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弓弩矢也。从入,象鏑栝羽之形。古者夷牟初作矢。
o 궁수가 쏘는 화살을 가리킨다.
o 入 들 입을 따르고, 살촉과 활깃, 오늬(화살의 머리를 활시위에 끼도록 에어 낸 부분)를 본뜬 모양이다.
o 상형문자이고, 화살(arrow)의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o 옛날 화살을 처음 만든 사람은 이모(夷牟)이다.
o 나무로 만든 화살(木製)은 矢 화살 시라 하고(以木爲矢), 대나무로 만든 화살(竹製)은 箭 화살 전이라 한다(以竹爲箭).
o 중국에서는 화살을 통칭하여 주로 箭 화살 전이 사용된다.
o 矢은 𠂉大, 즉 𠂉 미상과 大 큰 대로 구성된다.
o 笶 화살 시(arrow)는 같은 글자이다.
o 弓矢(궁시)는 활과 화살(bow and arrow)을 가리킨다.
o 부수명칭은 「화살시」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や(矢), やへん(矢偏)이라 하고, 중국에서는 矢字旁(시자방)이라 하며 영어로는 radical arrow라 한다.
[矢部]
䠶 쏠 사 《說文》 弓弩發於身而中於遠也。从矢从身。
o 화살이 활을 떠나 멀리 있는 과녁의 중앙을 맞추다.
o 矢 화살 시를 따르고, 身 몸 신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같은 글자로 쓰이는 射 쏠 사는 寸 마디 촌을 따르고, 寸 마디 촌은 법도(法度)를 가리키므로, 활을 쏠 때에는 법도를 지켜야 한다는 의미이다.
矯 바로잡을 교 《說文》 揉箭箝也。从矢喬聲。
o 틈이 가거나 뒤틀린 활을 바로잡다.
o 矢 화살 시를 따르고, 喬 높을 교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矫는 간체자이다.
矰 주살 증 《說文》 隿䠶矢也。从矢曾聲。
o 활의 오늬에 줄을 매어 쏘는 화살(arrow with attached silk cord), 즉 주살을 가리킨다.
o 矢 화살 시를 따르고, 曾 일찍 증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隿 주살 익은 같은 글자이고, 주로 새(隹)를 잡는 화살이라는 의미이다.
矦 임금 후 《說文》 春饗所䠶矦也。从人;从厂,象張布;矢在其下。天子䠶熊虎豹,服猛也;諸矦䠶熊豕虎;大夫射麋,麋,惑也;士射鹿豕,為田除害也。其祝曰 : 毋若不寕矦,不朝于王所,故伉而䠶汝也。
𥏫 다칠 상 《說文》 傷也。从矢昜聲。
短 짧을 단 《說文》 有所長短,以矢為正。从矢豆聲。
o 긴 거리인지 짧은 거리인지는 화살을 쏘아 알 수 있다.
o 矢 화살 시를 따르고, 豆 콩 두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矤 하물며 신 《說文》 況也,詞也。从矢,引省聲。从矢,取詞之所之如矢也。
知 알 지, 슬기 지 《說文》 詞也。从口从矢。
o 알리다.
o 口 입 구를 따르고, 矢 화살 시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화살처럼 빠르게 입에서 나온다는 의미이다.
o 智 슬기 지는 같은 글자이다.
o 《중용》(中庸)에서 이르기를 혹생이지지, 혹학이지지, 혹곤이지지, 급기지지, 일야(或生而知之, 或學而知之, 或困而知之, 及其知之, 一也), 즉 “어떤 사람은 자기의 의무를 태어나며 저절로 알고, 어떤 사람은 열심히 배워서 알고, 어떤 사람은 무지에 따른 고통을 감내하며 고생스럽게 애써 알지만, 알기에 이른 후에는 모두 같다”(Some are born with the knowledge of those duties; some know them by study; and some acquire the knowledge after a painful feeling of their ignorance. But the knowledge being possessed, it comes to the same thing)고 한다.
o 지피지기(知彼知己)는 적을 알고 나를 안다, 즉 “상대의 강점과 자신의 약점을 알면 상대와 싸워 언제나 이길 수 있다”는 의미이다.
《孫子兵法 謀攻》故曰:知彼知己,百戰不殆;不知彼而知己,一勝一負;不知彼,不知己,每戰必敗。
《손자병법 모공》고왈:지피지기,백전불태;부지피이지기,일승일부;부지피,부지기,매전필패。
Hence the saying: If you know the enemy and know yourself, you need not fear the result of a hundred battles. If you know yourself but not the enemy, for every victory gained you will also suffer a defeat. If you know neither the enemy nor yourself, you will succumb in every battle.
矣 어조사 의 《說文》 語已詞也。从矢以聲。
o 실질적인 뜻은 없으면서 다른 말의 보조로만 쓰이는 토를 가리킨다.
o 矢 화살 시를 따르고, 以 써 이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矮 키 작을 왜 《說文》 短人也。从矢委聲。
o 키가 작은 사람을 가리킨다.
o 矢 화살 시를 따르고, 委 맡길 위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躷 난쟁이 왜는 같은 의미이다.
[矢(화살시)가 부수로 들어간 글자]
矣 어조사 의 知 알 지 矩 곱자 구 短 짧을 단 矮 키 작을 왜 矯 바로 잡을 교 䂓 법 규
[矢(화살 시)가 자부로 들어간 글자]
𠱈 미상 垁 성가퀴 치 䀢 깜작일 순, 볼 심, 과녁 시 䂠 돌이 떨어지는 소리 시 䛈 맹세할 시 聅 형벌 철 䠶 쏠 사, 벼슬 이름 야, 맞힐 석, 싫어할 역 鉃 화살촉 시, 화살촉 촉
雉 꿩 치, 성가퀴 치, 짐승 이름 사, 땅 이름 이, 키 작을 개 家鷄野雉(가계야치) 春雉自鳴(춘치자명) 兔羅雉罹(토라치리) 鴙 꿩 치, 송골매 홀
㞺 겨레 족, 풍류 가락 주 䒨 쑥 시 笶 화살 시
医(醫) 의원 의, 동개 예 疾 병 질
𨕀 미상
侯 제후 후, 과녁 후 王侯將相(왕후장상) 候 기후 후, 살필 후 㑨 큰 모양 오, 얼굴 클 우 族 겨레 족, 풍류 가락 주 彘 돼지 체 疑 의심할 의, 안정할 응, 멈출 을, 멈출 익 疑人勿使使人勿疑(의인물사사인물의) 夏蟲疑氷(하충의빙)
[English] shǐ
arrow
dart
vow
take an oath
pledge
display
straightforward
[관련한자]
弓 활 궁 《說文》 以近窮遠。象形。古者揮作弓。
箭 화살 전 《說文》 矢也。从竹前聲。
[유사한자] 矢失先
矢 화살 시
失 잃을 실, 놓을 일
先 먼저 선
[성어]
■ 無的放矢(무적방시) [wú dì fàng shǐ]
과녁 없이 화살을 쏘다.
견해나 입장이 명확하지 않다.
명확한 목표도 정하지 않고 말이나 행동을 하다.
shoot an arrow without a target
shoot at random
have no definite object in view
have no definite objective in speech or action
'第五'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8. 冂 멀 경 (0) | 2021.07.10 |
---|---|
187. 高 높을 고 (0) | 2021.07.10 |
185. 缶 장군 부 (0) | 2021.07.09 |
184. 入 들 입 (0) | 2021.07.09 |
183. 倉 곳집 창 (0) | 2021.07.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