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大牲也。牛,件也;件,事理也。象角頭三、封㞑之形。
o 옛날부터 제사에 올리는 산 제물(生贄)로 이용되고, 그 피(血)와 고기(肉)는 신이나 조상의 혼령에게 받치는 물건이므로, 큰 희생을 의미한다.
o 소는 구분(구별)을 가리킨다.
o 구분은 사물의 이치이다.
o 상형문자이고, 위로 뻗은 세 가지는 소의 머리와 두 뿔(角)을 본뜬 모양이며, 중앙을 가로지르는 ―은 어깨(肩), 아래로 내려가는 丨은 꼬리(尾)를 상형한다.
o 소의 머리, 굽어진 뿔, 두 귀(cows' head, horns and ears)를 상형한다고도 볼 수 있다.
o 육축(六畜 - 馬 牛 羊 鶏 犬 豚)에 해당하며, 그 고기를 식용하고 그 젓(乳)을 음용(飲用)할 뿐만 아니라, 농경(農耕)이나 운반(運搬)을 위하여 없어서는 안 되는 동물이므로, 그 모습을 닯은 글자를 만들고, 역시 부수로까지 삼고 있다.
o 부수명칭은 「소우」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うし, うしへん이라 하고, 중국에서는 牛字旁(우자방) 혹은 牛字底(우자저)라 하며 영어로는 radical cow라 한다.
[牛部]
牡 수컷 모 《說文》 畜父也。从牛土聲。
o 짐승의 수컷(male of animals)을 가리킨다.
o 牛 소 우를 따르고, 土 흙 토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에서 좌측은 수컷의 생식기를 나타낸다.
犅 수소 강 《說文》 特牛也。从牛岡聲。
o 수소를 가리킨다.
o 牛 소 우를 따르고, 岡 산등성이 강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特 수컷 특 《說文》 朴特,牛父也。从牛寺聲。
o 큰 수컷, 즉 수소(황소 bull)를 가리킨다.
o 牛 소 우를 따르고, 寺 절 사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牝 암컷 빈 《說文》 畜母也。从牛匕聲。《易》曰 : 畜牝牛,吉。
o 짐승의 암컷(female of animal)을 가리킨다.
o 牛 소 우를 따르고, 匕 비수 비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주역》에서 이르기를 축빈우, 길(畜牝牛, 吉), 즉 “암소를 길러 길하다”고 한다.
o 사슴의 암컷에 대하여는 麀 암사슴 우를 쓴다.
犢 송아지 독 《說文》 牛子也。从牛,瀆省聲。
o 송아지(calf)를 가리킨다.
o 牛 소 우를 따르고, 瀆 도랑 독의 생략형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금문을 보면 가는 뿔이 나온 모양을 나타낸다.
o 㸿 송아지 독은 속자(俗字)이다.
o 犊은 간체자이다.
㸬 두 살 난 소 패 《說文》 二歲牛。从牛巿聲。
o 두 살이 난 소(a two-years-old ox)를 가리킨다.
o 牛 소 우를 따르고, 巿 슬갑 불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牬 두 살 난 소 패 㸽 두 살 된 소 패는 같은 글자이다.
o 두 살이 된 말은 駒 망아지 구라 한다.
犙 세 살 된 소 삼, 세 살 된 소 수 《說文》 三歲牛。从牛參聲。
o 세 살이 된 소(a three-years-old ox)를 가리킨다.
o 牛 소 우를 따르고, 參 석 삼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세 살이 된 말은 駣 세 살 된 말 조, 세 살 된 말 도라 하고, 세 살이 된 돼지는 猏 세 살 된 돼지 견이라 하고, 세 살이 된 양은 羝 세 살 된 양 저라 한다.
牭 네 살 난 소 사 《說文》 四歲牛。从牛从四,四亦聲。
o 네 살이 된 소(a four-years-old ox)를 가리킨다.
o 牛 소 우를 따르고, 四 넉 사를 따른다.
o 四 넉 사는 또한 성부이다.
o 회의문자이고, 형성문자이다.
o 㹑 네 살 난 소 사는 같은 글자이다.
犗 불깐 소 개 《說文》 騬牛也。从牛害聲。
o 불깐 소를 가리킨다.
o 牛 소 우를 따르고, 害 해할 해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불깐 양은 羠 불깐 양 시, 불깐 양 이 羯 불깐 흑양 갈이라 한다.
o 불깐 돼지는 豶 불깐 돼지 분 䝐 불깐 돼지 수라 한다.
o 불깐 말은 䮪 불깐 말 승이라 한다.
o 불깐 개는 猗 불깐 개 의라고 한다.
牻 얼룩소 방 《說文》 白黑雜毛牛。从牛尨聲。
o 흑백의 털이 섞인 얼룩소를 가리킨다.
o 牛 소 우를 따르고, 尨 삽살개 방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㹁 얼룩소 량 《說文》 牻牛也。从牛京聲。《春秋傳》曰 : 牻㹁。
o 얼룩소를 가리킨다.
o 牛 소 우를 따르고, 京 서울 경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춘추전》에서 이르기를 牻㹁(방량)이라 한다.
犡 등 흰 소 려 《說文》 牛白脊也。从牛厲聲。
o 등이 흰 소를 가리킨다.
o 牛 소 우를 따르고, 厲 갈 려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𤙛 《說文》 黃牛虎文。从牛余聲。讀若塗。
犖 얼룩소 락 《說文》 駁牛也。从牛,勞省聲。
o 얼룩얼룩한 말(brindled ox)을 가리킨다.
o 牛 소 우를 따르고, 勞 일할 로의 생략형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荦은 간체자이다.
o 두 살이 된 말은 駒 망아지 구라 한다.
𤘾 칡소 도 《說文》 牛駁如星。从牛平聲。온몸에 칡덩굴과 같이 짙은 갈색과 검은색의 무늬가 있는 소(a striped ox)
犥 얼룩소 표 《說文》 牛黃白色。从牛麃聲。
o 황색과 백색이 섞인 얼룩소를 가리킨다.
o 牛 소 우를 따르고, 麃 굳셀 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犉 누르고 입술 검은 소 순 《說文》 黃牛黑脣也。从牛𦎫聲。《詩》曰 : 九十其犉。
㹊 흰 소 악 《說文》 白牛也。从牛隺聲。
o 흰 소를 가리킨다.
o 牛 소 우를 따르고, 隺 고상할 각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㹔 키 큰 소 강 《說文》 牛長脊也。从牛畺聲。
o 키가 큰 소(cattle with long back)를 가리킨다.
o 牛 소 우를 따르고, 畺 지경 강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𤘸 등이 흰 소 강 《說文》 牛徐行也。从牛𠬢聲。讀若滔。
犨 소 헐떡거리는 소리 주 《說文》 牛息聲。从牛雔聲。一曰牛名。
o 소가 헐떡거리는 소리(sound of ox's breath)이다.
o 牛 소 우를 따르고, 雔 새 한쌍 수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일설은 소의 이름이라 한다.
o 犫 소 헐떡거리는 소리 주는 동음동의이다.
牟 소 우는 소리 모, 보리 모, 어두울 무 《說文》 牛鳴也。从牛,象其聲气从口出。
o 소가 우는 소리(bellow)이다.
o 牛 소 우를 따르고, 소가 우는 소리가 입(口)으로부터 나오는 모양이다.
o 牛 소 우를 따르고, 厶 사사 사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厶 사사 사는 기운이 입으로부터 나오는 모양을 상형하므로, 厶 사사 사를 따른다.
o 모리(牟利)는 옳지 못한 방법으로 자신의 이익만을 꾀한다는 의미이다.
㹌 가축 산 《說文》 畜牷也。从牛産聲。
o 희생에 받치는 가축을 가리킨다.
o 牛 소 우를 따르고, 産 낳을 산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牲 희생 생 《說文》 牛完全。从牛生聲。
o 천지나 종묘에 제사를 지낼 때에 희생으로 바치는 온전한 소(cattle sacrifice)를 가리킨다.
《谷梁传 哀公元年》 全曰牲,伤曰牛。
《곡량전 애공원년》 전왈생,상왈우。
o 牛 소 우를 따르고, 生 날 생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牷 희생 전 《說文》 牛純色。从牛全聲。
o 순수한 털빛을 가진 소(pure color cattle)를 가리킨다.
o 고대에 제사를 지낼 때에는 털에 잡색이 섞이지 않고 한 가지 색을 가진 소(cow or ox of one color)를 잡아 제물로 바쳐야 하므로, 순수한 털빛을 가진 소를 가리켜 희생이라는 의미로 해석한다.
o 牛 소 우를 따르고, 全 온전할 전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牽 끌 견 《說文》 引前也。从牛,象引牛之縻也。玄聲。
o 앞으로 끌다.
o 牛 소 우를 따르고, 소를 끄는 고삐를 상형한다.
o 玄 검을 현은 성부이다.
o 설문해자에서는 牛 소 우와 冂 멀 경, 玄 검을 현으로 구성되고, 牵 끌 견의 주체는 소이고, 冂 멀 경은 소의 코뚜레에 잡아매어, 몰거나 부릴 때 손에 잡고 끄는 줄(고삐) 혹은 소를 가두어 두는 우리를 가리킨다고 볼 수 있다.
o 牵는 大冖牛, 즉 大 클 대와 冖 덮을 멱, 牛 소 우로 구성된다.
牿 우리 곡 《說文》 牛馬牢也。从牛告聲。《周書》曰 : 今惟牿牛馬。
牢 우리 뢰 《說文》 閑,養牛馬圈也。从牛,冬省。取其四周帀也。
犓 소 먹일 추 《說文》 以芻莖養牛也。从牛、芻,芻亦聲。《春秋國語》曰 : 犓豢幾何。
㹛 길들일 요 《說文》 牛柔謹也。从牛夒聲。
𤛟 소 부릴 복 《說文》 《易》 𤛟牛乘馬。 从牛𤰈聲。
𤛿 밭갈 예 《說文》 耕也。从牛黎聲。
㹃 소 두 마리가 밭을 갈 비 《說文》 兩壁耕也。从牛非聲。一曰覆耕穜也。讀若匪。
o 소 두 마리가 밭을 갈다.
o 牛 소 우를 따르고, 非 아닐 비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일설은 씨를 뿌리고 갈아 덥다는 의미라고 본다
o 匪 비적 비와 같게 발음한다.
o 소 한 마리로 끄는 쟁기를 호리라 하고, 두 마리의 소가 끄는 쟁기를 겨리라 하며 겨릿소는 우측에 있는 소를 마라소, 좌측에 있는 소를 안소라 한다.
㹗 소나 양이 새끼가 없을 도 《說文》 牛羊無子也。从牛𠷎聲。讀若糗糧之糗。
牴 부딪칠 저 《說文》 觸也。从牛氐聲。
𤜂 쇠굽 위 《說文》 牛踶𤜂也。从牛衞聲。
㹂 소가 끌리지 않을 견 《說文》 牛很不從引也。从牛从臤,臤亦聲。一曰大皃。讀若賢。
牼 정강이 뼈 경 《說文》 牛厀下骨也。从牛巠聲。《春秋傳》曰 : 宋司馬牼字牛。
𤘡 쇠혓병 금 《說文》 牛舌病也。从牛今聲。
犀 무소 서 《說文》 南徼外牛。一角在鼻,一角在頂,似豕。从牛㞑聲。
o 남쪽에 있는 국경 밖에서 자라는 무소(코뿔소 rhinoceros)이다.
o 뿔이 하나는 코 위에 있고, 다른 하나는 정수리에 있다.
o 돼지와 비슷하다.
o 牛 소 우를 따르고, 㞑 꼬리 미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牣 찰 인 《說文》 滿也。从牛刃聲。《詩》曰 : 於牣魚躍。
物 만물 물 《說文》 萬物也。牛為大物;天地之𢿙,起於牽牛,故从牛。勿聲。
o 만물(object)을 가리킨다.
o 소는 큰 물체이다.
o 하늘과 땅 사이에 존재하는 만물이 일어나 소를 끌어당기므로, 牛 소 우를 따른다.
o 勿 말 물은 성부이다.
o 勿 말 물은 여러 가지 색이 섞인 깃발을 가리키므로, 본래는 털이 단순하지 않고 여러 색깔이 뒤섞여 있는 소, 즉 잡색(雜色)의 소라는 의미이다.
o 갑골문에서는 아래에 牛 소 우가 있고, 위에는 피가 묻은 칼(刀)이 있으므로, 소를 도살한다는 의미이다.
o 㘬 물건 물은 같은 글자이다.
犧 희생 희 《說文》 宗廟之牲也。从牛羲聲。賈侍中說:此非古字。
o 임금이나 왕비의 위패를 모신 사당에 바치는 희생(犧牲 제사에 쓰이는 짐승)을 가리킨다.
o 牛 소 우를 따르고, 羲 복희씨 희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고문에서는 제사에 바친 짐승을 직접 상형하여 나타내기도 한다.
o 가시중(賈侍中)은 非 아닐 비의 고자(古字)라고 본다。
o 犠는 일본에서 사용되는 신자체(약자)이다.
o 牺는 간체자이다.
犍 불깐 소 건 《說文》 犗牛也。从牛建聲。亦郡名。
o 주로 고기를 얻기 위하여 불알을 까서 기르는 소(castrated bull)를 가리킨다.
o 불친소, 불깐소라고 한다.
o 牛 소 우를 따르고, 建 세울 건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또한 고을의 이름이다.
o 㸫 불친소 건 㹇 불친소 걸 犗 불친소 개은 같은 의미이다.
犝 송아지 동 《說文》 無角牛也。从牛童聲。古通用僮。
o 아직 뿔이 없는 송아지(calf without horns)이다.
o 牛 소 우를 따르고, 童 아이 동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고문에서는 僮 아이 동으로도 두루 쓰인다.
[牛(소우)가 부수(牜)로 들어간 글자]
牝 암컷 빈 牞 소 힘 셀 구 牟 소 우는 소리 모, 보리 모, 어두울 무 㸨 큰 황소 구 牠 뿔 없는 소 타 牡 수컷 모 牢 우리 뢰(뇌), 깎을 루(누), 뒤져 빼앗을 로(노) 牣 찰 인 牤 황소 망 㸩 머무르게 할 안 㸪 소걸음 느릴 순, 길들 순 𤘘 미상 牥 좋은 소 방 牦 소 모 牧 칠 목, 땅 이름 목 牨 물소 강 物 만물 물 牪 두 마리 소 언 牫 뭇 뿔 가 牬 두 살 난 소 패 㸫 불친소 건 㸬 두 살 난 소 패 㸭 천지각 파 㸮 황소 분 㸯 큰 황소 과 𤘩 미상 𤘪 미상 牭 네 살 난 소 사 牮 버팀목 천 牯 암소 고 牰 눈 검은 소 유 牱 배말뚝 가 牲 희생 생 牳 소 이름 무 牴 부딪힐 저, 숫양 저 牵 이끌 견, 끌 견 㸰 뿔 없는 소 타, 뿔 없는 소 과 㸱 뿔 없는 소 타, 뿔 없는 소 과 㸲 산의 소 작 㸳 소 이름 령(영) 㸴(한국한자) 음역자 소 牶 쇠코뚜레 권 牷 희생 전 牸 암소 자 特 특별할 특, 수컷 특 牺 희생 희 㸵 소 우는 소리 귀 㸶 쇠꼬리 색 연, 쇠꼬리 색 안 㸷 쇠뿔 치솟을 세, 쇠뿔 치솟을 서 㸸 송아지 후 𤙖 미상 牻 얼룩소 방 牼 정강이뼈 경 牽 이끌 견, 끌 견 牾 거스를 오 牿 우리 곡 犁 밭 갈 리(이), 밭 갈 려(여), 떨 류(유) 㸹 등 흰 소 렬(열), 얼룩소 랄(날) 㸺 암소 사 㸻 소 사 㸼 들소 봉 㸽 두 살 된 소 패 㸾 가득할 인, 질길 인 㸿 송아지 독 㹀 암컷 자 𤙥 미상 𤙭 미상 𤙮 미상 犀 무소 서 犂 밭 갈 리(이), 밭 갈 려(여), 떨 류(유) 犃 수컷 부 犄 거세한 소 의 犅 수소 강 犆 가선 직, 홀로 특, 수소 특 犇 달릴 분, 놀랄 분 犈 다리 검은 소 권 犉 누르고 입술 검은 소 순 犊 송아지 독 犋 겨리 구 㹁 얼룩소 량(양) 㹂 소 끌리지 않을 견 㹃 밭 갈 비 𤙴 들이받을 초 𤚆 미상 𤚇 미상 犌 힘 있을 가 犍 불친소 건 犎 들소 봉 犏 들소 편 犐 뿔 없는 소 과 犑 소 격 㹅 다 총, 합할 총 㹆 얼룩소 머리 휘 㹇 불친소 걸, 불친소 건, 소 이름 할 㹈 검은 소 리(이), 나라 이름 모 𤚗 미상 𤚥 미상 𤚦 미상 𤚧 미상 犒 호궤할 호 犓 소 먹일 추 犔 소 굶길 희 犕 안장 지울 비, 안장 지울 복 犖 얼룩소 락(낙) 犗 불친소 개 㹄 작은 소 직 㹉 세 발 짐승 원 㹊 흰 소 악 㹋 꼬리 없는 소 수 𤛇 미상 犘 소 이름 마, 소 이름 우 犙 세 살 된 소 삼 犚 귀 검은 소 위 犛 검은 소 리(이), 검은 소 모 㹌 가축 산, 암소 성 㹍 수소 적 㹎 수소 루(누) 㹏 길들여질 근 㹐 배 당길 송, 배 당길 용 𤛔 미상 𤛞 미상 𤛠 미상 犜 소 이름 돈 犝 송아지 동 犞 마른 고기 교 犟 고집 셀 강 㹑 네 살 난 소 사 㹒 수소 박 㹓 짐승 이름 요 犠 희생 희 㹔 키 큰 소 강 㹕 뒤떨어질 환 㹖 기를 환 㹗 새끼 없을 도 㹘 소 정강이 유 犡 등 흰 소 례(예), 등 흰 소 려(여) 犢 송아지 독 犣 소 이름 렵(엽) 犤 귀다래기 소 피 犥 얼룩소 표 犦 들소 박 㹙 소 부르는 소리 앵, 소 부르는 소리 영 犧 희생 희, 술그릇 사 犨 소 헐떡이는 소리 주 𤜆 미상 㹚 소 부르는 소리 앵, 소 부르는 소리 영 犩 소 이름 위 㹛 길들일 요 犪 소 이름 규, 길들 요 犫 소 헐떡이는 소리 주
[牛(소 우)가 자부로 들어간 글자]
件 물건 건 吽 소 울 후, 물어뜯을 우, 진언 흠 汼 물 우 㭌 그릇 이름 무 䋅(한국한자) 음역자 우 𧣈 닿을 촉 鈝 미상 䭽 무리 군 䵓 쟁기 리(이)
吿 고할 고, 뵙고 청할 곡, 국문할 국
䒜 우슬 우 𣁄 미상 㽚 쟁기 척 窂 우리 로(노), 우리 뢰(뇌) 荦 얼룩소 락(낙)
制 절제할 제, 지을 제
[牛(牜)를 따르는 글자로 소와 소에 속하는 동물이나 그 동작과 관련된 한자]
牝 암컷 빈 牡 수컷 모 特 수컷 특 牟 소 우는 소리 모 犨 소 헐떡거리는 소리 주 牧 칠 목 犀 무소 서 牦 [máo] 소 모 犁 밭갈 이 犢 송아지 독 犗 불깐 소 개 犉 누르고 입술 검은 소 순 犄 불깐 소 의, 불깐 소 기, 거세한 소 의 犍 불깐 소 건 犛 검은 소 리, 검은 소 모
[English] niú
bovine - cow, bull, ox, buffalo, bison, yak
beef
(said of a person) stubborn
headstrong
pigheaded
[疊字] 牛牪犇
牛 [niú] 소 우
牪 [yàn] 두 마리 소 언, 물건 언
犇 [bēn] 달아날 분, 달릴 분, 놀랄 분
[유사한자] 牛午牟
牛 소 우
午 낮 오
牟 보리 모(麥 보리 맥)
'第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 告 고할 고 (0) | 2021.06.13 |
---|---|
20. 犛 야크 리, 검은 소 리 (0) | 2021.06.13 |
18. 半 반 반 (0) | 2021.06.13 |
17. 釆 분별할 변 (0) | 2021.06.13 |
16. 八 여덟 팔 (0) | 2021.06.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