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行禮之器也。从豆,象形。
o 제례를 행할 때에 사용하는 그릇을 가리키고, 굽이 높다.
o 豆 제기 두를 따르고, 상형문자이다.
o 고대중국에서 제사에 사용한 제기를 상형한다.
o 본래는 회의문자이고, 壴 악기 이름 주(drum)와 玨 쌍옥 각(strings of jade)을 따른다고 볼 수도 있다.
o 현재 사용하는 豊는 曲豆, 즉 曲 굽을 곡과 豆 제기 두로 구성된다.
o 후에는 禮 예도 례와 같은 글자로도 사용된다.
o 豊 풍성할 풍(abundant, lush, bountiful, plenty)으로도 쓰고, 豐 풍년 풍과 같은 글자이다.
o 일본에서는 豐 풍년 풍의 신자체(shinjitai)로 사용된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豊의 부수는 豆(콩두)이다.
[豊部]
豑 잔의 차례 질 《說文》 爵之次弟也。从豊从弟。
o 제례를 행할 때에 잔을 놓는 차례를 가리킨다.
o 豊 굽 높은 그릇 례를 따르고, 弟 아우 제를 따른다.
o 豒 잔의 차레 질도 같은 글자이다.
o 秩 차례 질(order)과 같은 의미로도 사용된다.
[豊(풍성할 풍)이 자부로 들어간 글자]
禮 예도 례(예) 體 몸 체 醴 단술 례(예) 澧 강 이름 례(예), 강 이름 풍 鱧 가물치 례(예) 豑 잔의 차례 질
[English] lǐ
vessel used in sacrificing
luxuriant
lush
abundant, bountiful, plenty
[유사한자] 豊豐
豊 굽 높은 그릇 례, 풍성할 풍 《說文》 行禮之器也。从豆,象形。
豐 풍년 풍 《說文》 豆之豐滿者也。从豆,象形。
o 그릇 안이 풍성한 모양이다.
o 豆 제기 두를 따르고, 상형문자라고 본다.
o 豊은 일본에서 사용되는 신자체(新字體)이다.
o 丰은 간체자이다.
o abundant, bountiful, plenty
'第五'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6. 䖒 옛날 그릇 희 (0) | 2021.07.07 |
---|---|
165. 豐 풍년 풍 (0) | 2021.07.07 |
163. 豆 제기 두, 콩 두 (0) | 2021.07.07 |
162. 豈 개가 개, 어찌 기 (0) | 2021.07.07 |
161. 鼓 북 고 (0) | 2021.07.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