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七

259. 臼 절구 구

by kimlaw 2021. 8. 15.

說文舂也古者掘地為臼其後穿木石象形米也

o 쌀을 찧다.

o 절구를 가리킨다.

절구질 하는 모양(기산 김준근, 1880)

o 옛날에는 땅을 파서 절구를 만들기도 하고, 그 후에는 나무나 돌에 구멍을 뚫어 절구를 만들기도 한다.

절구(돌)
절구(나무)

o 상형문자이고, 절구(mortar)를 상형한다.

설문해자
戰國
戰國

o 절구 안에 있는 물건은 쌀을 상형한다.

o 부수명칭은 절구구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うす()라 하고, 영어로는 radical mortar라 한다.

 

[臼部]

舂 찧을 용 《說文》 擣粟也。从廾持杵臨臼上。午,杵省也。古者雝父初作舂。

o 곡식을 찧다.

방아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양손()에 공이()를 들고 절구() 안에 있는 곡식을 찧는 모양을 상형한다.

商-殷墟甲骨文
周中

o 낮 오는 공이 저의 생략형이다.

o 고대에 방아를 처음 만들어 사용한 사람은 옹부(雝父)이다.

방아의 원리

o 두 손으로 받들 공(both hands)을 따르고, 낮 오(pestle)를 따르며, 절구 구(mortar)를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봄 춘은 매우 비슷한 글자이므로, 혼동하기 쉽다.

o 以戈舂黍(이과용서)창으로 기장을 찧다”, 즉 터무니 없이 허황되어 전혀 목적을 이룰 수 없는 행동을 비유적으로 가리킨다.

𦥭 방아찧을 박 說文齊謂舂曰𦥭从臼屰聲讀若膊

臿 가래 삽 《說文》 舂去麥皮也。从臼,干所以臿之。

o 방아를 찧어 보리의 껍데기를 제거하다(separate the grain from the husk.

o 절구 구를 따르고, 절굿공이()가 있으므로 찧을 수 있다.

설문해자

o 방패 간은 절굿공이를 가리킨다.

o 회의문자이다.

o 千臼, 일천 천과 절구 구로 구성된다.

퍼낼 요 《說文》 抒臼也。从爪、臼。《詩》曰:或簸或舀。

o 절구에서 찧은 곡식을 퍼내다(ladle).

o 손톱 조(hand), 절구 구(motar)를 따른다.

설문해자

o 절구 안으로 손을 펼쳐 찧은 곡식을 퍼내고 있다는 의미이다.

周-朕匜盖

o 회의문자이다.

o 시경에서 이르기를 혹파혹요(或簸或舀), 즉 키를 위와 아래로 까불러 곡식의 티나 검불 따위를 날려 버리기도, 퍼내기도 한다고 한다.

o 퍼낼 요, 퍼낼 유는 같은 글자이다.

臽 함정 함 《說文》 小阱也。从人在臼上。

o 작은 함정을 가리킨다.

o 절구 구(trap) 위에 사람()이 있고, 함정에 빠진 사람(a person falling into a trap)을 가리킨다.

설문해자
周晩

o 회의문자이다.

o 갑골문에서는 鹿 사슴 록(deer), 입 벌릴 감(pit)을 따르기도 하고, 사슴(鹿)이 짐승을 잡기 위하여 파 놓은 허방다리()에 빠진 모양(a deer falling into a trap)을 상형한다.

상-은허갑골문
상-은허갑골문

o 양 양(sheep), 입 벌릴 감(pit)을 따르고, 양이 허방다리()에 빠진 모양을 상형하기도 한다.

상-은허갑골문

o 돼지 시(pig), 입 벌릴 감(pit)을 따르고, 돼지가 허방다리()에 빠진 모양을 상형하기도 한다.

상-은허갑골문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사람(여인)이 움푹하게 파인 허방다리()에 빠진 모양을 상형하기도 한다.

상-은허갑골문
商代

o 설문해자에서는 사람 인을 따르고, 절구 구를 따른다.

o , 칼도 도와 절구 구로 구성된다.

o 勹臼, 쌀 포와 절구 구로 구성된다고 볼 수도 있다.

 

[(절구구)가 부수로 들어간 글자]

함정 함 잠깐 유 가래 삽 퍼낼 요, 퍼낼 유 마주 들 여 방아 찧을 벌, 방아 찧을 폐 찧을 용, 종족 이름 창 쥐 서 신 석, 까치 작 신 석, 까치 작 𦥯 배울 학 시아비 구 더불 여, 줄 여 與天地無窮(여천지무궁) 미상 일 흥, 피 바를 흔咸興差使(함흥차사) 방아 찧을 탕 수레 여, 명예 예 들 거 절구질할 차 𦦙 들 거 예 구 틈 흔 𦦵 미상 𦧃 미상

 

[(절구 구)가 자부로 들어간 글자]
우뚝할 홀 두레박 구 노인의 이 구

지빠귀 구
아이 아, 어릴 예 男兒一言重千金(남아일언중천금) 법 예 미숫가루 구, 미숫가루 우 새벽 신 티티새 곡, 티티새 국, 티티새 구 쥐 서

함정 함 𡚒 미상 겹칠 답

막을 국

모을 부, 자락 큰 옷 보, 우거질 유
바람 소리 수 𢝘 미상 모을 열, 꾸밀 날 개흙 열(), 개흙 날 헐뜯을 훼, 성낼 녈() 위태로울 얼 불 훼
헐 훼 積功之塔豈毁乎(적공지탑기훼호) 헐 훼

𢶽 미상

 

[English] jiù

mortar (hollow vessel used to pound or crush ingredients)
something which resembles a mortar
millstone

socket at a bone joint

 

[유사한자] 臼𦥑白曰日
절구 구

𦥑 깍지 낄 국, 들 거

흰 백, 아뢸 백

가로 왈

날 일, 해 일

 

'第七' 카테고리의 다른 글

261. 朩 삼줄기 껍질 빈  (0) 2021.08.15
260. 凶 흉할 흉  (0) 2021.08.15
258. 毇 쓿을 훼  (0) 2021.08.14
257. 米 쌀 미  (0) 2021.08.14
256. 香 향기 향  (0) 2021.08.1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