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長尾禽緫名也。象形。鳥之足似匕,从匕。
o 긴 꼬리를 가진 새(bird with long tails)를 총칭하여 일컫는다.
o 설문해자는 隹 새 추는 꼬리가 짧은 새, 鳥 새 조는 꼬리가 긴 새를 의미한다고 본다.
o 상형문자이다.
o 설문해자는 새를 측면에서 본 모양으로 돌출된 부리가 있는 머리와 날개, 꼬리, 두 발를 본뜬 글자이다.
o 새의 발이 匕와 비슷하여 匕 비수 비를 따른다.
o 鳥는 烏一, 즉 烏 까마귀 오와 一 한 일로 구성된다.
o 一 한 일은 새의 눈동자를 가리키며, 까마귀(烏)는 멀리서 보면 검은 눈동자가 구분이 되지 않아 마치 눈동자가 없는 새처럼 보이므로, 鳥 새 조에서 눈동자(一)을 빼면 烏 까마귀 오가 된다.
o 烏 새 조는 隹 새 추와 글자의 모양도 아주 유사하고 어원도 비슷하나, 현재는 새를 의미하는 글자로는 주로 烏 새 조가 사용되고, 隹 새 추는 부수나 다른 글자의 일부로 들어가 새와 관련된 의미를 나타낼 때에 쓰인다.
o 鸟는 간체자이다.
o 시조새(Archaeopteryx 아르카이옵테릭스) 혹은 조상새는 현재 존재하는 조류의 조상으로 여겨지는 가장 오래된 새를 가리키며, 독일 바이에른주에서 발견된 화석에 의하면 까마귀와 비슷한 크기에 두골에 긴 목이 이어지고 작은 몸통에 튼튼한 뒷다리와 긴 꼬리를 가진 모양이다.
o 공자새(Confuciusornis 콘푸키우소르니스)는 고대중국에서 산 새이고, 발견된 새의 화석에 공자의 이름을 붙여 공자새라 부르며 연대는 백악기 초기라고 한다.
o 부수로 사용될 때에는 鳩 비둘기 구 鶴 학 학 鶉 메추라기 순에서와 같이 방(旁)에 들어가는 글자, 鶯 꾀꼬리 앵 鷹 매 응 鷲 독수리 취에서와 같이 발에 들어가는 글자가 많으나, 鴃 때까치 격에서와 같이 변(偏)이나 鳧 오리 부에서와 같이 머리(冠)에 들어가는 글자도 있다.
o 부수명칭은 「새조」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とり(鳥), とりへん(鳥偏), ことり(小鳥)라 하고, 중국에서는 鳥字旁(조자방), 鳥字底(조자저)라 하며 영어로는 radical bird라 한다.
[鳥部]
鳳 봉새 봉 《說文》 神鳥也。天老曰 : 鳳之象也,鴻前麐後,蛇頸魚尾,鸛顙鴛思,龍文虎背,燕頷雞喙,五色備舉。出於東方君子之國,翺翔四海之外,過崐崘,飲砥柱,濯羽弱水,莫宿風穴。見則天下大安寕。从鳥凡聲。
o 신조(神鳥 a mythic bird)이고, 신조는 봉황(phoenix)의 다른 이름이다.
o 천로(天老)가 이르기를 봉황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고 한다 : 앞은 기러기와 같고 뒤는 기린과 같다. 목은 뱀을 같고 꼬리는 물고기와 같다. 이마는 학과 같고 정수리는 원앙과 같다. 용과 같은 무늬가 있고, 등은 호랑이와 같다. 턱은 제비와 같고 주둥이는 닭과 같다. 오색이 두루 온 몸에 둘러져 있다.
o 동방에 있는 군자의 나라에서 출발하여 사해(四海)의 밖을 두루 돌아다니다가 곤륜산을 넘어가 지주(砥柱)에 고인 물을 마시고, 신선이 사는 약수(弱水)에서 깃털을 빨고, 저녁이 되면 서늘한 바람이 불어 나오는 동굴에서 잔다.
o 봉황이 나타나면 세상이 아무 탈이나 걱정이 없이 편안하다는 징조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상형문자이고, 전설상 상상의 새인 봉황의 모습을 상형한다.
o 鳥 새 조(bird)를 따르고, 凡 무릇 범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鳯 봉황 봉도 같은 글자이다.
o 凤은 간체자이다.
鸞 난새 란(난) 《說文》 亦神靈之精也。赤色,五采,雞形。鳴中五音,頌聲作則至。从鳥䜌聲。周成王時氐羌獻鸞鳥。
o 고대중국에서 전설에 나오는 상상의 새이고, 봉황과 비슷하며(mythical bird like the phoenix) 역시 신령한 기운을 지니고 있다.
o 깃은 붉은색이고, 다섯 가지 색체가 섞여 있고, 모습은 닭과 같다.
o 울 때에는 다섯 가지 소리를 내고, 모습을 보거나 소리를 들으면 천하가 아무 탈이나 걱정이 없이 편안하고, 원하는 소망이 곧바로 이루어진다.
o 鳥 새 조를 따르고, 䜌 어지러울 련은 성부이다.
o 鵉 난새 란 鸞 난새 란도 같은 글자이다.
o 鸾은 간체자이다.
鸑 신조 이름 악 《說文》 鸑鷟,鳳屬,神鳥也。从鳥獄聲。《春秋國語》曰 : 周之興也,鸑鷟鳴於岐山。江中有鸑鷟,似鳧而大,赤目。
o 악작(鸑鷟)이라 부르고, 봉황의 일종이며 신조(神鳥)이다.
o 鳥 새 조를 따르고, 獄 옥 옥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춘추국어》(春秋國語)에서 이르기를 주나라가 흥할 때에 악작이 기산(岐山)에서 운다고 한다.
o 악작은 강 속을 헤엄쳐 다니고, 오리와 비슷하나 크고, 붉은 눈을 가지고 있다(a large, duck-like waterfowl with red eyes)고 한다.
《本草綱目》 江中有鸑鷟,似鳧而大,赤目。
《본초강목》 강중유악작,사부이대,적목。
鷟 자색 봉황 작 《說文》 鸑鷟也。从鳥族聲。
o 악작(鸑鷟 phoenix)을 가리킨다.
o 鳥 새 조를 따르고, 族 겨레 족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鷫 신조 숙 《說文》 鷫鷞也。五方神鳥也。東方發明,南方焦明,西方鷫鷞,北方幽昌,中央鳳皇。从鳥肅聲。
o 숙상(鷫鷞)이라고 하는 신조이다.
o 동서남북의 사방과 그 중앙에 신조가 산다.
o 동방에 사는 신조는 발명(發明)이고, 남방에 사는 신조는 초명(焦明)이고, 서방에 사는 신조는 숙상(鷫鷞)이고, 북방에 사는 신조는 유창(幽昌)이며, 중앙에 사는 신조는 봉황(鳳皇)이다.
o 鳥 새 조를 따르고, 肅 엄숙할 숙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鹔은 간체자이다.
鷞 새 이름 상 《說文》 鷫鷞也。从鳥爽聲。
鳩 비둘기 구 《說文》 鹘鵃也。从鳥九聲。
o 골주(鶻鵃)를 가리킨다.
o 鳥 새 조를 따르고, 九 아홉 구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䧱 비둘기 구 䲥 비둘기 구는 같은 글자이다.
o 鸠는 간체자이다.
鶌 멧비둘기 굴 《說文》 鶌鳩也。从鳥屈聲。
鵻 호도애 추 《說文》 祝鳩也。从鳥隹聲。
鶻 송골매 골 《說文》 鶻鵃也。从鳥骨聲。
鵃 멧비둘기 주 《說文》 鶻鵃也。从鳥舟聲。
鵴 뻐꾸기 국 《說文》 秸鵴,尸鳩。从鳥匊聲。
鴿 집비둘기 합 《說文》 鳩屬。从鳥合聲。
o 비둘기(pigeon, dove)의 일종이다.
o 鳥 새 조를 따르고, 合 합할 합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䧻 비들기 합은 같은 글자이다.
o 鸽는 간체자이다.
鴠 할단새 단 《說文》 渴鴠也。从鳥旦聲。
鶪 때까치 격 《說文》 伯勞也。从鳥狊聲。
鷚 종달새 유 《說文》 天龠也。从鳥翏聲。
鸒 때까마귀 여 《說文》 卑居也。从鳥與聲。
鷽 메까치 학 《說文》 雗鷽,山鵲,知來事鳥也。从鳥,學省聲。
鷲 수리 취 《說文》 鳥黑色多子。師曠曰 : 南方有鳥,名曰羌鷲,黃頭赤目,五色皆備。从鳥就聲。
o 수리(condor)라고 하는 새이고, 흑색이며 많은 새끼를 둔다.
o 사광(師曠)은 이르기를 남방에 사는 새이고, 강취(羌鷲)라고 부르는 큰 독수리를 가리키고, 머리는 황색(黃色)이며 눈은 적색(赤色)이고, 온 몸에는 오색이 두루 둘러져 있다고 한다.
o 鳥 새 조를 따르고, 就 나아갈 취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鹫는 간체자이다.
鴞 부엉이 효 《說文》 鴟鴞,寕鴂也。从鳥号聲。
鴂 뱁새 결 《說文》 寕鴂也。从鳥夬聲。
䳳 괴상한 새 술 《說文》 鳥也。从鳥祟聲。
䲱 해오라기 방 《說文》 澤虞也。从鳥方聲。
𪇲 작은 닭 절 《說文》 鳥也。从鳥𢧵聲。
𪄭 새 이름 칠 《說文》 鳥也。从鳥桼聲。
䳀 새 이름 일 《說文》 鋪豉也。从鳥失聲。
鶤 봉황 곤, 댓닭 곤 《說文》 鶤雞也。从鳥軍聲。讀若運。
𪁾 수리부엉이 오 《說文》 鳥也。从鳥芺聲。
䳔 새 이름 곡 《說文》 鳥也。从鳥臼聲。
鷦 작은 비들기 추 《說文》 𪆄𪃐,桃蟲也。从鳥焦聲。
𪃐 뱁새 묘 《說文》 𪆄𪃐也。从鳥眇聲。
𪅳 올빼미 유 《說文》 鳥少美長醜為𪅳離。从鳥畱聲。
𪅀 새 이름 난, 어려울 난 《說文》 鳥也。从鳥堇聲。
鶨 도요새 단 《說文》 欺老也。从鳥彖聲。
𪁑 불새 열 《說文》 鳥也。从鳥,說省聲。
𩿢 검은 오리 투 《說文》 鳥也。从鳥主聲。
𪂆 비취사 닮은 붉은 발 새 민 《說文》 鳥也。从鳥昏聲。
鷯 굴뚝새 료(요) 《說文》 刀鷯。剖葦,食其中蟲。从鳥𤋯聲。
鶠 봉새 언 《說文》 鳥也。其雌皇。从鳥匽聲。一曰鳳皇也。
鴲 새끼 새 지 《說文》 瞑鴲也。从鳥旨聲。
鵅 물새 이름 각 《說文》 烏鸔也。从鳥各聲。
鸔 물새 복 《說文》 烏鸔也。从鳥暴聲。
鶴 학 학 《說文》 鳴九臯,聲聞于天。从鳥隺聲。
o 학이 깊숙한 못가에서 울어도 그 소리는 하늘에까지 들린다.
o 鳥 새 조를 따르고, 隺 고상할 각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鸖 학 학 䳽 학 학은 같은 글자이다.
o 鹤은 간체자이다.
o 학명구고 성문우천(鶴鳴九皐 聲聞于天)은 학은 비록 깊숙한 못가에서 울더라도 그 소리가 하늘에까지 들린다, 즉 비유적으로 현명한 사람은 어느 곳에 조용히 숨어 살아도 그 명성이 세상 밖으로 널리 드러나게 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鷺 백로 로(노), 해오라기 로(노) 《說文》 白鷺也。从鳥路聲。
o 백로(白鷺)를 가리킨다.
o 鳥 새 조를 따르고, 路 길 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鴼 백로 로 鷺 백로 로, 해오라기 로는 같은 글자이다.
o 鹭는 간체자이다.
鵠 고니 곡 《說文》 鴻鵠也。从鳥告聲。
o 홍곡(鴻鵠)을 가리킨다.
o 鳥 새 조를 따르고, 告 고할 고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䧼 고니 곡은 같은 글자이다.
o 鹄는 간체자이다.
鴻 기러기 홍, 원기 홍 《說文》 鴻鵠也。从鳥江聲。
o 홍곡(鴻鵠)을 가리킨다.
o 鳥 새 조를 따르고, 江 강 강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䲨 길기 홍은 같은 글자이다.
o 鸿은 간체자이다.
𪀖 무수리 추 《說文》 禿𪀖也。从鳥尗聲。
鴛 원앙 원 《說文》 鴛鴦也。从鳥夗聲。
o 원앙(鴛鴦)을 가리킨다.
o 鳥 새 조를 따르고, 夗 원앙 원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夗 원앙 원 鵷 원앙 원은 같은 글자이다.
o 鸳는 간체자이다.
鴦 원앙 앙 《說文》 鴛鴦也。从鳥央聲。
o 원앙(鴛鴦)을 가리킨다.
o 鳥 새 조를 따르고, 央 가운데 앙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鸯는 간체자이다.
鵽 탈구 탈 《說文》 鵽鳩也。从鳥叕聲。
o 탈구(鵽鳩)를 가리킨다.
o 鳥 새 조를 따르고, 叕 연할 철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𪂚 들 거위 륙(육) 《說文》 蔞鵝也。从鳥坴聲。
鴚 기러기 가 《說文》 鴚鵝也。从鳥可聲。
䳘 거위 아 《說文》 鴚鵝也。从鳥我聲。
鴈 기러기 안 《說文》 䳘也。从鳥、人,厂聲。
鶩 집오리 목 《說文》 舒鳧也。从鳥敄聲。
o 서부(舒鳧), 즉 집에서 기르는 오리를 가리킨다.
o 鳥 새 조를 따르고, 敄 힘쓸 무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䳱 집오리 목은 같은 글자이다.
o 鹜는 간체자이다.
鷖 갈매기 예 《說文》 鳧屬。从鳥殹聲。《詩》曰 : 鳧鷖在梁。
𪃈 물오리 결 《說文》 𪃈𪇷,鳧屬。从鳥契聲。
𪇷 물오리 얼 《說文》 𪃈𪇷也。从鳥辥聲。
䴌 물새 새끼 몽 《說文》 水鳥也。从鳥蒙聲。
鷸 도요새 휼, 물총새 술 《說文》 知天將雨鳥也。从鳥矞聲。《禮記》曰 : 知天文者冠鷸。
o 하늘을 보고 장차 비가 올지를 아는 새이다.
o 도요새를 가리킨다.
o 鳥 새 조를 따르고, 矞 속일 휼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예기》에서 이르기를 지천문자관휼(知天文者冠鷸)이라고 한다.
o 방휼지쟁(蚌鷸之爭)은 조개와 도요새가 다투다, 즉 조개와 도요새가 서로 다투다가 다 같이 어부에게 잡히는 경우와 같이 제3자만 이롭게 한다(When the snipe and the oyster fight, it is the fisherman who reaps the reward)는 의미이다.
鸊 되강오리 벽 《說文》 鸊鷈也。从鳥辟聲。
鷈 논병아리 체 《說文》 鸊鷈也。从鳥虒聲。
鸕 바다가마우지 로(노) 《說文》 鸕鷀也。从鳥盧聲。
鷀 가마우지 자 《說文》 鸕鷀也。从鳥兹聲。
o 가마우지를 가리킨다.
o 鳥 새 조를 따르고, 兹 무성할 자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가마우지는 물고기를 잡는 능력이 뛰어나 어부가 물고기를 잡을 때에 이용하는 새이다.
鷧 가마우지 의 《說文》 鷀也。从鳥壹聲。
𪀐 오디새 핍 《說文》 𪀐绉也。从鳥乏聲。
鵖 오디새 겁 《說文》 𪀐鵖也。从鳥皀聲。
鴇 능에 보 《說文》 鳥也。肉出尺𦛹。从鳥𠤏聲。
𪆫 할미새 거 《說文》 𪄉𪆫也。从鳥渠聲。
䳼 갈매기 구, 갈매기 우 《說文》 水鴞也。从鳥區聲。
䳁 물새 이름 발 《說文》 鳥也。从鳥犮聲。讀若撥。
鷛 비오리 용 《說文》 鳥也。从鳥庸聲。
鶃 거위 역, 거위 예 《說文》 鳥也。从鳥兒聲。《春秋傳》曰 : 六鶃退飛。
鴺 제호 제 《說文》 鴺胡,污澤也。从鳥夷聲。
鴗 쇠새 립(입) 《說文》 天狗也。从鳥立聲。
鶬 왜가리 창 《說文》 麋鴰也。从鳥倉聲。
鴰 재두루미 괄 《說文》 麋鴰也。从鳥𠯑聲。
鵁 교청새 교 《說文》 鵁鶄也。从鳥交聲。一曰𪁉𪈒也。
鶄 교청새 청 《說文》 鵁鶄也。从鳥青聲。
鳽 새끼 밸 견, 새끼 밸 연 《說文》 𪁉𪂴也。从鳥幵聲。
𪈁 물총새 침 《說文》 𪈁鴜也。从鳥箴聲。
鴜 새 이름 자 《說文》 𪈁鴜也。从鳥此聲。
鷻 수리 단 《說文》 雕也。从鳥敦聲。《詩》曰 : 匪鷻匪𪀝。
𪀝 소리개 연 《說文》 鷙鳥也。从鳥屰聲。
鷳 올빼미 한 《說文》 鴟也。从鳥閒聲。
鷂 새매 요 《說文》 鷙鳥也。从鳥䍃聲。
鷢 물수리 궐 《說文》 白鷢,王鴡也。从鳥厥聲。
鴡 물수리 저 《說文》 王鴡也。从鳥且聲。
鸛 황새 관 《說文》 鸛專,畐蹂。如䧿,短尾。射之,銜矢射人。从鳥雚聲。
鸇 새매 전 《說文》 鷐風也。从鳥亶聲。
鷐 익더귀 신 《說文》 鷐風也。从鳥晨聲。
鷙 맹금 지 《說文》 擊殺鳥也。从鳥執聲。
鴥 빨리 날 율 《說文》 鸇飛皃。从鳥穴聲。《詩》曰 : 鴥彼晨風。
鶯 꾀꼬리 앵 《說文》 鳥也。从鳥,榮省聲。《詩》曰 : 有鶯其羽。
鴝 구관조 구 《說文》 鴝鵒也。从鳥句聲。
鵒 구관조 욕 《說文》 鴝鵒也。从鳥谷聲。古者鴝鵒不踰泲。
鷩 붉은 꿩 별 《說文》 赤雉也。从鳥敝聲。《周禮》曰 : 孤服鷩冕。
鵔 금계 준 《說文》 鵔鸃,鷩也。从鳥夋聲。
鸃 금계 의 《說文》 鵔鸃也。从鳥義聲。秦漢之初,侍中冠鵔鸃冠。
𪄱 새 이름 적, 꿩붙이새 적 《說文》 雉屬,戇鳥也。从鳥,適省聲。
鶡 관 이름 갈, 할단 할, 파랑새 분 《說文》 似雉,出上黨。从鳥曷聲。
䲸 새 이름 개 《說文》 鳥,似鶡而青,出羌中。从鳥介聲。
鸚 앵무새 앵 《說文》 鸚䳇,能言鳥也。从鳥嬰聲。
䳇 앵무새 무 《說文》 鸚䳇也。从鳥母聲。
鷮 꿩 교 《說文》 走鳴長尾雉也。乘輿以為防釳,著馬頭上。从鳥喬聲。
𪄼 암꿩 우는 소리 요 《說文》 雌雉鳴也。从鳥唯聲。《詩》曰 有鷕雉鳴。
䴎 날다람쥐 루 《說文》 鼠形。飛走且乳之鳥也。从鳥畾聲。
鶾 붉은 닭 한 《說文》 雉肥鶾音者也。从鳥倝聲。魯郊以丹雞祝曰 : 以斯鶾音赤羽,去魯侯之咎。
鴳 세가락메추라기 안 《說文》 雇也。从鳥安聲。
鴆 짐새 짐 《說文》 毒鳥也。从鳥冘聲。一名運日。
鷇 새 새끼 구 《說文》 鳥子生哺者。从鳥𣪊聲。
鳴 울 명 《說文》 鳥聲也。从鳥从口。
o 새가 우는 소리(cry of bird or animal이다.
o 鳥 새 조를 따르고, 口 입 구를 따른다.
o 새가 입(口)을 벌리고 우는 모양을 상형한다.
o 鸣은 간체자이다.
鶱 훨훨 날 건 《說文》 飛㒵。从鳥,寒省聲。
𩿈 날아 모여드는 모양 분 《說文》 鳥聚皃。一曰飛皃。从鳥分聲。
o 새가 모여드는 모양이다.
o 일설은 나는 모양이라고 한다.
o 鳥 새 조를 따르고, 分 나눌 분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鷓 자고 자 《說文》 鷓鴣,鳥名。从鳥庶聲。
o 자고(鷓鴣)라고 하는 새를 가리킨다.
o 鳥 새 조를 따르고, 庶 여러 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鹧는 간체자이다.
鴣 자고 고 《說文》 鷓鴣也。从鳥古聲。
鴨 오리 압 《說文》 鶩也。俗謂之鴨。从鳥甲聲。
𪀦 비오리 칙 《說文》 谿𪀦,水鳥。从鳥式聲。
[鳥(새조)가 부수로 들어간 글자]
鳴 울 명 鳳 봉새 봉 鳦 제비 을 鳩 비둘기 구 鳧 오리 부 鳱 까치 간 鳲 뻐꾸기 시 鳶 솔개 연 鴻 큰 기러기 홍 鷄 닭 계 鶴 학 학 鷗 갈매기 구 鴉 갈까마귀 아 鸒 떼까마귀 여 jackdaw
[鳥(새 조)가 자부로 들어간 글자]
𡡅 미상 嶋 섬 도 㨶 찧을 도 隝 섬 도, 올빼미 치 樢(㭤) 담쟁이 조, 새 이름 목 殦 새 이름 조, 올빼미 치 瞗 눈여겨볼 조 𧜣 짧은 옷 조 翵 부등깃 날 후 鵤 제주고지새 각 鷠 새 이름 어
𠞸 미상 鄥 고을 이름 교
㠀 섬 도 䙚 뱃대끈을 말에 맬 뇨(요)
𠟀 미상 嶌 섬 도, 학 학 蔦(茑) 담쟁이 조 窵(窎) 그윽할 조 穒 미상 䉆 대나무 이름 조
𠒎 오리 부 島(岛) 섬 도 梟(枭) 올빼미 효, 목매달 교 裊(袅) 간드러질 뇨(요) 烏(乌) 까마귀 오, 나라 이름 아
焉 어찌 언, 오랑캐 이 舃 신 석, 까치 작 舄 신 석, 까치 작
[鳥(새 조)와 결합되어 새를 나타내는 한자]
鳩 비둘기 구 鷽 비둘기 학 鳳 봉황새 봉 鳶 솔개 연 鴉 갈가마귀 아 鳱 까치 간 鵲 까치 작 鴃 때까치 격 鴆 짐새 짐 鴨 오리 압 鷗 갈매기 구(鴨鷗亭洞 오리와 갈매기가 날아드는 정자가 있는 동네) 鴒 할미새 령 鴛 원앙 원 鴦 원앙 앙 鴕 타조 타 鴻 기러기 홍 鵠 고니 곡 鵑 두견 견 鵝 거위 아 鸚 앵무새 앵 鵡 앵무새 무 鶉 메추라기 순 鵬 붕새 붕 鷄 닭 계 鶺 할미새 척 鷲 독수리 취 鷺 해오라기 로 鵁 해오라기 교 鷹 매 응 鸛 황새 관 鸞 난새 란 鷳=鷴 백한 한 鷸 도요새 휼 鳦 제비 을 鳧 오리 부 鳲 뻐꾸기 시 鴂 뱁새 결 鶴 학 학 鴌 꿩 궉(國字) 鴞 부엉이 효 鷍 올빼미 교 鷮 꿩 교
[隹(새 추)와 결합하여 새를 나타내는 글자]
雉 꿩 치 雕 독수리 조 雀 참새 작 翟 꿩 적 雁 기러기 안 雅 메까마귀 아 雚 황새 관 鵻 호도애(비둘기) 추 雛 병아리 추 雞(鷄) 닭 계 隺 두루미 학 鶴 학 학
[English] niǎo
bird
a bird with a dangling tail
[유사한자] 鳥烏焉舄
鳥 새 조
烏 까마귀 오
焉 어찌 언, 오랑캐 이
舄 까치 작, 신 석
[성어]
人爲財死, 鳥爲食亡(인위재사, 조위식망)
사람은 재물에 욕심을 부리다가 죽고, 새는 먹이를 탐하다가 죽다.
Human beings would die in pursuit of wealth just like how birds would die in pursuit for food
[참조] 전설 속의 새
□ 鳳凰(봉황) [fenghuang]
전설 속의 상서로운 새
봉황의 모습에 관하여는 여러 가지 설명이 있다. 설문해자에서는 봉황의 모습을 앞은 기러기, 뒤는 기린이며, 뱀의 목, 물고기의 꼬리, 황새의 이마, 원앙새의 깃, 용의 무늬, 호랑이의 등, 제비의 턱, 닭의 부리를 가지고 있고, 오색(五色)을 뛰고 있다(鳳之象也,鴻前麐後,蛇頸魚尾,鸛顙鴛思,龍文虎背,燕頷雞喙,五色備舉)고 설명하고 있다. 악즙도(樂汁圖)는 봉황을 닭의 머리와 제비의 부리, 뱀의 목과 용의 몸, 기린의 날개와 물고기의 꼬리를 가진 동물로 묘사하기도 한다.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는 봉황은 날개가 방패와 같고, 울음소리가 통소(簫)의 소리와 같고, 살아있는 벌레를 쪼지 아니하며 살아있는 풀을 부러트리지 않고(生蟲不啄 生草不折), 무리를 지어 살지 않고, 오동(梧桐)나무가 아니면 머물지 않고, 대나무의 열매(竹實)가 아니면 먹지 않고, 감미로운 샘물(醴泉)이 아니면 마시지 않는다고 설명한다. 과연 봉황은 울면 방방곡곡으로 오음(五音)이 울려 퍼지고, 날면 뭇새가 무리를 지어 뒤따르니 360가지나 되는 새(鳥)의 우두머리이며, 또한 고귀하며 상서롭고 아름다운 상상의 새로 때로는 새 중의 으뜸으로서 천자(天子)를 상징하기도 하고, 혹은 "봉 가는 데 황(凰)이 간다", "봉이 나매 황이 난다"는 속담처럼 자웅(雌雄)이 서로 의가 좋은 새, "봉은 굶주려도 좁쌀은 쪼지 않는다"는 속담처럼 지절(志節)이 굳고 품위를 지키는 새로 알려져 있다.
《本草綱目》 凤凰 其翼若干,其声若箫。不啄生虫,不折生草。不群居,不侣行。非梧桐不栖,非竹实不食,非醴泉不饮。
《본초강목》 봉황 기익약간,기성약소。불탁생충,불절생초。불군거,불여행。비오동불서,비죽실불식,비예천불음。
《莊子 秋水》 惠子相梁,莊子往見之。或謂惠子曰 :莊子來,欲代子相。於是惠子恐,搜於國中三日三夜。莊子往見之,曰 : 南方有鳥,其名為鵷鶵,子知之乎? 夫鵷鶵發於南海而飛於北海,非梧桐不止,非練實不食,非醴泉不飲。於是鴟得腐鼠,鵷鶵過之,仰而視之曰 :嚇! 今子欲以子之梁國而嚇我邪?
《장자 추수》 혜자상량,장자왕견지。혹위혜자왈 :장자래,욕대자상。어시혜자공,수어국중삼일삼야。장자왕견지,왈 : 남방유조,기명위원추,자지지호? 부원추발어남해이비어북해,비오동부지,비연실불식,비예천불음。어시치득부서,원추과지,앙이시지왈 : 혁! 금자욕이자지량국이혁아사?
Huizi being a minister of state in Liang, Zhuangzi went to see him. Some one had told Huizi that Zhuangzi was come with a wish to supersede him in his office, on which he was afraid, and instituted a search for the stranger all over the kingdom for three days and three nights. After this Zhuangzi went and saw him, and said, 'There is in the south a bird, called "the Young Phoenix" - do you know it? Starting from the South Sea, it flies to the Northern; never resting but on the bignonia, never eating but the fruit of the melia azederach, and never drinking but from the purest springs. An owl, which had got a putrid rat, once when a phoenix went passing overhead, looked up to it and gave an angry scream. Do you wish now, in your possession of the kingdom of Liang, to frighten me with a similar scream?
□ 朱雀(주작)
□ 三足烏(삼족오) Three-legged crow
□ 三頭一足鷹(삼두일족응)
삼재(三災), 즉 세 가지의 큰 재앙인 수재(水災), 화재(火災), 풍재(風災)가 드는 해에 집안에 걸어두면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는 액과 귀신을 세 개의 부리로 쪼아 없애므로, 삼재를 막을 수 있다고 한다.
□ 三足三頭朱雀(삼족삼두주작)
머리가 셋이고, 다리도 셋인 주작을 새긴 주작기는 조선시대 군대에서 진영 중 남쪽에 위치한 전영(前營)을 지키는 기이다.
□ 不死鳥(불사조) Phoenix
불사조는 아라비아사막에 살며 500년마다 수명이 다하여 가면 향기로운 가지와 향료로 둥지를 만들고, 그 둥지에 불을 놓아 스스로 자신의 몸을 불태워, 그 재 속에서 부활(born again) 또는 재생하여(regenerate) 결코 죽지 않는 전설상의 새이다. 불사조는 그 모습이 독수리와 비슷하고, 주홍빛과 황금빛으로 빛나는 깃털을 갖고 있으며 우는 소리가 음악과도 같다고 한다. 또한 불사조는 영조(靈鳥 신령스러운 새)로 살아있는 생명을 해치지 않아 풀잎의 이슬만 먹고 산다고 한다.
'第四'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1. 𠦒 큰 키 반, 키 필, 삼태기 필 (0) | 2021.07.03 |
---|---|
120. 烏 까마귀 오 (0) | 2021.07.03 |
118. 雥 새 떼지어 모일 잡 (0) | 2021.07.02 |
117. 雔 새 한쌍 수 (0) | 2021.07.02 |
116. 瞿 노려볼 구, 놀랄 구 (0) | 2021.07.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