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飯食之用器也。象形。與豆同意。讀若猛。
o 밥과 음식을 담는 그릇(a large bronze bowl)을 뜻한다.
o 豆 제기 두와 같은 의미이다.
o 상형문자이고, 빈 그릇을 상형한다.
o 고문에서는 그릇의 손잡이가 보이기도 한다.
o 猛 사나울 맹과 같게 발음한다.
o 皿은 𦉫一, 즉 𦉫 그물 망과 一 한 일로 구성된다.
o 부수명칭은 「그릇명」이라 한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さら라 하며, 중국에서는 皿字底(명자저)라 하고 영어로는 radical dish라 한다.
[皿部]
盂 바리 우, 사발 우 《說文》 飯器也。从皿亏聲。
o 반기(飯器), 즉 밥을 담는 그릇을 가리킨다.
o 사기로 만들어 밥이나 국을 담는 사발을 사발(沙鉢 a broad-mouthed receptacle for holding liquid)을 가리킨다.
o 皿 그릇 명을 따르고, 亏 어조사 우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盌 주발 완 《說文》 小盂也。从皿夗聲。
o 작은 사발을 가리킨다.
o 皿 그릇 명을 따르고, 夗 누워 딩굴 원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㼝 주발 완 碗 사발 완은 같은 글자이다.
盛 담을 성, 성할 성 《說文》 黍稷在器中以祀者也。从皿成聲。
o 서직이 제사를 지낼 때에 쓰는 그릇(grains in sacrificial vessel)에 담겨 있다.
o 皿 그릇 명을 따르고, 成 이룰 성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금문을 보면 제기 안에 서직(黍稷)이 풍성하게 담긴 모양을 나타낸다.
齍 제기 자, 조리할 제 《說文》 黍稷在器以祀者。从皿齊聲。
o 서직을 담는 제기(祭器)를 가리킨다.
o 皿 그릇 명을 따르고, 齊 가지런할 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금문을 보면 서직이 제기에 풍성하게 담긴 모양을 나타낸다.
䀁 바가지 유 《說文》 小甌也。从皿有聲。讀若灰。一曰若賄。
o 작은 사발을 가리킨다.
o 물을 담는 작은 동이를 의미한다고도 본다
《廣韵》 䀁、抒水器也。
《광운》 유、서수기야。
o 皿 그릇 명을 따르고, 有齊 있을 유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灰 재 회와 같게 발음한다.
o 일설은 賄 재물 회와 같은 글자라고 본다.
盧 밥그릇 로, 성씨 노, 목로 로 《說文》 飯器也。从皿𧇄聲。
o 반기(飯器)를 가리킨다.
o 皿 그릇 명을 따르고, 𧇄 술독 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고기와 같은 물건을 화로에 굽는 모양을 나타내고, 爐 화로 로의 초문(初文)이라고 본다.
o 壚 흑토 로 廬 창 자루 로 櫨 두공 로 爐 화로 로 獹 개 이름 로 矑 눈동자 로 籚 창 자루 로 鑪 화로 로 顱 머리뼈 로 鸕 가마우지 로 盧 성시 로, 몰록 로는 같은 의미이다.
o 卢는 간체자이다.
o 목로(木壚)는 술잔을 놓기 위하여 널빤지로 좁고 기다랗게 만든 상을 가리킨다.
䀇 그릇 고 《說文》 器也。从皿从缶,古聲。
o 그릇을 가리킨다.
o 皿 그릇 명을 따르고, 缶 장군 부를 따르며 古 옛 고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盄 그릇 조 《說文》 器也。从皿弔聲。
o 그릇을 가리킨다.
o 탕관(湯罐), 즉 국을 끓이거나 약을 달이는 자그마한 그릇를 가리킨다.
o 皿 그릇 명을 따르고, 弔 조상할 조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금문을 보면 음식을 그릇에 담아 바치며 죽은 사람을 조상(弔喪)하는 모양을 나타낸다.
盎 동이 앙 《說文》 盆也。从皿央聲。
o 동이(an earthen vessel with a big belly and a small mouth)를 가리킨다.
o 皿 그릇 명을 따르고, 央 가운데 앙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盆 동이 분, 물솟을 분 《說文》 盎也。从皿分聲。
o 동이를 가리킨다.
o 皿 그릇 명을 따르고, 分 나눌 분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금문을 보면 칼로 나눈 고기가 그릇에 가득 담긴 모양을 나타낸다.
o 瓫 동이 분은 같은 글자이다.
㿾 그릇 저 《說文》 器也。从皿宁聲。
o 그릇을 가리킨다.
o 皿 그릇 명을 따르고, 宁 뜰 저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盨 그릇 수 《說文》 㯯盨,負戴器也。从皿須聲。
o 고대중국에서 청동으로 만들어 음식을 담는 그릇(bronze vessel이다
o 그릇에는 덮개(뚜껑)가 있고, 양편에 귀가 있고, 둥근 다리 혹은 네 개의 다리가 있다(有盖, 两耳, 圈足或四足).
o 皿 그릇 명을 따르고, 須 수염 수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금문을 보면 긴 머리카락을 가진 사람이 그릇에 음식을 담는 모양을 나타낸다.
䀊 데우는 그릇 교 《說文》 器也。从皿漻聲。
o 그릇(a kind of water containers to keep warm in cold days, a mental hot-water bottle)을 가리킨다.
o 皿 그릇 명을 따르고, 漻 맑고 깊을 료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𥁑 그릇 밀 《說文》 械器也。从皿必聲。
醯 초 혜 《說文》 酸也。作醯以𩱙以酒。从𩱙、酒並省,从皿。皿,器也。
盉 조미할 화 《說文》 調味也。从皿禾聲。
益 더할 익, 넘칠 일 《說文》 饒也。从水、皿。皿,益之意也。
盈 찰 영 《說文》 滿器也。从皿、夃。
盡 다할 진, 진력할 진 《說文》 器中空也。
盅 빌 충 《說文》 器虛也。从皿中聲。《老子》曰 : 道盅而用之。
盦 뚜껑 암 《說文》 覆蓋也。从皿酓聲。
𥁕 따뜻할 온 《說文》 仁也。从皿,以食囚也。官溥說。
盥 대야 관 《說文》 澡手也。从𦥑水臨皿。《春秋傳》曰 : 奉𠤷沃盥。
盪 씻을 탕 《說文》 滌器也。从皿湯聲。
盋 사발 발 《說文》 盋器。盂屬。从皿犮聲。或从金从本。
[皿(그릇명)이 부수로 사용된 글자]
㿻 쟁반 간 盂 바리 우 盆 동이 분 盈 찰 영 惠 은혜 혜 昷 어질 온 盌 주발 완 益 더할 익 盓 물 소용돌이쳐 흐를 우 盒 합 합 盜 훔칠 도 盛 담을 성 盟 맹세할 맹 盞 잔 잔 監 볼 감
[皿(그릇 명)이 자부로 들어간 글자]
𠰘 울부짖을 호 㳑 넘칠 일
血 피 혈 𠱄 미상 孟 맏 맹 昷 어질 온 㭗 막힐 울 泴 대야 관, 깨끗할 관 笽 미상 蛊 뱃속벌레 고, 요염할 야 蠱 뱃속벌레 고, 요염할 야 䕄 육장 증 鹽 소금 염 驥服鹽車(기복염거) 賣鹽逢雨(매염봉우) 刻畫無鹽(각화무염) 簋 제기 이름 궤
𢴕 미상 𤡛 미상 𥢃 미상
橀 나무 이름 혜 醯 식혜 혜 醓 육장 탐, 육장 담 醓醢之市 嗟爾佛子(탐혜지시 차이불자) 䭍 미음 호
𤎏 미상
齍 제기 자
[English] mǐn
container, such as a dish, plate, saucer, etc.
vessel - 碗、盘、杯、碟
[유사한자] 皿血
皿 그릇 명
血 피 혈
[참고] 고대중국에서 사용한 그릇
甑 시루 증 《說文》 甗也。从瓦曾聲。
盨 [xǔ] 그릇 수 《說文》 㯯盨,負戴器也。从皿須聲。
甗 [yǎn] 시루 언 《說文》 甑也。一曰穿也。从瓦鬳聲。讀若言。earthenware vessel in two parts
卣 [yǒu] 술통 유 wine pot 古代酒器
簋 [guǐ] 제기 이름 궤 《說文》 黍稷方器也。从竹从皿从皀。
簠 [fǔ] 제기 이름 보 《說文》 黍稷圜器也。从竹从皿,甫聲。an ancient vessel used for holding boiled grain
斝 [jiǎ] 술잔 가 《說文》 玉爵也。夏曰琖,殷曰斝,周曰爵。从吅从斗,冂象形。與爵同意。或說斝受六斗。round-mouthed and three-legged wine cup 古代酒器
匜 [yí] 주전자 이 《說文》 似羹魁,柄中有道,可以注水。从匚也聲。basin, container for wine
觥 [gōng] 뿔잔 굉 a cup made of horn obstinate
觯 [zhì] 잔 치 《說文》 鄉飲酒角也。《禮》曰 : 一人洗,舉觶。觶受四升。从角單聲。
'第五'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2. 去 갈 거 (0) | 2021.07.08 |
---|---|
171. 凵 밥그릇 거 (0) | 2021.07.08 |
169. 虤 범 성낼 현, 범 생낼 안 (0) | 2021.07.08 |
168. 虎 범 호 (0) | 2021.07.08 |
167. 虍 호피 무늬 호 (0) | 2021.07.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