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榖藏也。倉黃取而藏之,故謂之倉。从食省,口象倉形。
o 곡식을 저장하다.
o 누렇게 익은 이삭을 서둘러 수확하여 저장하므로, 곳집(倉)이라고 한다.
o 설문해자는 食 밥 식(food)의 생략형을 따르고, 口 입 구(mouth)는 곳집을 상형한다고 본다.
o 상형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위는 거꾸로 된 입(亼 inverted-mouth)으로 곳집의 지붕을 나타내고, 중간은 위와 아래로 짝을 이루는 창문(户 戶 戸 [hù] window)이며, 아래는 곳집을 드나드는 문(口 [kǒu] mouth)을 나타낸다.
o 현재 중국에서는 1956년부터 시행된 《한자간화방안》(汉字简化方案)에 의하여 仓이 간체자로 사용된다.
o 곡식을 보관하는 곳은 倉 곳집 창이고, 문서를 보관하는 곳은 府 곳집 부, 차를 보관하는 곳은 庫 곳집 고라 한다.
o 仺 곡집 창은 같은 글자이다.
o 仓은 간체자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倉의 부수는 人(사람인)이다.
[倉部]
牄 먹는 소리 창, 먹는 소리 장 《說文》 鳥獸來食聲也。从倉爿聲。《虞書》曰 : 鳥獸牄牄。
o 새와 짐승이 와서 먹이를 먹는 소리이다.
o 倉 곳집 창을 따르고, 爿 나뭇조각 장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우서》(虞書)에서 이르기를 조수장장(鳥獸牄牄), 즉 "새와 짐승이 먹이를 게걸스럽게 먹는 소리가 요란하다"고 한다.
[倉(곳집 창)이 자부로 들어간 글자]
傖 천할 창 凔 찰 창 嗆 쪼아 먹을 창 嵢 산 형세 창 愴 슬플 창 搶 부딪칠 창 滄 큰 바다 창 萬頃滄波(만경창파) 獊 두려울 창 槍 창 창, 칠 추 千槍萬劍(천창만검) 熗 데칠 창 牄 먹는 소리 장, 먹는 소리 창 瑲 옥 소리 창 䅮 벼 이삭 창 艙 부두 창 螥 집파리 창 謒 말 경하게 할 창 賶 모을 창 蹌 추창할 창 䤌 술 이름 창 鎗 종소리 쟁, 창 창 䱽 병어 창
䢢 지날 창
創 비롯할 창, 다칠 창 法古創新(법고창신) 戧 비롯할 창, 다칠 창 鶬 재두루미 창
蒼 푸를 창 萬頃滄波(만경창파) 篬 대나무 이름 창
瘡 부스럼 창
[English] cāng
food storage place
granary
storehouse
warehouse
[동의한자]
藏 곳집 장
府 곳집 부
廩 곳집 름
臧 곳집 장
庫 곳집 고
庾 곳집 유
囷 곳집 균
囤 곳집 돈
廒 곳간 오
'第五'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5. 缶 장군 부 (0) | 2021.07.09 |
---|---|
184. 入 들 입 (0) | 2021.07.09 |
182. 會 모일 회 (0) | 2021.07.09 |
181. 亼 삼합 집 (0) | 2021.07.09 |
180. 食 밥 식 (0) | 2021.07.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