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五

194. 㐭 곳집 름

by kimlaw 2021. 7. 10.

《說文》 穀所振入。宗廟粢盛,倉黃㐭而取之,故謂之㐭。从入,回象屋形,中有戶牖。
o 곡식을 거두어 들이는 장소라는 의미이다.
o 종묘에 제사를 올리기 위하여 익은 곡식(粢(zī)盛-제사에 올릴 곡물, 倉黃-곡물이 익어 색깔이 누렇게 되다)을 베어 보관하므로, 곳집(㐭)이라 부른다.
o 설문해자는 入 들 입을 따르고, 回 돌아올 회는 집을 나타내며 중앙에 창문(온도나 습도를 맞추기 위한 용도)이 있다고 본다.

설문해자
周早

o 추수한 곡식을 보관하는 곳집을 본뜬 상형문자이다.

상-은허갑골문
周晩

o 廩 곳집 름(granary)의 본자(本字 original form)이다.
o 㐭은 亠回, 즉 亠 돼지해머리 두와 回 돌 회로 구성된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㐭의 부수는 亠(돼지해머리)이다.

[㐭部]
稟 녹 품, 곳집 름, 여쭐 품 《說文》 賜穀也。从㐭从禾。
o 곡물을 주다(bestow).
o 일을 시키고 녹으로 곡물은 준다는 의미이다.
o 㐭 곳집 름을 따르고, 禾 벼 화를 따른다.

설문해자

o 稟 곳집 름으로 쓰이고, 禀 곳집 름은 동음동의다.
o 㐭 곳집 름은 수확한 곡물을 보관하는 곳집을 의미하므로, 벼(禾) 혹은 쌀(米 rice)를 수확하여 곳집에 보관한다는 의미이다.

周早
周晩

o 廪 곳집 름은 같은 글자이다.

설문해자

亶 미쁠 단, 믿음 단, 멋대로할 선, 날 선, 머뭇거릴 전, 산 이름 선 《說文》 多穀也。从㐭旦聲。
o 많은 곡물(full of grains)을 뜻한다.
o 㐭 곳집 름을 따르고, 旦 아침 단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擅 멋대로 할 천 壇 단 단 䁴 계속해서 볼 전, 계속해서 볼 선 膻 어께 벗을 단, 누린내 전 驙 힘 부칠 단 澶 물 고요히 흐를 전, 방종할 단 鱣(鳣) 철갑상어 전 蟺 꾸불텅거릴 선 繵 묶을 단, 결박할 단 㣶 달릴 단, 감출 찬 䄠 선 선 䆄 볏단 선 䃪 단 단 譠 속일 탄 檀 박달나무 단 嬗 물려줄 선 儃 머뭇거릴 천, 찬찬할 단, 사양할 선 饘 죽 전 顫(颤) 떨릴 전 鸇 (鹯) 새매 전 氈 모전 전 勯 힘 다할 단 皽 살갗 엷은 막 전 㔊 칠 전, 벨 단, 재상의 채찍 선 氊 모전 전 旜 기 전은 亶(믿음 단)이 자부로 들어간 글자이다.
啚 시골 비, 그림 도 《說文》 嗇也。从口、㐭。㐭,受也。
o 아끼다.
o 口 입 구, 㐭 곳집 름을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㐭 곳집 름(receive)은 받아 보관한다는 의미이다.
o 중국에서는 啚가 口十回, 즉 口 입 구와 十 열 십, 回 돌 회로 구성된다.
o 한국이나 일본, 대만, 홍콩에서는 啚가 口亠回, 즉 口 입 구와 亠 돼지해머리 두, 回 돌 회로 구성된다.
o 啚 그림 도로도 쓰이고, 고문에서 圖(图) 그림 도(picture)와 같은 글자이다.
o 鄙 시골 비(countrified, mean)와 같은 글자이다.

o 비린(鄙吝)은 매우 인색하다는 의미이다.

[㐭(곳집 름)이 자부로 들어간 글자]
禀 여쭐 품, 곳집 름(늠) 稟 여쭐 품, 곳집 름(늠) 亶 믿음 단, 머뭇거릴 전, 산 이름 선
鄙 더러울 비, 마을 비 顲 부황 들 람(남)
壇 단 단, 평탄할 탄, 소제할 선 擅 멋대로 할 천 檀 박달나무 단

[English] lǐn
store house for rice
(same as 廪) granary
supply (foodstuff)
stockpile

[관련한자]
廪 곳집 름 《說文》 本作㐭。穀所振入,宗廟粢盛,倉黃㐭而取之,故謂之㐭。从入,回,象屋形中有戸牖。或从度从禾。
o 㐭 곳집 름이 본자이다.
o 入 들 입을 따르고, 回 돌 회를 따르며, 곳집의 중앙에 창문(戸)이 있는 모양이다.

o 혹설은 度 헤아릴 탁을 따르고, 禾 벼 화 혹은 米 쌀 미를 따른다고도 본다.

o 추수한 벼(禾 米 rice)를 보관하는 곳집을 상형한다.
o 廩 곳집 름도 같은 글자이다.

[참고] 곳집, 곡간
□ 곳집
식량이나 물건 따위를 쌓아 두거나 잘 보관하기 위하여 따로 지은 집
곳간채 혹은 곳간이라고도 하고, 역시 광이나 고방(庫房)이라고도 불린다.
곳간(庫間)은 별채로 두지 않고 안채나 바깥채, 아래채, 행랑채에 같이 둘 수도 있다.
warehouse, storehouse

곳집

□ 곡간(穀間)
오로지 곡식만을 보관해 두는 곳간을 말한다.
food storage place

경주 최부잣집 곡간


경주의 최부자는 9대에 걸쳐 진사라는 벼슬을 하고, 12대 동안 만석을 한 부잣집안으로 유명하다. 최부잣집에서 오랫동안 벼슬이 끊기지 않으면서 부자로 지내온 이유는 대대로 지켜온 6가지 가훈 때문이라고 한다.
① 과거를 보되 진사 이상의 벼슬을 하지 아니한다.
② 재산을 한 해 만석 이상 거두지 아니한다.
③ 과객을 후하게 대접한다.
④ 흉년에는 논밭을 사들이지 아니한다.
⑤ 시집온 며느리는 3년간 무명옷을 입어야 한다.
⑥ 사방 100리 안에 굶어 죽는 사람이 없게 한다.

'第五'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6. 來 올 래  (0) 2021.07.10
195. 嗇 아낄 색  (0) 2021.07.10
193. 畐 가득할 복  (0) 2021.07.10
192. 㫗 두터울 후  (0) 2021.07.10
191. 亯 드릴 향  (0) 2021.07.1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