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物之微也。从八,丨見而分之。
o 물건이 작다.
o 八 여덟 팔을 따르고,丨 뚫을 곤을 통하여 나누어진 모양이다.
o 회의문자이다.
o 갑골문에서는 상형문자이고, 세 개의 조그마한 점(three small dots)을 상형하며, 금문 이후에는 조그마한 점이 짧은 선으로 바뀌게 된다.
o 세 개의 작은 모래알을 본뜬 모양이고, 沙 모래 사의 본자(本字 original character)라는 주장도 있다.
o 부수로 머리에 사용될 때에는 ⺌(작을소)로 변하기도 한다.
o 부수명칭은 「작을소」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しょう(小)、しょうがしら(小頭)、尚 오히려 상의 머리에 들어간다고 하여 なおがしら(尚頭)라 하고, 영어로는 radical small이라 한다.
[小部]
少 적을 소 《說文》 不多也。从小丿聲。
o 많지 않다, 적다(few, little, less).
o 小 적을 소를 따르고, 丿 비침 별은 성부(聲部)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네 개의 점(four dots)으로 이루어지고, 후에는 점이 짧은 선으로 바뀌게 된다.
o 多 많을 다에 상대되는 글자이다.
尐 적을 절 《說文》 少也。从小乀聲。讀若輟。
o 적다(few, little).
o 小 작을 소를 따르고, 乀 파임 불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輟 그칠 철과 같게 발음한다.
[小(작을소)가 부수로 들어간 한자]
少 적을 소, 젊을 소 𡭕 보일 시 尒 너 이 尓 너 이 尔 너 이 尕 귀여울 소 龸 미상 尖 뾰족할 첨 尗 아저씨 숙, 콩 숙 尘 티끌 진 𡭜 미상 尙 오히려 상 尚 오히려 상 𡭦 미상 𡭧 미상 尛 작을 마 尜 팽이 가 尝 맛볼 상 𡭬 미상 𡭰 미상 𡭱 미상 𡭲 미상 㝸 고깔 변 𡭺 미상 𡭻 미상 𡮄 미상 𡮅 미상 𡮆 미상 𡮇 미상 𡮈 미상 𡮉 미상 𡮊 미상 𡮋 미상 𡮌 미상 𡮍 미상 尞 횃불 료(요) 㝹 토끼 새끼 누 𡮒 미상 𡮓 미상 𡮔 미상 𡮗 미상 尟 적을 선 尠 적을 선 𡮘 미상 𡮛 미상 𡮜 미상 尡 미상 㝺 적을 렴(염) 𡮞 튼튼할 척 𡮠 미상 𡮣 미상 𡮤 미상 𡮥 미상 㝻 겨우 근 𡮨 미상 𡮩 미상 𡮪 미상 𡮫 미상 𡮬 미상 𡮭 미상 𡮮 미상 𡮯 미상 𡮲 미상 𡮳 미상 𡮵 미상 𡮶 미상 𡮷 미상 𡮸 미상 𡮹 미상 𡮺 미상 𡮽 미상 𡮾 미상 𡯀 미상
[小(작을 소)가 자부로 들어간 글자]
㭂 나무가 높을 초 𥾗 미상 䚱 믿을 신 釥 좋은 쇠 초
𨳒(䒕) 미상
[English] xiǎo
small, tiny, little 小孩 [xiǎohái] child
minor, petty
briefly, for a short while 小憩 [xiǎoqì] brief rest
young / junior
humble / mean
lowly
light
slightly, a little
unimportant / trivial
[疊字] 小尛
小 작을 소
尛(麽) [mó] 잘 마, 작을 마
[成語]
《論語 里仁》 子曰 : 君子喻於義, 小人喻於利。
《논어 이인》 자왈 : 군자유어의, 소인유어리。
군자는 의리에 밝고, 소인은 이익에 밝다
The Master said, The mind of the superior man is conversant with righteousness; the mind of the mean man is conversant with gain.
《論語 里仁》 子曰:君子懷德,小人懷土;君子懷刑,小人懷惠。
《논어 이인》 자왈:군자회덕,소인회토;군자회형,소인회혜。
군자는 도덕을 생각하고 소인은 안락한 거처를 생각한다. 군자는 법제·형벌을 생각하며 소인은 은혜를 생각한다.
The Master said, The superior man thinks of virtue; the small man thinks of comfort. The superior man thinks of the sanctions of law; the small man thinks of favors which he may receive.
[斷想]
군자(君子 [jūnzǐ] lord's son - "gentleman" or "superior person“)는 누구이고, 소인(小人 [xiăorén] small or petty person)은 누구인가? 군자와 소인은 서로 다른 인격과 태도를 가지고 산다.
군자는 고상한 도덕(virtue)을 따르고, 포부가 원대하고 시야가 널리 열려 있다(생각이 開放的·開闊的이다). 군자는 국가나 사회의 문제를 생각한다. 한편 소인은 편안한 거처를 좋아하고 고향이나 시골의 농토에 대한 애착이 강하며, (사람을 꾀기 위하여 베푸는) 작은 선심에 감동하며 은혜를 받고자 한다. 소인은 오직 물질(material things)만을 마음에 품고 살며, 개인이나 가정의 생계를 걱정한다.
《論語 顔淵》 子曰: 君子成人之美,不成人之惡。小人反是。
《논어 안연》 자왈 : 군자성인지미, 불성인지악. 소인반시.
군자는 남의 좋은 일을 도와 이루어지게 하며 남의 나쁜 일은 이루어지지 못하게 하고, 소인은 그 반대이다.
The Master said, The superior man seeks to perfect the admirable qualities of men, and does not seek to perfect their bad qualities. The mean man does the opposite of this.
《論語 衛靈公》 子曰: 君子固窮,小人窮斯濫矣。
《논어 위령공》 자왈: 군자고궁, 소인궁사람의。
군자는 생활이 매우 가난하고 어렵더라도 잘 참고 견디고, 소인은 곤궁하게 되면 어떤 나쁜 짓도 다 하는 무소불위(無所不爲)가 된다.
The Master said, The superior man may indeed have to endure want, but the mean man, when he is in want, gives way to unbridled license.
《論語 衛靈公》 子曰: 君子不可小知,而可大受也;小人不可大受,而可小知也。
《논어 위령공》 자왈: 군자불가소지,이가대수야;소인불가대수,이가소지야。
군자는 대수롭지 않고 하찮은 일은 잘 알지 못하지만, 큰 일을 맡으면 잘 해낼 수 있고, 소인은 큰 일을 맡기에는 적합지 아니하나 하찮고 사사로운 일에는 재능을 발휘할 수 있다.
The Master said, The superior man cannot be known in little matters; but he may be intrusted with great concerns. The small man may not be intrusted with great concerns, but he may be known in little matters.
小即是大 大即是小(small is big, big is small)
少即是多 多即是少(less is more, more is less)
《孟子 萬章上》 人少,則慕父母;知好色,則慕少艾;有妻子,則慕妻子;仕則慕君,不得於君則熱中。
《맹자 만장상》 인소,칙모부모;지호색,칙모소애;유처자,칙모처자;사칙모군,부득어군칙열중。
사람은 어려서는 부모를 흠모한다. 호색을 알게 되면 젊은 미인을 연모한다. 처자를 가지게 되면 처자를 애모한다. 벼슬을 맡게 되면 임금을 사모하고, 임금에게 신임을 얻지 못하면 속이 탄다.
The desire of the child is towards his father and mother. When he becomes conscious of the attractions of beauty, his desire is towards young and beautiful women. When he comes to have a wife and children, his desire is towards them. When he obtains office, his desire is towards his sovereign - if he cannot get the regard of his sovereign, he burns within.
[참고] 서로 반대(대비)되는 글자로 이루어진 한자
▯ 大小(대소)
大 클 대
小 작을 소
▯ 多少(대소)
多 많을 다
少 적을 소
▯ 左右(좌우)
左 왼쪽 좌
右오른쪽 우
▯ 老少(노소)
老 늙을 노
少 젊을 소
▯ 可否(가부)
可 옳을 가
否 아닐 부
▯ 加減(가감)
加 더할 가
減 덜 감
▯ 先後(선후)
先 먼저 선
後 뒤 후
▯ 善惡(선악)
善 착할 선
惡 악할 악
▯ 甘苦(감고)
甘 달 감
苦 쓸 고
▯ 利害(이해)
利 이로울 이
害 해칠 해
▯ 集散(집산)
集 모을 집
散 흩을 산
▯ 賣買(매매)
賣 팔 매
買 살 매
▯ 天地(천지)
天 하늘 천
地 땅 지
▯ 明暗(명암)
明 밝을 명
暗 어두울 암
▯ 出入(출입)
出 날 출
入 들 입
▯ 厚薄(후박)
厚 두터울 후
薄 엷을 박
▯ 送迎(송영)
送 보낼 송
迎 맞이할 영
▯ 强弱(강약)
强 강할 강
弱 약할 약
▯ 首尾(수미)
首 머리 수
尾 꼬리 미
▯ 開閉(개폐)
開 열 개
閉 닫을 폐
▯ 授受(수수)
授 줄 수
受 받을 수
▯ 主客(주객)
主 주인 주
客 손 객
▯ 勝敗(승패)
勝 이길 승
敗 패할 패
▯ 吉凶(길흉)
吉 길할 길
凶 흉할 흉
▯ 長短(장단)
長 길 장
短 짧을 단
▯ 去來(거래)
去 갈 거
來올 래
▯ 是非(시비)
是 옳을 시
非 아닐 비
▯ 乾坤(건곤)
乾 하늘 건
坤 땅 곤
▯ 始終(시종)
始 처음 시
終 끝날 종
▯ 京鄕(경향)
京 서울 경
鄕 시골 향
▯ 新舊(신구)
新 새 신
舊 예 구
▯ 輕重(경중)
輕 가벼울 경
重 무거울 중
▯ 深淺(심천)
深 깊을 심
淺 얕을 천
▯ 公私(공사)
公 공변될 공
私 사사 사
▯ 陰陽(음양)
陰 응달 음
陽 볕 양
▯ 正誤(정오)
正 바를 정
誤 그릇할 오
▯ 正歪(정왜)
正 바를 정
歪 비뚤 왜
▯ 內外(내외)
內 안 내
外 밖 외
▯ 早晩(조만)
早 새벽 조
晩 저물 만
▯ 古今(고금)
古 예 고
今 이제 금
▯ 往來(왕래)
往 갈 왕
來 올 래
▯ 曲直(곡직)
曲 굽을 곡
直 곧을 직
▯ 遠近(원근)
遠 멀 원
近 가까울 근
▯ 有無(유무)
有 있을 유
無 없을 무
▯ 敎學(교학)
敎 가르칠 교
學 배울 학
▯ 朝夕(조석)
朝 아침 조
夕 저녁 석
▯ 異同(이동)
異 다를 이
同 한 가지 동
▯ 苦樂(고락)
苦 쓸 고
樂 즐길 락
▯ 哀歡(애환)
哀 슬플 애
歡 기뻐할 환
▯ 高低(조저)
高 높을 고
低 밑 저
▯ 冷溫(냉온)
冷 찰 랭
溫 따뜻할 온
▯ 因果(인과)
因 인할 인
果 실과 과
▯ 禁許(금허)
禁 금할 금
許 허락할 허
▯ 自他(자타)
自 스스로 자
他 다를 타
▯ 冷暖(냉온)
冷 찰 냉
暖 따뜻할 난
▯ 前後(전후)
前 앞 전
後 뒤 후
▯ 難易(난이)
難 어려울 난
易 쉬울 이
▯ 東西(동서)
東 동녘 동
西 서녘 서
▯ 南北(남북)
南 남녘 남
北 북녘 북
▯ 動靜(동정)
動 움직일 동
靜 고요할 정
▯ 晝夜(주야)
晝 낮 주
夜 밤 야
▯ 得失(득실)
得 얻을 득
失 잃을 실
▯ 眞假(진가)
眞 참 진
假 거짓 가
▯ 進退(진퇴)
進 나아갈 진
退 물러날 퇴
'第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 犛 야크 리, 검은 소 리 (0) | 2021.06.13 |
---|---|
19. 牛 소 우 (0) | 2021.06.13 |
18. 半 반 반 (0) | 2021.06.13 |
17. 釆 분별할 변 (0) | 2021.06.13 |
16. 八 여덟 팔 (0) | 2021.06.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