리」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카타카나의 ワ라는 글자와 유사하다고 하여 わかんむり(ワ冠), ひらかんむり(平冠)、べきかんむり(冖冠)라 하고, 중국에서는 禿宝蓋(독보개)라 하며 영어로는 radical cover라 한다.

[冖部]
冠 갓 관, 관례 관 《說文》 絭也。所以絭髮,弁冕之緫名也。从冂从元,元亦聲。冠有法制,从寸。
o 머리를 묶다.
o 머리에 묶어 갓(hat)을 쓰고, 변면(弁冕), 즉 갓의 총칭이다.
o 冂 멀 경(hat)을 따르고, 元 으뜸 원(head)을 따른다.

설문해자

o 元 으뜸 원은 또한 성부이다.
o 관례(冠禮)에는 법제가 있으므로, 寸 마디 촌(hand)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고 형성문자이다.
o 손에 갓을 들고 머리에 쓴다는 의미이다.

杨沂孙
元-赵孟頫

o 갑골문을 보면 사람을 나타내는 元 으뜸 원 위에 갓(모자)을 가리키는 冃 쓰개 모(hat)가 있는 모양을 따른다.

상-은허갑골문

o 冠은 冖㝴, 즉 冖 덮을 멱과 㝴 둥글게 깍을 완으로 구성된다.

元-赵孟頫

o 약관(弱冠)은 스무 살이 된 남자를 일컫는 표현으로, 아직 아직 완전히 성숙한 나이는 아니지만 성인으로서의 구실을 할 수 있어 갓을 쓰는 관례(ceremony marking a man's coming of age at 20)를 행하는 나이라는 의미이다.
《禮記 曲禮》 二十曰弱,冠。
《예기 곡례》 이십왈약,관。
冣 쌓을 취, 가장 최 《說文》 積也。从冂从取,取亦聲。
o 쌓다.
o 冂 멀 경을 따르고, 取 가질 취를 따른다.

설문해자

o 取 가질 취는 또한 성부이다.
o 회의문자이고, 형성문자이다.
o 聚 모을 취와 같은 의미이다.
o 冣 가장 최로도 쓰고, 最 가장 최(most, -est)와 같은 글자이다.
o 冣는 冖取, 즉 冖 덮을 멱과 取 가질 취로 구성된다.
㓃 잔 드릴 타, 속일 타, 술잔 놓을 투 《說文》 奠爵酒也。从冂託聲。《周書》曰:王三㝛三祭三㓃。
o 제사를 모실 때에 술잔을 드리다.
o 본래는 제사를 지내면서 술잔을 들고 땅 위에 뿌리는 의식(sacrifice by pouring out a libation of wine)를 가리킨다고 한다.
o 冂 멀 경을 따르고, 託 부탁할 탁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주서》(周書)에서 이르기를 왕삼숙삼제삼타(王三㝛三祭三㓃), 즉 왕이 세 번 술잔을 들고 나아가고(進爵), 세 번 술잔에 술을 따라 올리고(祭酒), 세 번 술잔을 신위 앞에 드린다(奠爵)고 한다.
o 㓃은 冖託, 즉 冖 덮을 멱과 託 부탁할 탁으로 구성된다.

[冖(민갓머리)가 부수로 사용된 한자]
冘 머뭇거릴 유 冠 갓 관 冥 어두울 명 冡 덮어쓸 몽 冤 원통할 원 冢 무덤 총 冪 덮을 멱

[冖(덮을 멱)이 자부로 들어간 글자]
宀 집 면 龸 미상 𤇾 등불 형 𦥯 배울 학
肎 뼈 사이의 살 긍 軍(军) 군사 군 鼏 소댕 멱
隺 고상할 각

[English] mì
cover with cloth
cloth cover

[유사한자] 冖宀
冖 덮을 멱
宀 집 면

'第七' 카테고리의 다른 글

277. 冃 쓰개 모  (0) 2021.08.22
276. 𠔼 겹쳐 덮을 모  (0) 2021.08.22
274. 疒 병질 녁  (0) 2021.08.21
273. 㝱 꿈 몽  (0) 2021.08.21
272. 穴 구멍 혈  (0) 2021.08.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