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五

198. 夊 천천히 걸을 쇠

by kimlaw 2021. 7. 11.

《說文》 行遲曳夊夊,象人兩脛有所躧也。
o 느릿느릿 천천히 걷다(go slowly).

o 설문해자는 마치 사람이 두 다리로 천천히 걷는 모양을 성형한다고 본다.

설문해자

o 사람이 천천히 걸을 때에 생긴 발자국(footprint)의 모양을 나타낸다.

상-은허갑골문
상-은허갑골문

o 止 발 지도 비슷한 모양이지만 다리가 위를 향하고 있고, 㐄 큰 걸음으로 걸을 과는 다리가 아래를 향하면서 발가락은 왼쪽을 향하고 있는 차이가 있다.

o 夊는 ク乀, 즉 사람의 두 다리를 나타내는 ク 미상과 걷는 모양을 나타내는 乀 파임 볼로 구성된다.

o 夂 뒤쳐져 올 치, 攵 칠 복과 비슷하나, 다른 글자이다.
o 부수명칭은 「천천히걸을쇠」, 「천천히걸을쇠발」이라 한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すいにょう(夂繞), すいにゅう, 夏 여름 하의 발에 들어간다는 의미에서 なつあし(夏脚)라 하고, 중국에서는 折文(절문)이라 하며 영어로는 radical go slowly라 한다.

[夊部]
夋 천천히 걷는 모양 준 《說文》 行夋夋也。一曰倨也。从夊允聲。
o 쉬엄 쉬엄 걷다.
o 준준(夋夋)은 쉬다 가다를 반복하며 천천히 걷는 모양을 나타낸다.
o 일설은 한참을 걷다가 걸터앉아 있다는 의미라고 본다.
o 夊 천천히 걸을 쇠를 따르고, 允 맏 윤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𡕨 옛길을 갈 복 《說文》 行故道也。从夊,畗省聲。
夌 언덕 릉 《說文》 越也。从夊从𡴆。𡴆,高也。一曰夌约也。
致 이를 치, 이룰 치, 빽빽할 치 《說文》 送詣也。从夊从至。

o 보내어 이르다.

o 천천히 걸을 쇠를 따르고, 이를 지를 따른다.

설문해자
周中

o 회의문자이다.

憂 근심 우 《說文》 和之行也。从夊𢚧聲。《詩》曰 : 布政憂憂。
愛 사랑 애 《說文》 行皃。从夊㤅聲。
o 가는 모양이다.
o 夊 천천히 걸을 쇠를 따르고, 㤅 사랑 애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가는 모양이므로, 夊 천천히 걸을 쇠를 따른다(行皃也, 故从夊).
o 㤅 사랑 애는 고자(古字)이고, 心 마음 심(heart)을 따르며, 旡 목멜 기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사람의 가슴 속에 따듯한 마음()을 품고 있다는 의미이다.

清-王福庵
元-赵孟頫

o 후에 의미가 없는 구성요소로 夊 천천히 걸을 쇠(foot)가 㤅 사랑 애의 아래에 추가된다.

설문해자

o 사람이나 사물에 대한 진지하며 깊고 두터운 감정, 즉 사랑을 의미한다.

Maldives
Voh in New Caledonia

o 爱는 간체자이다.
𡰿 걷는 모양 복 《說文》 行𡰿𡰿也。从夊,闕。讀若僕。
竷 북칠 감 《說文》 繇也舞也。樂有章。从章从夅从夊。《詩》曰 : 竷竷舞我。
𡕢 두개골 범 《說文》 瑙蓋也。象皮包覆瑙,下有兩臂,而夊在下。讀若范。
夏 여름 하, 중국 하, 개오동나무 가 《說文》 中國之人也。从夊从頁从𦥑。𦥑,兩手;夊,兩足也。
o 중국민족, 즉 화하민족(華夏民族), 한족(漢族 Chinese)을 지칭한다.
o 설문해자는 夊 천천히 걸을 쇠을 따르고, 頁 머리 혈을 따르고, 𦥑 깍지 낄 국을 따른다고 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頁 머리 혈은 사람의 머리와 몸통을 나타내고, 𦥑 깍지 낄 국은 양손을 가리키며, 夊 천천히 걸을 쇠는 두 다리를 가리키므로, 전체적으로 사람이 무릎 위에 양손을 올려놓고 앉아 있는 모습을 상형한다.

戰國
春秋
黃帝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日 날 일(sun)과 頁 머리 혈(head, man)을 따르고, 뜨거운 태양 아래 사람(man under the scorching sun)이 있으므로, 여름(summer)을 의미한다.

상-은허갑골문
商代

o 해 일과 머리 혈, 발 지 혹은 足 발 족을 따른다고 보기도 한다.

周早
春秋

o 금문에서는 춘추시대로부터 여러 가지 글자가 나타나며, 사람을 나타내는 頁 머리 혈 아래에 止 발 지(foot)가 추가되기도 하고, 日 날 일을 대신하여 𦥑 깍지 낄 국(two hands)이 추가되어 양손을 나타내기도 한다.

春秋

o 후에는 止 발 지가 夊 천천히 걸을 쇠로 바뀌기도 한다.
o 전국시대에는 日 날 일과 止 발 지, 頁 머리 혈로 구성된 서체가 많고, 후에는 止 발 지가 足 발 족으로 변하기도 한다.
o 현재 사용되는 夏 여름 하는 설문해자가 채택한 전서로부터 頁 머리 혈에서는 다리를 제거하고, 𦥑 깍지 낄 국을 없앤 글자이다.

唐-颜真卿

o 昰 여름 하, 夓 여름 하도 같은 글자이다.
o 봄 춘(chūn, spring), 여름 하 (xià, summer), 가을 추(qiū, fall, autumn), 겨울 동(dōng, winter)을 사계(四季 sìjì, four seasons)라 한다.

o 부수는 夊(천천히걸을쇠발)이다.

畟 날카로울 측 《說文》 治稼畟畟進也。从田、人,从夊。《詩》曰 : 畟畟良耜。

o 곡식을 심고 가꾸기 위하여 날카로운 보습으로 밭을 갈다.

o 밭 전, 사람 인을 따르고, 천천히 걸을 쇠를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시경에서 이르기를 측측량사(畟畟良耜)라 한다.

㚇 오므릴 종, 말굴레 종 《說文》 斂足也。鵲鵙醜,其飛也㚇。从夊兇聲。
夒 원숭이 노 《說文》 貪獸也。一曰母猴,似人。从頁,巳、止、夊,其手足。
o 탐욕스런 짐승이다.
o 일설은 어미원숭이이며, 사람의 얼굴과 손발을 닯은 모습이라고 한다.
o 頁 머리 혈을 따르고, 사람의 얼굴을 성형한다.
o 巳 뱀 사, 止 발 지, 夊 천천히 걸을 쇠를 따르고, 巳 뱀 사와 止 발 지는 사람의 손과 비슷한 모양이고, 夊 천천히 걸을 쇠는 다리를 상형한다.

商代
설문해자

o 夒는 一止自巳八夂, 즉 원숭이가 매달려 있는 나뭇가지를 나타내는 一 한 일, 원숭이의 왼손을 나타내는 止 발지, 얼굴을 나타내는 自 스스로 자, 오른손을 나타내는 巳 뱀 사, 몸통을 나타내는 八 여덟 팔, 다리를 나타내는 夊 천천히 걸을 쇠로 구성된다.
o 상형문자이고, 사람과 닮은 원숭이의 머리, 손발을 상형한다.

商-殷墟甲骨文
周早
商代
周晩

o 猱 원숭이 노, 원숭이 뉴(유), 원숭이 요의 본자(original form)이다.
o 獶 원숭이 노 獿 원숭이 노도 같은 의미이다.
夔 조심할 기 《說文》 神魖也。如龍,一足,从夊;象有角、手、人面之形。
o 고대중국에서 전설에 나오는 괴수(怪兽)이다.
o 용(龍)을 닮고, 외발(one-legged monster)이라고 한다.
o 夊 천천히 걸을 쇠를 따른다.
o 뿔과 손, 사람의 얼굴을 상형한다.

商-殷墟甲骨文
商代
설문해자

o 상형문자이다.

o 상(商)나라와 주(周)나라에서는 기문(夔纹)을 동기(銅器)에 새겨 넣기도 한다.

기문(夔纹)

o 일설은 나무나 돌에 붙는 괴물(木石之怪曰夔)라고 한다.
o 기기(夔夔)라고 하면 두려워하여 삼가는 모양을 나타낸다.
o 夔는 丷夒, 즉 丷 구결자 하와 夒 원숭이 노로 구성된다.
o 𡖂 조심할 기 䕫 조심할 기도 같은 글자이다.
夎 절 좌 《說文》 拜失容也。从夊坐聲。

o 예의에 어긋나게 무릎을 꿇지 않고 하는 절을 가리킨다.

o 천천히 걸을 쇠를 따르고, 앉을 좌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夊(천천히 걸을 쇠)가 자부로 들어간 글자]
䒘 꽃술 수, 생강 유 麦 보리 맥 畟 날카로울 측 憂 근심 우 識字憂患(식자우환) 我有憂患 兄弟亦憂(아유우환 형제역우) 𧃍 조심할 기 𧃰 조심할 기 囱 창 창, 바쁠 총 後 뒤 후, 임금 후 死後藥方文(사후약방문)

[English] suī
foot
foot print
not 攵 攴
context equivalent 夂

[유사한자] 夂夊攵
夂 뒤져 올 치 - 夆 끌 봉 峰(峯) 봉우리 봉 蜂 벌 봉 鋒 칼끝 봉 烽 봉화 봉 埄 먼지 일어날 봉
夊 천천이 걸을 쇠 - 夌 언덕 릉(능) 夎 절 좌 夏 여름 하 夐 멀 형 虁 조심할 기
攵(攴) 칠 복 [등글월문] - 政 정사 정 敏 재빠를 민 敞 높을 창 散 흩을 산 整 가지런할 정 敷 펼 부 數 셀 수
o 夂 뒤져 올 치 夊 천천이 걸을 쇠 攵 칠 복은 위치별로 자형이 다르다.
o 부수나 자부로 들어갈 때에는 夂 - 머리, 夊 - 발, 攵(攴) - 방에 쓰인다.

'第五'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 舜 순임금 순  (0) 2021.07.12
199. 舛 어그러질 천  (0) 2021.07.11
197. 麥 보리 맥  (0) 2021.07.11
196. 來 올 래  (0) 2021.07.10
195. 嗇 아낄 색  (0) 2021.07.1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