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說文》 艸葉也。从垂穗,上貫一,下有根。象形。
o 풀입을 가리킨다.
o 고개를 숙인 이삭을 따르고, 위에 땅을 가리키는 一 한 일이 가로지르고 있고, 그 아래에는 뿌리가 있다.


o 상형문자이고, 줄기가 땅 위로 돋아나 크게 자란 모양을 상형한다.

o 毛 털 모의 생략형을 따르고, 毛의 생략형은 또한 성부이다.
o 乇는 丿七, 즉 丿 삐침 별과 七 일곱 칠로 구성된다.
o 乇 부탁할 탁으로도 쓰이며, 託 부탁할 탁과 같은 글자이다.
o 단독으로는 사용되지 않고, 주로 다른 글자의 자부로 사용된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乇의 부수는 丿(삐침)이다.
[乇(부탁할 탁)이 자부로 들어간 글자]
託 부탁할 탁 托 밀 탁
宅 집 택
[English] zhé
sprout 苗 모 묘
grass leaf
[English] tuō
depend on
entrust with 託 부탁할 탁
'第六'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8. 𠌶 꽃 화 (0) | 2021.07.24 |
---|---|
217. 𠂹 드리울 수 (0) | 2021.07.24 |
215. 生 날 생 (0) | 2021.07.24 |
214. 巿 무성할 발 (0) | 2021.07.24 |
213. 出 날 출 (0) | 2021.07.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