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六

214. 巿 무성할 발

by kimlaw 2021. 7. 24.

《說文》 艸木盛巿巿然。象形,八聲。讀若輩。
o 초목이 무성한 모양이다.
o 상형문자이고, 八 여덟 팔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설문해자는 屮 싹 날 철과 八 여덟 팔를 따른다고 본다.
o 巿는 一巾, 즉 一 한 일과 巾 수건 건으로 구성된다.
o 輩 무리 배와 같게 발음한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巿의 부수는 巾(수건건)이다.

[巿部]
𢍚 초목 우부룩할 위 《說文》 艸木𢍚孛之皃。从巿畀聲。
索 찾을 색, 동아줄 삭, 노 삭, 채소 소, 구할 소 《說文》 艸有莖葉,可作繩索。从巿、糸。杜林說:巿亦朱木字。
o 식물에 줄기와 잎이 있으므로, 노와 새끼(large rope, cable)를 만들 수 있다.
o 巿 무성할 발, 糸 가는 실 멱을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두림(杜林)은 巿 무성할 발은 주목(朱木)을 의미하는 글자라고 본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양 손으로 동아줄, 노, 새끼를 잡아 당기는 모양을 나타낸다.

상-은허갑골문
周中
周晩
戰國

o 䌇 찾을 색은 같은 글자이다.
孛 안색 변할 발, 살별 패 《說文》 𢍚也,从巿;人色也,从子。《論語》曰 : 色孛如也。
o 초목이 무성한 모양(luxuriantly)이고, 巿 무성할 발을 따른다.
o 살색이므로, 子 아들 자를 따른다.

설문해자

o 헤성(彗星 comet)을 가리킨다.
o 《논어》에서 이르기를 색발여야(色孛如也)라고 한다.
《論語 鄉黨》 君召使擯,色勃如也,足躩如也。
《논어 향당》 군소사빈,색발여야,족곽여야。
임금이 공자를 불러 국빈을 대접하게 할 때에는 공자는 안색이 변하고, 앞으로 나아가면서는 발걸음을 조심한다.
When the prince called him to employ him in the reception of a visitor, his countenance appeared to change, and his legs to move forward with difficulty.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子 아들 자의 머리에 초목이 무성하게 자라는 모양(growing)을 나타내고, 살색이 성(盛)하다, 죽 기운이나 세력이 한창 왕성하다(vibrant, spirited)는 의미이다.

상-은허갑골문
周晩
春秋

o 勃 성할 발(exuberant)의 본자라고 보고, 논어에서는 勃 성할 발로 쓰기도 한다.
o 孛 어지럽힐 패로도 쓰고, 후에 만든 悖 거스를 패와 같은 글자이다.
o 孛는 十冖子, 즉 十 열 십과 冖 덮을 멱, 子 아들 자로 구성된다.
o 살별은 미성(尾星), 혜성을 가리킨다.
𠂔 그칠 지 《說文》 止也。从巿盛而一橫止之也。
o 그치다(stop).
o 초목이 무성한 모양을 따르고, 一 한 일로 더 이상 자라지 못하고 그친다는 의미이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南 남녁 남, 나무 나 《說文》 艸木至南方,有枝任也。从巿𢆉聲。
o 초목이 남방에 다리를 잡고, 가지를 뻗다.
o 巿 무성할 발을 따르고, 𢆉 찌를 임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汉-袁安碑

o 형성문자이다.
o 매달려 있는 용종(a hanging bell)을 상형한다고 보고, 고대중국에서 주로 남방에서 사용한 악기(ancient music instrument played in the south of China)이므로 후에 남방을 가리키는 南 남녁 남으로 가차되어 사용하게 된 글자라고 본다.

周早
春秋
용종

o 일설은 거북의 등껍데기를 상형하고, 㱿 껍질 각의 본자라고 보기도 한다.

春秋

o 일설은 고대중국에서 주로 남방에 사는 사람이 거주한 주택을 상형한다고 보고, 후에 남녘(south)을 의미하는 南 남녁 남으로 가차된 글자라고 본다.

상-은허갑골문
상-은허갑골문
商代
남방주택

o 南 나무 나로도 쓰고, 나무(南無)는 나무아비타불(南無阿彌陀佛)이나 나무관세음보살(南無觀世音菩薩萨)과 같이 불교에서 부처에게 돌아가 의지한다는 의미이다.
o 北 북녘 북은 상대되는 글자이다.

[市(저자 시)가 자부로 들어간 글자]
䢌 다니는 모양 발 䟛 급히 가는 모양 발, 급히 가는 모양 비, 걸어넘을 패, 뛸 불

[巿(슬갑 불)이 자부로 들어간 글자]
㤄 노할 패, 기뻐하지 않을 발 杮 대팻밥 폐 犻 개 성난 모양 패 㺻 미상 䍨 암양 발 䑔 방아 찧을 벌, 방아 찧을 폐 䣪 술기운 발 馷 날랠 패 䰽 돌고래 패
芾 작은 모양 비, 작은 모양 패, 우거질 불, 슬갑 불

[English] pó
grow
multiply

[유사한자] 巿市巿
巿 무성할 발
市 저자 시 《說文》 買賣所之也。市有垣,从冂从绁,绁,古文及,象物相及也。之省聲。market, fair, trade
o 사고 파는 장소이다.
o 저자에는 울타리가 있으므로, 冂 멀 경을 따르고, 绁 고삐 설을 따른다.

戰國
설문해자

o 绁 고삐 설은 고문(古文)으로 及 미칠 급이고, 물건이 서로 미친다는 의미이다.
o 之 갈지의 생략형이 성부이다.

o 市는 亠巾, 즉 亠 돼지해머리 두와 巾 수건 건로 구성된다.

巿 [fú] 슬갑 불 《說文》 韠也。上古衣蔽前而已,巿以象之。天子朱巿,諸矦赤巿,大夫葱衡。从巾,象連帶之形。a sacrificial clothing, a cloth apron or lether knee pad, a kind of clothing in ancient China


[유사한자] 巿帀
巿 무성할 발
帀 두를 잡

'第六'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6. 乇 풀입 탁  (0) 2021.07.24
215. 生 날 생  (0) 2021.07.24
213. 出 날 출  (0) 2021.07.24
212. 帀 두를 잡  (0) 2021.07.24
211. 之 갈 지  (0) 2021.07.2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