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六

215. 生 날 생

by kimlaw 2021. 7. 24.

《說文》 進也。象艸木生出土上。
o 나아가다, 오르다.
o 초목(屮)이 새싹을 튀워 땅(土) 위로 솟아난 모양(a sprout coming out of the ground)을 상형한다.

설문해자
周中
周中
春秋

o 상형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屮 싹날 철과 一 한 일로 구성되고, 屮 싹날 철은 초목의 새싹(bud), 一 한 일은 땅(ground)을 가리킨다.

商-殷墟甲骨文
周早
새싹

o 生은 𠂉土, 즉 𠂉 미상과 土 흙 토로 구성된다.

o 牛一, 소 우와 한 일로 구성되고, 소가 땅 위를 가는 모양을 나타낸다고 볼 수도 있다.
o 부수명칭은 「날생」이라 한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いきる, うまれる, せい, しょう라 하고, 영어로는 radical life라 한다.

[生部]
丰 어여쁠 봉, 예쁠 봉, 풍채 풍 《說文》 艸盛丰丰也。从生,上下達也。
o 풀이 무성하고(abundant, lush) 예쁘다.
o 生 날 생을 따르고, 위와 아래로 통하는 모양이다.

설문해자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상형문자이고, 초목이 아주 튼튼하고 예쁘게 자라는 모양을 상형한다.

상-은허갑골문
商代

o 仹 예쁠 봉, 풍채 풍 䒠 풀 무성할 봉, 풀 무성할 할은 같은 글자이다.
o 豐 풍년 풍의 간체자이다.
産 낳을 산, 기를 산 《說文》 生也。从生,彥省聲。
o 낳다.
o 生 날 생, 彥 선비 언의 생략형을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产은 간체자이다.
隆 높을 륭(늉) 《說文》 豐大也。从生降聲。
o 풍년이 들어 성대하다.
o 生 날 생을 따르고, 降 내릴 강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甤 열매 많이 열릴 유 《說文》 草木實甤甤也。从生,豨省聲。讀若綏。
o 초목에 영매가 주렁주렁 열리다.
o 生 날 생을 따르고, 豨 돼지 희의 생략형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綏 깃장식 유와 같게 발음한다.
甡 모이는 모양 신 《說文》 眾生並立之兒。从二生。《詩》曰 : 甡甡其鹿。
o 초목이 무리로 솟아나 나란히 자라는 모양이다.
o 두 개의 生 날 생을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시경》에서 이르기를 신신기록(甡甡其鹿), 즉 "사슴이 무리를 지어 모여 있다"고 한다.
《詩經》 瞻彼中林 甡甡其鹿 朋友已譖 不胥以穀 人亦有言 進退維谷。
《시경》 첨피중림 신신기록 붕우이참 불서이곡 인역유언 진퇴유곡。

[生(날생)이 부수로 들어간 글자]
産 낳을 산 甥 생질 생 甤 열매 많이 열릴 유

[生(날 생)이 자부로 들어간 글자]
𡊳 미상 夝 맑을 청 姓 성 徃 갈 왕 性 성품 성 性相近習相遠(성상근습상원) 泩 넘칠 생 狌 성성이 성 栍 찌 생 殅 소생할 생 𤇣 미상 牲 희생 생 珄 금빛 생 胜 비릴 성, 이길 승, 새 이름 정 𤬸 미상 𥑥 미상 﨡 미상 旌 기 정 貹 재물 생, 재물 성 鉎 녹 생 𦎡 미상 鮏 비릴 성 𪊟 미상
𡲥 미상 鼪 족제비 생 嬔 번식할 반, 토끼 새끼 부
𠡏 미상 䲼 족제비 생
眚 흐릴 생
苼 생황 생, 꽃 유 星 별 성 笙 생황 생 曐 별 성 㽮 별 성 䴤 짐승 이름 생
隆 높을 륭(융) 三五之隆(삼오지륭)

[English] shēng
live, subsist, exist
grow, develop, bud
bear, give birth / bring up / rear 他妻子生了一对双胞胎女孩。[Tā qīzǐ shēng le yī duì shuāngbāotāi nǚhái] His wife gave birth to twin girls.
be born
come into existence
offspring / descendant
pupil, disciple, student
having life, live
life, being, living
existence
fresh, not stale
unripe
raw, uncooked
strange, unfamiliar
catch (a disease) 我生了什么病? [Wǒ shēng le shénme bìng?] What disease have I got?

[疊字] 生甡
生 날 생
甡 모이는 모양 신

[유사한자] 生玍主
生 날 생
玍 까불 왕
主 주인 주

[用例]
▮ 苦生(고생)
어렵고 고된 일을 겪음
어렵고 고된 일을 겪으며 꾸려가는 생활
trouble, hardship, suffering, difficulty, distress, adversity
a hard[tough] life, privation

▮ 生苦生(생고생)
별 필요나 실속도 없는 괜한 고생

[成語]
□ 焉敢生心(언감생심)
자신의 처치가 경제적으로 어렵거나, 신분이나 지위가 미천하고 낮아서 감히 마음이나 욕심조차도 가슴 속에 품을 수 없다.
감히 바랄 수 없다.

□ 見物生心(견물생심)
어떤 물건을 실제로 보면 가지고 싶은 욕심이 생긴다.
Seeing is wanting. Opportunity makes the thief.

□ 生面不知(생면부지)
한 번도 실제로 만나본 적이 없어 전혀 알지 못한다.
a perfect stranger

□ 生老病死(생노병사) [shēng lǎo bìng sǐ]
사람이 일생 동안 반드시 겪어야 하는 고통, 즉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네 가지 큰 고통
be born, get old, become ill and die
fate of humankind
mortality

□ 枯木生花(고목생화)
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
곤궁하기 짝이 없는 사람에게 행운이 찾아와 만사가 형통하게 된다.
다 망한 집안에서 훌륭한 자손이 나와 가문을 다시 일으키고 후손이 번성하며 영달하게 된다.

《論語 爲政》 孟懿子問孝。子曰: "無違。" 樊遲御,子告之曰:"孟孫問孝於我,我對曰無違。" 樊遲曰: "何謂也?" 子曰: "生事之以禮;死葬之以禮,祭之以禮。"
《논어 위정》 맹의자문효。자왈: "무위。" 번지어,자고지왈: "맹손문효어아,아대왈무위。" 번지왈: "하위야?" 자왈 : "생사지이례;사장지이례,제지이례。"
맹의자가 공자에게 효도에 대하여 묻는다. 공자가 대답한다 : "무위(無違 어기지 마라, 즉 불효를 하지 마라 혹은 예에 어긋나지 마라 not being disobedient)이다." 얼마 후 번지가 수레를 몰고 공자에게 오자, 공자가 번지에게 맹손이 효도에 대하여 물어 효도란 무위라고 알려준 사실을 전한다. 번지가 되묻는다 : "무슨 의미입니까?" 공자가 이른다 : "부모가 살아계실 때에는 예의를 다하여 섬기고, 돌아가신 후에는 예법에 따라 장례를 지내며, 또한 예법에 따라 제사를 지내야 한다."
Meng Yi asked what filial piety was. The Master said, "It is not being disobedient." Soon after, as Fan Chi was driving him, the Master told him, saying, "Meng-sun asked me what filial piety was, and I answered him, - 'not being disobedient.'" Fan Chi said, "What did you mean?" The Master replied, "That parents, when alive, be served according to propriety; that, when dead, they should be buried according to propriety; and that they should be sacrificed to according to propriety."

《論語 季氏》 孔子曰: 生而知之者,上也;學而知之者,次也;困而學之,又其次也;困而不學,民斯為下矣。
《논어 계씨》 공자왈:생이지지자,상야;학이지지자,차야;곤이학지,우기차야;곤이불학,민사위하의。
태어나면서부터 저절로 아는 사람이 최상이다. 배워서 아는 사람이 그 다음이다. 게으르고 멍청한 사람일지라고 열심히 배우면 그 다음이다. 게으르고 멍청하면서도 배우지 않으면 백성으로서 최하이다.
Confucius said, Those who are born with the possession of knowledge are the highest class of men. Those who learn, and so, readily, get possession of knowledge, are the next. Those who are dull and stupid, and yet compass the learning, are another class next to these. As to those who are dull and stupid and yet do not learn - they are the lowest of the people.

'第六'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7. 𠂹 드리울 수  (0) 2021.07.24
216. 乇 풀입 탁  (0) 2021.07.24
214. 巿 무성할 발  (0) 2021.07.24
213. 出 날 출  (0) 2021.07.24
212. 帀 두를 잡  (0) 2021.07.2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