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五

193. 畐 가득할 복

by kimlaw 2021. 7. 10.

《說文》 滿也。从高省,象高厚之形。
0 가득차다.
o 高 높을 고의 생략형을 따르고, 높고 두터운 술병(jug)의 모양을 상형한다.

설문해자
상-은허갑골문
周晩
商代

o 제사를 지낼 때에 술병에 술을 가득 담아 바치면 복이 돌아온다는 의미이다.
o 畐는 一口田, 즉 一 한 일과 口 입 구, 田 밭 전으로 구성된다.
o 福 복 복의 고자(古字)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畐의 부수는 田(밭전)이다.

[畗部]
良 좋을 량, 어질 량, 무덤 랑, 도깨비 량 《說文》 善也。从畗省,亡聲。
o 어질다
o 선량(善良)은 어질고 착하다(good and honest)는 의미이다.
o 畗 가득할 복의 생략형을 따르고, 亡 망할 망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은 옛날 농촌에서 곡식을 추수하여 탈곡한 후에 바람을 이용하여 곡물에 섞인 쭉정이, 겨, 먼지 따위를 날려서 제거하는 기구로 사용한 풍구((風具 중국에서는 풍거(風柜)라고도 한다)를 상형하며, 중간에 있는 口는 풍구의 몸체를 가리키고, 위에 있는 두 개의 사선은 곡물을 붓는 부분, 아래에 있는 두 개의 사선은 곡물이 내려오는 부분을 가리킨다.

商-殷墟甲骨文
周中

o 검불이나 쭉정이, 겨, 먼지 따위를 모두 날려 보내고, 튼실한 곡물만이 모이므로, 양호하다, 좋다는 의미가 된다.

풍구

o 금문에서는 人 사람 인이 추가되어 농부가 풍구에 곡물을 넣거나 아래에서 알곡을 받는 모양을 강조한다.

春秋
周晩

o 후에 전서에서는 위에 있는 부분이 H와 같은 모양으로 바뀌고, 풍구의 몸체는 曰 가로 왈, 아래에 알곡이 나오는 부분은 亡 망할 망으로 쓰게 된다.

吴大澂

o 良은 丶艮, 즉 丶 점 주(혹은 丨 뚫을 곤, 一 한 일)와 艮 괘 이름 간으로 구성된다.
o 艮 괘 이름 간 皀 고소할 급은 혼동하기 쉬운 유사한자이다.

[관련한자]
福 [fú] 복 복 《說文》 祐也。从示畐聲。
o 복을 의미한다.
o 제사를 모실 때에 제물을 올려 놓는 제단을 나타내는 示 볼 시(sacrifice)를 따르고, 제주(祭酒)가 담긴 술병을 상징하는 畐 가득할 복는 성부이다.

商-殷墟甲骨文
周晩

o 형성문자이다.
o 생활에서 기쁨과 만족감을 느껴 흐뭇한 상태를 행복(幸福  happy, happiness, well-being, welfare, bliss)이라 한다.

▮ 禍(祸) [huò] 재화 화 《說文》 害也,神不福也。从示咼聲。
o 해(害 misfortune, calamity, disaster)를 가리킨다.
o 신이 복을 내리지 아니한다는 의미이다.
o 示 볼 시를 따르고, 咼 입 비뚤어질 와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成語]
轉禍爲福(전화위복)
재앙이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된다.
좋지 않은 일이 계기가 되어 오히려 좋은 결과가 생긴다.
塞翁之馬(새옹지마)도 같은 의미이다.
human destiny being unpredictable

禍福同行(화복동행)
화와 복은 늘 함께 다닌다.
吉凶不二(길흉불이), 즉 “길과 흉은 둘이 아니다”도 같은 의미이다.

禍福無門(화복무문) [huò fú wú mén]
화가 들어오는 문과 복이 들어오는 문이 따로 있지 않다.
같은 문으로 화도 들어오고 복도 들어오므로, 악하고 나쁜 일을 하면 화가 들어오고 선하고 착한 일을 하면 복이 들어온다.
禍福由己(화복유기), 즉 “화와 복은 각자 할 탓이다”도 같은 의미이다.

《左传 襄公二十三年》 祸福无门;唯人所召。
《좌전 양공이십삼년》 화복무문;유인소소。
화복은 문이 없고, 단지 사람이 부를 뿐이다.

'第五'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5. 嗇 아낄 색  (0) 2021.07.10
194. 㐭 곳집 름  (0) 2021.07.10
192. 㫗 두터울 후  (0) 2021.07.10
191. 亯 드릴 향  (0) 2021.07.10
190. 京 서울 경  (0) 2021.07.1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