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古食肉器也。从口,象形。
o 옛날에 음식이나 고기를 담던 그릇이다.
o 나무로 만든 제기는 豆 제기 두라 하고, 대나무로 만든 제기는 笾 제기 이름 변이라 하며, 흙으로 구워 만든 제기는 登 제기 이름 등이라 한다.
《尔雅 释器》 木豆谓之豆,竹豆谓之笾,瓦豆谓之登。
《이아 석기》 목두위지두,죽두위지변,와두위지등。
o 口 입 구를 따르고, 상형문자이다.
o 제기(祭器), 즉 제사에 쓰는 그릇을 본뜬 글자이며, 一 한 일은 제기 안에 담긴 음식을 나타내고, 口 입 구는 위가 둥근 그릇이고 䒑 초두머리 초는 그릇의 밑바닥을 받치는 굽으로 손잡이로 시용한다.
o 먹을 수 있는 콩을 의미하기도 하며, 선진시대(先秦時代)에는 콩을 의미하는 글자로 菽 콩 숙이 사용되고, 후에 豆 제기 두에 콩이라는 의미가 가차(假借)되어 豆 콩 두로도 사용되게 되어 한대(漢代) 이후에는 菽 콩 숙을 대신하게 된다.
o 豆는 一口䒑, 즉 一 한 일과 口 입구, 䒑 초두머리 초로 구성된다.
o 荳 콩 두 䇺 제기 두 梪 제기 두는 같은 글자이다.
o 부수나 자부로 들어가면 주로 제기와 같은 용기(容器)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고, 豌 완두 완과 같이 콩류(豆類)를 나타내기도 한다.
o 부수명칭은 「콩두」이다.
o 일본에서는 まめ、まめへん라 하며, 중국에서는 豆字旁(두자방)이라 하고 영어로는 radical bean이라 한다.
[豆部]
梪 나무 그릇 두, 독두나무 두 《說文》 木豆謂之梪。从木、豆。
o 나무로 만든 제기를 가리켜 梪 나무 그릇 두라고 한다.
o 木 나무 목, 豆 제기 두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대로 만든 제기는 䇺 대그릇 두라고 한다.
𧯷 표주박 근 《說文》 蠡也。从豆,蒸省聲。
𧯦 누른 콩 권 《說文》 豆屬。从豆𢍏聲。
𧯡 콩엿 완 《說文》 豆飴也。从豆夗聲。
𢍪 제기 등 《說文》 禮器也。从廾持肉在豆上。讀若鐙同。
[豆(콩두)가 부수로 들어간 글자]
豈 어찌 기 登 오를 등 豎 더벅머리 수 豌 완두 완 豐 풍년 풍 豊 풍성할 풍(굽 높은 그릇 례)(다만 痘(→疒 병질엄) 마마 두 逗(→辶 책받침) 머무를 두 頭(→頁 머리혈) 머리 두 凱(→几 안석궤) 개선할 개 短(→矢 화살시) 짧을 단 登(→癶 필발머리) 오를 등 )
[豆(콩 두)가 자부로 들어간 글자]
侸 늘어진 모양 두, 세울 수 哣 흉악할 투, 침 부 㛒 말 더듬을 두 㤱 조금 성낼 부, 엿볼 두 𢭃 네 움큼 두, 짧을 단 浢 강 이름 두 梪 나무 그릇 두 脰 목 두 䄈 음복하는 음식 두, 해진 옷 수 短 짧을 단 以短攻短(이단공단) 裋 해진 옷 수 䛠 머뭇거릴 투, 머뭇거릴 두 𨁋 넘어질 두 鋀 술그릇 두 餖(饾) 늘어놓을 두 䱏 물고기 이름 투
剅 조금 뚫을 두 郖 나루터 이름 두 㪷 말 두 㰯 침뱉을 두, 아이가 흉악할 구, 아닐 부 毭 모직물 두, 모직물 낙 頭 머리 두 羊頭狗肉(양두구육) 龍頭蛇尾(용두사미)
㐙(한국한자) 음역자 둘
壴 악기 이름 주 荳 콩 두 登 오를 등, 얻을 득 登高自卑(등고자비) 壹 한 일, 갖은한 일, 혼돈 인 䇺 대그릇 두
逗 머무를 두
㢄 부엌 두 痘 역질 두, 마마 두 䖒 옛날 그릇 희
樹(→木 나무목) 나무 수 風樹之嘆(풍수지탄) 樹欲靜而風不止(수욕정이풍부지)
[English] dòu
(historical) a kind of food container
containing flesh, sauces, etc. at sacrifices and feasts
food
bean, bean-shaped
[유사한자] 豆壴荳묘
豆 제기 두, 콩 두
壴 악기 이름 주
荳 콩 두
묘도 비슷하다.
'第五'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5. 豐 풍년 풍 (0) | 2021.07.07 |
---|---|
164. 豊 굽 높은 그릇 례 (0) | 2021.07.07 |
162. 豈 개가 개, 어찌 기 (0) | 2021.07.07 |
161. 鼓 북 고 (0) | 2021.07.07 |
160. 壴 악기 세울 주 (0) | 2021.07.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