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倚也。人有疾病,象倚箸之形。
o 의지하다.
o 사람이 질병에 걸리고, 침대에 의지하며 기대고 있는 모양을 상형한다.
o 침대를 상징하는 爿 나무조각 장을 따르고, 병든 사람이 침대에 누워있는 모양(bed or stretcher for the sick)을 상형한다.
o 상형문자이다.
o 疒은 冫广, 즉 冫 얼음 빙과 广 집 엄으로 구성된다.
o 疔 병 녁도 같은 글자이다.
o 부수명칭은 病 병 병이나 疾 병 질에 들어가는 부수라는 의미로 「병질」 혹은 「병질엄」이라 한다.
o 일본에서는 부수명칭을 やまいだれ(病垂れ)라 하고, 중국에서는 病字頭(병자두)라 하며 영어로는 radical sickness라 한다.
[疒部]
疾 병 질 《說文》 病也。从疒矢聲。
o 병(illness, disease, sickness)을 뜻한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矢 화살 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에서는 사람을 나타내는 大 클 대와 矢 화살 시를 따르고, 사람이 겨드랑이에 화살을 맞은 모양이다.
o 화살은 능히 사람을 다치게 할 수 있으므로, 矢 화살 시를 따른다.
o 화살은 매우 빠르므로, 역병이 돌면 아주 빠르게 전염된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도 있다.
o 회의문자로 볼 수도 있다.
痛 아플 통 《說文》 病也。从疒甬聲。
o 병을 뜻한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甬 길 용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疒 병질 력을 따르므로, 아프다(pain, ache)는 의미이다.
病 병 병 《說文》 疾加也。从疒丙聲。
o 심한 병(be seriously ill), 즉 중병(重病)을 뜻한다.
o 疒 병질 녁(sickness)을 따르고, 丙 남녘 병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丙 남녘 병은 불(fire)을 가리키므로, 심한 열로 끙끙 않으며 침대에 누워있다(lying feverishly in bed)는 의미이다.
瘣 앓을 외 《說文》 病也。从疒鬼聲。《詩》曰:譬彼瘣木。一曰腫㫄出也。
o 앓다, 병들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鬼 귀신 귀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시경》에서 이르기를 비피외목(譬彼瘣木)이라 한다.
o 일설은 곁에 생긴 종기를 의미라고 본다.
疴 병 아 《說文》 病也。从疒可聲。《五行傳》曰:時卽有口痾。
o 병(illness, sickness)을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可 옳을 가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오행전》(五行傳)에서 이르기를 시즉유구아(時卽有口痾)라고 한다.
o 痾 앓을 아는 같은 의미이다.
痡 앓을 부 《說文》 病也。从疒甫聲。《詩》曰:我僕痡矣。
o 앓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甫 클 보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시경》에서 이르기를 아복부의(我僕痡矣)라고 한다.
瘽 앓을 근 《說文》 病也。从疒堇聲。
o 앓다(sick).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堇 진흙 근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瘵 앓을 채 《說文》 病也。从疒祭聲。
o 앓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祭 제사 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瘨 앓을 전 《說文》 病也。从疒眞聲。一曰腹張。
o 앓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眞 참 진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일설은 복장(腹張)을 가리킨다고 본다.
瘼 병들 막 《說文》 病也。从疒莫聲。
o 병들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莫 없을 막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㽱 급성 복통 교, 급성 복통 규, 혹 구 《說文》 腹中急也。从疒丩聲。
o 급하게 생긴 복통을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丩 얽힐 구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㾓 시큰거릴 연, 뼈마디가 시큰거릴 연 《說文》 病也。从疒員聲。
o 앓다.
o 뼈마디가 시큰거리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員 인원 원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癎 긴질 간 《說文》 病也。从疒閒聲。
o 병들다.
o 간질을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閒 사이 간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㽾 병 올 《說文》 病也。从疒出聲。
o 병(woman's disease)을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出 날 출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疵 흠 자, 허물 자, 노려볼 새, 앓을 제, 비방할 자, 노려볼 제, 앓을 새 《說文》 病也。从疒此聲。
o 자질구레한 병을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此 이 차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현재는 주로 흠(flaw)이나 허물(fault, defect) 등과 같은 의미로 쓰인다.
o 하자(瑕疵)는 어떤 사물이나 일에서 잘못되거나 불완전한 부분을 가리킨다.
o 啙 약할 자는 동자(同字)이다.
癈 폐질 폐, 폐할 폐 《說文》 固病也。从疒發聲。
o 오래되어 굳어진 병을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發 필 발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瘏 앓을 도 《說文》 病也。从疒者聲。《詩》曰:我馬瘏矣。
o 앓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者 사람 자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시경》에서 이르기를 아마도의(我馬瘏矣)라고 한다.
瘲 경풍 종 《說文》 病也。从疒從聲。
o 병들다.
o 경풍(spasms or convulsions in young children, caused by indigestion)을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從 좇을 종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疭은 간체자이다.
㾕 오한 신, 오한 심, 오한 손 《說文》 寒病也。从疒辛聲。
o 오한(惡寒)을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辛 매울 신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오한은 몸이 오슬오슬 춥고 떨리는 증세를 가리킨다.
𤷇 머리 아플 혁 《說文》 頭痛也。从疒或聲。讀若溝洫之洫。
o 머리가 아프다.
o 두통을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或 나라 역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구혁(溝洫)이라고 할 때의 洫 봇도랑 혁과 같게 발음한다.
痟 두통 소 《說文》 酸痟,頭痛。从疒肖聲。《周禮》曰:春時有痟首疾。
o 산소(酸痟)라고도 하고, 두통을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肖 꺼질 소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주례》에서 이르기를 봄이 되면 두통이 생겨 머리가 아프다고 한다.
疕 머리 헐 비 《說文》 頭瘍也。从疒匕聲。
o 두양(頭瘍)을 가리킨다.
o 두창(頭瘡)이라고도 한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匕 비수 비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두양은 머리에 나는 종기를 통틀어 가리킨다.
瘍 종기 양 《說文》 頭創也。从疒昜聲。
o 머리에 나는 종기를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昜 볕 양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疡은 간체자이다.
痒 가려울 양 《說文》 瘍也。从疒羊聲。
o 피부가 헐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羊 양 양은 성부이다.
o 疒 병질 력을 따르고, 养 기를 양을 성부로 한다고 보기도 한다.
o 형성문자이다.
㾺 눈병 마, 눈병 만 《說文》 目病。一曰惡气箸身也。一曰蝕創。从疒馬聲。
o 눈병(eye disease)이다.
o 일설은 나쁜 기운이 몸에 붙다, 즉 비루먹다는 의미로 보기도 한다.
o 일설은 식창(蝕創)을 가리킨다고 본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馬 말 마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𤺊 목 쉰소리 서 《說文》 散聲。从疒斯聲。
𤺉 입 삐뚤어질 비 《說文》 口咼也。从疒為聲。
疦 종기 구멍 혈 《說文》 𤺉也。从疒,決省聲。
瘖 벙어리 음, 매우 아플 음 《說文》 不能言也。从疒音聲。
o 말을 할 수 없다.
o 장애로 인하여 말을 못하는 사람, 즉 벙어리를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音 소리 음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癭 혹 영 《說文》 頸癅也。从疒嬰聲。
o 목에 생긴 혹(swelling, goiter)을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嬰 어린아이 영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䑍 혹 영 瘿 혹 영은 같은 글자이다.
瘻 부스럼 루(누) 《說文》 頸腫也。从疒婁聲。
o 목에 난 종기를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婁 끌 루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𤴨 몸 떨 우 《說文》 顫也。从疒又聲。
瘀 어혈 어 《說文》 積血也。从疒於聲。
o 부딪치거나 맞아서 살 속에 퍼렇게 맺힌 피를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於 어조사 어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疝 산증 산 《說文》 腹痛也。从疒山聲。
o 복통을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山 뫼 산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산증(疝症)은 허리 또는 아랫배가 아픈 병을 가리킨다.
疛 살살 아픈 뱃병 주 《說文》 小腹病。从疒,肘省聲。
o 살살 아픈 뱃병을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肘 팔꿈치 주의 생략형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𤼤 기운 가득할 비 《說文》 滿也。从疒𡚤聲。
㾈 곱사등이 부 《說文》 俛病也。从疒付聲。
o 허리를 펴지 못하는 병을 가리킨다.
o 곱사등이이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付 줄 부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痀 곱사등이 구 《說文》 曲𦟝也。从疒句聲。
瘚 상기 궐 《說文》 屰气也。从疒从屰从欠。
o 기운을 거스르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屰 거스를 역을 따르며, 欠 하품 흠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상기(上氣)는 피가 머리로 몰리는 병을 가리킨다.
痵 가슴 두근거릴 계 《說文》 气不定也。从疒季聲。
o 기운이 일정하지 않다.
o 가슴이 두근거리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季 계절 계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痱 중풍 비, 땀띠 비, 신경통 비 《說文》 風病也。从疒非聲。
o 풍병을 가리킨다.
o 중풍(中風)이라고도 한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非 아닐 비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疿 중풍 비는 같은 글자이다.
o 풍병은 중추신경에 탈이 나서 몸에 마비가 오거나 말을 하기 힘든 병을 가리킨다.
癅 혹 류 《說文》 腫也。从疒畱聲。
o 혹을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畱 머무를 류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瘤 혹 류는 같은 글자이다.
痤 뾰루지 좌 《說文》 小腫也。从疒坐聲。一曰族絫。
o 작은 종기를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坐 앉을 좌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일설은 족류(族絫)를 가리킨다고 본다.
o 뾰루지는 얼굴에 뾰족하게 부어오른 작은 종기를 가리킨다.
疽 악창 저, 등창 저 《說文》 癰也。从疒且聲。
o 악창(惡瘡), 즉 고치기 힘든 큰 종기를 가리킨다.
o 등창이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坐 앉을 좌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㿛 종기 려(여), 나력 력(역) 《說文》 癰也。从疒麗聲。一曰𤸃黑。讀若隸。
o 악창을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麗 고울 려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일설은 살이 빠져 파리하게 되고 거멓게 되다는 의미라고 본다.
o 隸 종 례와 같게 발음한다.
o 나력(瘰癧)은 목 또는 귀 뒤, 겨드랑이에 멍울이 생긴 병증을 가리킨다.
癰 악창 옹 《說文》 腫也。从疒雝聲。
o 종기를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雝 화락할 옹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瘜 굳은 살 식 《說文》 寄肉也。从疒息聲。
o 불필요하게 덧붙은 살을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息 쉴 식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癬 옴 선 《說文》 乾瘍也。从疒鮮聲。
o 건양(乾瘍)이라 하며, 마른 상처를 가리킨다.
o 옴을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鮮 생선 선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疥 옴 개 《說文》 搔也。从疒介聲。
o 손톱으로 긁다.
o 옴이 생기면 가려워 손톱으로 긁게 된다는 의미이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鮮 생선 선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痂 딱지 가 《說文》 疥也。从疒加聲。
o 옴을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加 더할 가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딱지는 헌데가 아물어 생긴 부분을 가리킨다.
瘕 뱃병 가, 기생충병 하 《說文》 女病也。从疒叚聲。
o 여인의 병을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叚 빌릴 가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癘 창질 려(여), 창병 려(여), 나환자 라(나) 《說文》 惡疾也。从疒,蠆省聲。
o 악질(惡疾)을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蠆 전갈 채의 생략형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창병은 피부에 나는 질병을 통틀어 이르는 표현이다.
瘧 학질 학 《說文》 熱寒休作。从疒从虐,虐亦聲。
o 일정한 시간의 간격을 두고 열이 나고 땀을 흘리다가 추워서 떨고, 하루나 이틀이 지나 다시 발작한다.
o 학질을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虐 모질 학을 다른다.
o 虐 모질 학은 또한 성부이다.
o 회의문자이고, 형성문자이다.
痁 학질 점 說文》 有熱瘧。从疒占聲。《春秋傳》曰:齊侯疥,遂痁。
o 열이 아주 심하게 난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占 점칠 점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춘추전》에서 이르기를 제후개, 수점(齊侯疥, 遂痁)이라 한다.
痎 학질 해 《說文》 二日一發瘧。从疒亥聲。
o 이틀을 걸러서 앓는 학질을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亥 돼지 해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하루씩 걸러서 앓는 학질을 하루거리라 하고, 이틀을 걸러서 앓는 학질을 이틀거리라 한다.
痳 임질 림(임) 《說文》 疝病。从疒林聲。
o 산병(疝病), 즉 허리 또는 아랫배가 아픈 병을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林 수풀 림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痔 치질 치 《說文》 後病也。从疒寺聲。
o 뒤에 생기는 병이다.
o 치질을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寺 절 사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痿 저릴 위 《說文》 痹也。从疒委聲。
o 저리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委 맡길 위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痹 저릴 비 《說文》 溼病也。从疒畀聲。
o 습병(rheumatism or numbness caused by draught, cold, damp), 즉 습기로 인하여 생기는 병을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畀 줄 비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𤹝 발 오그라질 피 《說文》 足气不至也。从疒畢聲。
瘃 동상 촉 《說文》 中寒腫覈。从疒豖聲。
o 심한 추위 속에 노출되어 발이나 손과 같은 신체의 부위가 국소적으로 손상되어 보리의 싸라기와 같은 종기가 생기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豖 발 얽은 돼지 걸음 축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㾫 중풍 편, 반신불수 편 《說文》 半枯也。从疒扁聲。
o 신체의 절반이 마비되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扁 납작할 편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𤺄 수종다리 송 《說文》 脛气足腫。从疒童聲。《詩》曰 : 旣微且𤺄。
𤸱 절뚝발이 압 《說文》 跛病也。从疒盍聲。讀若脅,又讀若掩。
疻 멍 지 《說文》 毆傷也。从疒只聲。
痏 멍 유 《說文》 疻痏也。从疒有聲。
𤼒 부스럼 터질 유 《說文》 創裂也。一曰疾𤼒。从疒巂聲。
𤴿 피풍 첨 《說文》 皮剥也。从疒冄聲。
癑 아플 농 《說文》 痛也。从疒䢉聲。
痍 상처 이 《說文》 傷也。从疒夷聲。
瘢 흉터 반 《說文》 痍也。从疒般聲。瘢痕(반흔) 상처나 부스럼 따위가 나은 자리에 남은 자국
痕 흉터 흔 《說文》 胝瘢也。从疒艮聲。
痙 심줄 땅길 경 《說文》 彊急也。从疒巠聲。
痋 병 충, 병 동, 아플 동 《說文》 動病也。从疒,蟲省聲。
𤸃 파리할 수 《說文》 臞也。从疒叜聲。
疢 열병 진 《說文》 熱病也。从疒从火。
o 열병을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火 불 화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癉 앓을 단, 피로할 다, 고달플 다 《說文》 勞病也。从疒單聲。
o 피로가 쌓여 생긴 병을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單 홑 단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瘅 앓을 단, 고달픈 다는 같은 글자이다.
疸 황달 달 《說文》 黃病也。从疒旦聲。
o 황달을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旦 아침 단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㾜 앓는 숨결 협 《說文》 病息也。从疒夾聲。
o 병에 든 사람이 내는 않는 숨결을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夾 낄 협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痞 뱃속 결릴 비 《說文》 痛也。从疒否聲。
o 아프다, 앓다.
o 뱃속이 결리다.
o 가슴이 답답하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否 막힐 비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痬 곪을 양, 어리석을 역 《說文》 脈痬也。从疒易聲。
o 맥양(脈痬), 즉 혈관이 헐어 출혈하기 쉬운 병을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易 바꿀 역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㾁 미친 듯이 달릴 술 《說文》 狂走也。从疒术聲。讀若欻。
o 미친 듯이 달리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术 차조 출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欻 문득 훌과 같게 발음한다.
疲 피곤할 피, 지칠 피, 앓을 지 《說文》 勞也。从疒皮聲。
o 고달프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皮 가죽 피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피로(疲勞)는 지치고 피곤하여 힘을 쓰거나 일을 수행할 수 없다고 느끼는 상태를 가리킨다.
㾅 결점 자 《說文》 瑕也。从疒𠂔聲。
o 허물, 하자(瑕疵)를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𠂔 그칠 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疧 앓을 저, 앓을 기 《說文》 病也。从疒氏聲。
o 앓다, 병들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氏 나라 이름 지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㽺 병으로 지칠 급 《說文》 病劣也。从疒及聲。
o 병으로 지치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及 미칠 급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㿄 앓는 소리 애, 피로할 의 《說文》 劇聲也。从疒殹聲。
o 앓는 소리를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殹 앓는 소리 예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癃 느른할 륭(융) 《說文》 罷病也。从疒隆聲。
o 맥이 풀리거나 고단하여 몹시 기운이 없는 병을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隆 높을 륭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疫 염병 역, 전염병 역 《說文》 民皆疾也。从疒,役省聲。
o 백성이 모두 병을 앓다.
o 돌림병, 즉 여러 사람에게 잇달아 옮아 널리 퍼지는 병을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役 부릴 역의 생략형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瘛 경풍 계, 경풍 체 《說文》 小兒瘛瘲病也。从疒恝聲。
o 어린아이가 경련을 일으키는 병을 가리킨다.
o 경풍(驚風)이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恝 근심 없을 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痑 지칠 타, 지칠 다, 지칠 탄, 많을 시 《說文》 馬病也。从疒多聲。《詩》曰:痑痑駱馬。
o 말이 피부가 헐고 털이 빠지는 병에 걸리다.
o 비루먹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多 많을 다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시경》에서 이르기를 타타락마(痑痑駱馬)라고 한다.
痥 말의 정강이 부스럼 탈 《說文》 馬脛瘍也。从疒兌聲。一曰將傷。
𤻲 병 고칠 료(요) 《說文》 治也。从疒樂聲。
㽽 고질 고 《說文》 久病也。从疒古聲。
o 오래된 병을 가리킨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古 예 고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瘌 앓을 랄(날) 《說文》 楚人謂藥毒曰痛瘌。从疒剌聲。
o 초나라에 사는 사람은 약물에 중독되어 아픈 경우를 통랄(痛瘌)이라 한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剌 어그러질 랄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癆 중독 로(노) 《說文》 朝鮮謂藥毒曰癆。从疒勞聲。
o 조선에서는 약독을 가리켜 癆 중독 로라 한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勞 일할 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瘥 앓을 차, 병 나을 채 《說文》 瘉也。从疒𢀩聲。
𤸬 덜릴 쇠 《說文》 減也。从疒衰聲。一曰耗也。
瘉 병 나을 유 《說文》 病瘳也。从疒俞聲。
o 병이 낫다(get well, recover).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俞 대답할 유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愈 나을 유 癒 병 나을 유는 같은 글자이다.
瘳 나을 추 《說文》 疾瘉也。从疒翏聲。
병이 낫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翏 높이 날 류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癡 어리석을 치 《說文》 不慧也。从疒疑聲。
o 슬기롭지 않다.
o 어리석다.
o 疒 병질 녁을 따르고, 疑 의심할 의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疒(병질엄)이 부수로 사용된 글자]
疾 병 질 病 병 병 痛 아플 통 症 증세 증 癌 암 암 療 병 고칠 료(요) 疫 염병 역 疲 지칠 피 瘼 병들 막 癏 병들 환, 병들 관 癄 병들 초 瘝 병들 관 瘐 병들 유 瘁 병들 췌 疩 병들 췌 疚 오랜 병 구
[English] nè
be ill
illness, sickness, disease
evil
[유사한자] 厂广疒
厂 기슭 엄
广 집 엄
疒 병질 력(역), 병들 력(역), 병들어 기댈 력(역)
'第七' 카테고리의 다른 글
276. 𠔼 겹쳐 덮을 모 (0) | 2021.08.22 |
---|---|
275. 冖 덮을 멱 (0) | 2021.08.21 |
273. 㝱 꿈 몽 (0) | 2021.08.21 |
272. 穴 구멍 혈 (0) | 2021.08.21 |
271. 呂 등뼈 려 (0) | 2021.08.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