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芒穀,秋穜厚薶,故謂之麥。麥,金也。金王而生,火王而死。从來,有穗者;从夊。
o 까끄라기가 있는 곡식이다.
o 가을에 파종하며 깊이 심으므로, 보리(麥)라 한다.
o 麥 보리 맥은 오행에서 금(金)에 속한다.
o 보리는 금이 왕성하면 잘 자라고, 금과 화(火)는 상극이므로 화가 왕성하면 죽는다.
o 來 [lái] 올 래(ripe, grain)를 따르므로 이삭이 있는 곡식이고, 아래에는 夊 [zhǐ] 천천히 걸을 쇠(foot, walk slowly)가 있다.
o 본래 來 올 래는 보리를 의미하나, 가차된 의미인 ‘오다’(come)라는 의미로 주로 사용되게 되고, 후에 보리를 의미하는 글자로는 麥 보리 맥을 사용하게 된다.
o 麥 보리 맥에서 아래에 들어간 夊 천천히 걸을 쇠는 보리가 하늘로부터 온 곡식(wheat came from the heavens)이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o 麦 보리 맥도 동음동의이다.
o 현재 麦은 간체자이고, 일본에서 사용되는 신자체이다.
o 맥주(麥酒)는 보리의 싹을 틔운 후 맥아효소의 작용으로 보리의 전분을 당화시키고, 홉을 넣어 끓여서 쌉쌀한 맛을 추가하고 발효시킨 술(beer, lager, ale, suds)을 가리킨다.
□ 깡통맥주(캔맥주) canned beer
□ 생맥주 draft beer, beer on draft, beer on tap
□ 병맥주 bottled beer
□ 흑맥주 porter, stout, darkbeer
□ 옥토버페스트 Oktoberfest in Munich, Germany
o 부수명칭은 「보리맥」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むぎ, ばくにょう라 하고, 영어로는 radical wheat라 한다.
[麥部]
麰 보리 모 《說文》 來麰,麥也。从麥牟聲。
o 내모(來麰), 즉 주나라에서 하늘로부터 받은 상서로운 보리를 가리킨다.
o 麥 보리 맥을 따르고, 牟 보리 모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麧 보리 싸라기 흘 《說文》 堅麥也。从麥气聲。
o 부스러진 보리를 가리킨다.
o 麥 보리 맥을 따르고, 气 기운 기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싸라기는 보리나 쌀의 부스러기를 가리킨다.
o 籺 싸라기 혈은 같은 글자이다.
䵀 밀가루에 섞여 있는 싸라기 쇄 《說文》 小麥㞕之覈。从麥瑣省聲。
o 밀가루에 섞여 있는 싸라기를 가리킨다.
o 麥 보리 맥을 따르고, 瑣 자질구레할 쇄의 생략형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䴾 보리를 찧을 차 《說文》 䃺麥也。从麥差聲。一曰擣也。
o 보리를 찧다(grind barley).
o 麥 보리 맥을 따르고, 差 다를 차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일설은 擣 찧을 도와 같은 글자라고 본다.
麩 밀기울 부 《說文》 小麥㞕皮也。从麥夫聲。
o 밀기울을 가리킨다.
o 麥 보리 맥을 따르고, 夫 남편 부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䴸 밀기울 부 麬 밀기울 부 麱 밀기울 부는 같은 글자이다.
o 麸는 간체자이다.
麪 밀가루 면 《說文》 麥末也。从麥丏聲。
o 밀가루를 가리킨다.
o 麥 보리 맥을 따르고, 丏 가릴 면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麫 밀가루 면 麵 밀가루 면도 동음동의이다.
o 面은 간체자이다.
䵂 보리가루 적 《說文》 麥覈㞕也。十斤為三斗。从麥啻聲。
o 보리가루를 가리킨다.
o 10근이 세 말이 된다.
o 麥 보리 맥을 따르고, 啻 뿐 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麷 볶은 보리 풍 《說文》 煑麥也。从麥豐聲。讀若馮。
o 볶은 보리를 가리킨다.
o 麥 보리 맥을 따르고, 豐 풍년 풍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馮 성씨 풍과 같게 발음한다.
o 䵄 볶은 보리 풍은 같은 글자이다.
麮 보리죽 거 《說文》 麥甘鬻也。从麥去聲。
o 맛좋은 보리죽을 가리킨다.
o 麥 보리 맥을 따르고, 去 갈 거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𪍠 누룩 곡 《說文》 餅麴也。从麥㱿聲。讀若庫。
䴳 누룩 활 《說文》 餅麴也。从麥穴聲。
o 누룩(malt, yeast)을 가리킨다.
o 麥 보리 맥을 따르고, 穴 구멍 혈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누룩은 술을 빚는 효소를 지닌 곰팡이를 곡류에 번식시켜 만든 발효원료를 가리킨다.
䴭 누룩 재 《說文》 餅麴也。从麥才聲。
o 누룩을 가리킨다.
o 麥 보리 맥을 따르고, 才 재주 재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麥(보리맥)이 부수로 들어간 글자]
麵 밀가루 면 麪 밀가루 면 麴 누룩 국, 누룩 부 麯(간체자는 曲이다) 누룩 국 麰 보리 모
[麥(보리 맥)이 자부로 들어간 글자]
𠍅 미상 嘜 상표 마, 상표 맥 䥑 말 대가리 장식 맘 䮮 노새 맥 𪄳 미상 䨫 가랑비 맥
[English] mài
wheat
barley
oats
'第五'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9. 舛 어그러질 천 (0) | 2021.07.11 |
---|---|
198. 夊 천천히 걸을 쇠 (0) | 2021.07.11 |
196. 來 올 래 (0) | 2021.07.10 |
195. 嗇 아낄 색 (0) | 2021.07.10 |
194. 㐭 곳집 름 (0) | 2021.07.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