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寐而有覺也。从宀从疒,夢聲。《周禮》: 以日月星辰占六㝱之吉凶:一曰正㝱,二曰㖾㝱,三曰思㝱,四曰悟㝱,五曰喜㝱,六曰懼㝱。
o 잠을 자면서도 깨어있는 상태를 가리킨다.
o 宀 집 면을 따르며 疒 병질 녁을 따르고, 夢 꿈 몽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주례》에 의하면 일월성신(日月星辰)으로써 여섯 가지 꿈, 즉 ① 정몽(正㝱), ② 악몽(㖾㝱), ③ 사몽(思㝱), ④ 오몽(悟㝱), ⑤ 희몽(喜㝱), ⑥ 구몽(懼㝱)의 길흉을 점친다고 한다.
o 㝱은 宀爿苜冖夕, 즉 宀 집 면과 爿 나뭇조각 장, 苜 거여목 목, 冖 덮을 멱, 夕 저녁 석으로 구성된다.
o 저녁(夕 night)에 집(宀 house)에서 사람(冖)이 침대(片)에 누워 있고(a person 人 lying on a bed), 苜 거여목 목은 눈과 그 위에 있는 눈썹을 나타내며 꿈을 꾸고 있다는 의미이다.
o 㝱은 宀爿夢, 즉 宀 집 면과 爿 나뭇조각 장, 夢 꿈 몽으로 구성된다고 보기도 한다.
o 夢 꿈 몽과는 같은 글자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㝱의 부수는 宀(갓머리)이다.
[㝱部]
㝲 잘 침 《說文》 病臥也。从㝱省,练省聲。
o 병으로 자리에 누워 있다.
o 㝱 꿈 몽의 생략형을 따르고, 练 익힐 련의 생략형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㝲은 宀爿卝罒冖帚, 즉 宀 집 면과 爿 나뭇조각 장, 卝 쌍상투 관, 罒 눈 목, 冖 덮을 멱, 帚 비 추로 구성된다.
o 寢 잘 침은 같은 글자이다.
o 寑 잠 잘 침은 같은 글자이다.
寐 잘 매 《說文》 臥也。从㝱省,未聲。
o 누워 자다(sleep).
o 㝱 꿈 몽의 생략형을 따르고, 未 아닐 미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방안에서 혹은 침상(寢牀)에 누워 잠을 자는 모양을 나타내고, 未 아닐 미는 덮개를 가리킨다.
o 寐 곤들매기 매로도 쓰고, 鮇 곤들매기 매와 같은 글자이다.
寤 깰 오, 잠 깰 오 《說文》 寐覺而有信曰寤。从㝱省,吾聲。一曰晝見而夜㝱也。
o 누워 자다가 깨어 깨달아 아는 경우를 寤 잠 깰 오라고 한다.
o 㝱 꿈 몽의 생략형을 따르고, 吾 나 오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일설은 낮에는 보이고, 밤에는 흐릿하다는 의미라고 본다.
o 悟 깨달을 오 窹 깰 오, 깨달을 오는 같은 글자이다.
𡫽 거짓 잠잘 오 《說文》 楚人謂寐曰𡫽。从㝱省,女聲。
㝥 잠 깊이 들 미 《說文》 寐而未厭。从㝱省,米聲。
o 누워 잠을 자고 악몽(惡夢) 없이 편히 깊이 자다.
o 㝱 꿈 몽의 생략형을 따르고, 米 쌀 미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𡬄 깊이 잠들 계 《說文》 孰寐也。从㝱省,水聲。讀若悸。
寎 놀랄 병 《說文》 臥驚病也。从㝱省,丙聲。
o 누워 자다가 놀라서 정신이 나가다.
o 㝱 꿈 몽의 생략형을 따르고, 丙 남녘 병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窉 놀랄 병은 같은 글자이다.
寱 잠꼬대 예 《說文》 瞑言也。从㝱省,臬聲。
o 잠꼬대, 즉 잠을 자면서 자기도 모르게 중얼거리는 헛소리(talk in one's sleep)를 가리킨다.
o 㝱 꿈 몽의 생략형을 따르고, 臬 말뚝 얼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囈 잠꼬대 예 䆿 잠꼬대 예는 같은 글자이다.
寣 아이 울 홀 《說文》 臥驚也。一曰小兒號寣寣。一曰河內相𧦝也。从㝱省,从言。
o 누워 자다가 놀라다.
o 일설은 아이가 소리 높여 크게 울다는 의미하고 본다.
o 일설은 하내(河內)라는 지방에 있는 상홀(相𧦝)을 가리킨다고 본다.
o 㝱 꿈 몽의 생략형을 따르고, 言 말씀 언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English] mèng
dream
have dreams
(figuratively) dream, aspiration, ambition, goal 我有一个梦 [wǒ yǒu yīge mèng] I have a dream.
visionary, imaginary, wishful
[同意漢字]
夢 꿈 몽
梦 꿈 몽
'第七' 카테고리의 다른 글
275. 冖 덮을 멱 (0) | 2021.08.21 |
---|---|
274. 疒 병질 녁 (0) | 2021.08.21 |
272. 穴 구멍 혈 (0) | 2021.08.21 |
271. 呂 등뼈 려 (0) | 2021.08.20 |
270. 宮 집 궁 (0) | 2021.08.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