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六

211. 之 갈 지

by kimlaw 2021. 7. 24.

《說文》 出也。象艸過屮,枝莖益大,有所之。一者,地也。
o 나다(grow).
o 초목이 처음 싹이 나온 후 가지와 줄기가 점차 자라나면서 뻗어 나가므로(象艸过屮, 枝茎益大), 간다(之)는 의미이다.

戰國
戰國

o 설문해자는 회의문자(會意文字)이고, 止 발 지(foot)와 一 한 일(the beginning place)을 따른다고 본다.

商-殷墟甲骨文
설문해자

o 一 한 일은 땅(地)을 가리킨다.
o 之는 丶一丿乀, 즉 丶 점 주와 一 한 일, 丿 삐침 별, 乀 파임 불로 구성된다.
o 㞢 갈 지는 고자(古字)이다.

秦-李斯 《峄山刻石》

o 지시대명사(I;he;her;it;they;them, this;that, its;his;other)로 사용되기도 한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之의 부는 丿(삐침별)이다.

[之部]
㞷 초목 무성할 왕 《說文》 艸木妄生也。从之在土上。讀若皇。
o 초목이 무성하게 나서 자라다.
o 土 흙 토 위에 있는 之 갈 지를 따른다.

설문해자

o 皇 임금 황과 같게 발음한다.
o 망생(妄生)은 장소를 불문하고 어디에서나 나서 자란다(妄生謂非所宜生)는 의미이다.

[之(갈 지)가 자부로 들어간 글자]
乏 모자랄 핍 芝 지초 지 㝎 정할 정, 이마 정 㞫 달릴 주 椘 초나라 초, 회초리 초

[English] zhī
go to
leave for
arrive at
zigzag
winding
expletive
third person, objective case - her / him / them, this / that / these / those, it
( possessive particle ) of

'第六'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3. 出 날 출  (0) 2021.07.24
212. 帀 두를 잡  (0) 2021.07.24
210. 叒 나무 이름 약  (0) 2021.07.24
209. 才 재주 재  (0) 2021.07.24
208. 林 수풀 림  (0) 2021.07.2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