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鳥之短尾緫名也。象形。
o 꼬리가 짧은 새를 총칭한다.
o 鳥 새 조는 꼬리가 긴 새의 총칭이고, 隹 새 추는 꼬리가 짧은 새의 총칭이다.
o 상형문자이고, 새(bird)를 상형한다.
o 隹는 亻主一 , 즉 亻 사람 인과 主 주인 주, 一 한 일로 구성된다.
o 주로 부수나 다른 글자의 일부로 사용되고, 새를 가리키는 글자로는 鳥 새 조가 쓰인다.
o 推 밀 추, 誰 누구 수에서와 같이 隹가 성부로 되는 경우도 있다.
o 부수명칭은 「새추」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ふるとり(舊(旧)鳥 old bird)라 하고, 영어로는 radical short tailed bird라 한다.
[隹部]
雅 초오 아, 맑을 아, 바를 아 《說文》 楚烏也。一名鸒,一名卑居。秦謂之雅。从隹牙聲。
o 초오(楚烏), 즉 초나라에 사는 까마귀를 가리킨다.
o 일명 鸒 갈가마귀 여라고도 한다.
o 일명 비거(卑居)라고도 한다.
o 진(秦)나라에서는 雅 초오 아라고 한다.
o 隹 새 추를 따르고, 牙 어금니 아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鴉 갈가마귀 아는 같은 글자이다.
隻 새 한 마리 척 《說文》 鳥一枚也。从又持隹。持一隹曰隻,二隹曰雙。
o 새 한 마리를 가리킨다.
o 오른손에 새(隹)를 들고 있는 모양을 따른다.
o 새 한 마리를 들고 있는 경우에는 隻 새 한 마리 척이고, 새 두 마리를 들고 있는 경우에는 雙 두 쌍이라 한다(持一隹曰隻,持二隹曰雙).
o 隻는 隹又, 즉 隹 새 추와 又 어른손 우로 구성된다.
o 只 외짝 척은 본자(本字)이다.
雒 수리부엉이 락(낙) 《說文》 鵋䳢也。从隹各聲。
閵 새 이름 린(인) 《說文》 今閵。似雊鵒而黃。从隹,𨳏省聲。
巂 새 이름 휴 《說文》 周燕也。从隹,屮象其冠也。㕯聲。一曰蜀王望帝,婬其相妻,慙亡去,為子巂鳥。故蜀人聞子巂鳴,皆起云 望帝。
𨾔 새 이름 방 《說文》 鳥也。从隹方聲。讀若方。
雀 참새 작 《說文》 依人小鳥也。从小、隹。讀與爵同。
o 사람을 따르는 작은 새이다.
o 중국에서는 참새(sparrow)를 家雀儿(jiāqiǎor)이라 한다.
o 小 작을 소, 隹 새 추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爵 벼슬 작과 같게 발음한다.
o 䲵 참새 작도 같은 글자이다.
猚 새 애 《說文》 鳥也。从隹犬聲。睢陽有猚水。
o 새를 가리킨다.
o 隹 새 추를 따르고, 犬 개 견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휴양(睢陽)이라는 지방에 애수(猚水)가 있다.
雗 흰 꿩 한 《說文》 雗鷽也。从隹倝聲。
雉 꿩 치 《說文》 有十四種 : 盧諸雉,喬雉,鳪雉,鷩雉,秩秩海雉,翟山雉,翰雉,卓雉,伊洛而南曰翬,江淮而南曰搖,南方曰疇,東方曰钕,北方曰稀,西方曰蹲。从隹矢聲。
o 꿩(pheasant)에는 14가지 종류가 있다.
o 제치(諸雉), 교치(喬雉), 복치(鳪雉), 별치(鷩雉), 질질해치(秩秩海雉), 적산치(翟山雉), 한치(翰雉), 탁치(卓雉)가 있고, 이락(伊洛)의 남쪽에 사는 꿩은 翬 훨훨 날 휘라 하고, 강회(江淮)의 남쪽에 사는 꿩은 搖 흔들 요라 하고, 남방에 사는 꿩은 疇 이랑 주라 하고, 동방에 사는 꿩은 钕 네오디뮴 녀라 하고, 북방에 사는 꿩은 稀 드물 희라 하고, 서방에 사는 꿩은 蹲 쭈그릴 준이라 한다.
o 隹 새 추를 따르고, 矢 화살 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을 보면 화살을 쏘아 꿩을 잡는 모양을 상형한다.
o 상형문자이다.
o 鴙 꿩 치는 같은 글자이다.
雊 장끼 울 구 《說文》 雄雌鳴也。雷始動,雉鳴而雊其頸。从隹从句,句亦聲。
雞 닭 계 《說文》 知時畜也。从隹奚聲。
o 시간을 아는 가축이다.
o 닭(chicken)을 가리킨다.
o 隹 새 추를 따르고, 奚 어찌 해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鳮 닭 계 鷄 닭 계는 같은 글자이다.
o 鶏는 일본에서 사용하는 신자체(약자)이다.
o 鸡는 간체자이다.
雛 병아리 추 《說文》 雞子也。从隹芻聲。
o 병아리(chick)를 가리킨다.
o 隹 새 추를 따르고, 芻 꼴 추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雏는 간체자이다.
雡 병아리 류(유) 《說文》 鳥大雛也。从隹翏聲。一曰雉之莫子為雡。
離 떠날 리(이), 붙을 려(여), 교룡 치 《說文》 黃倉庚也。鳴則蠶生。从隹离聲。
o 누런 꾀꼬리(Chinese oriole)를 가리킨다.
o 꾀꼬리는 창경(倉庚), 황리(黃鸝), 황조(黃鳥), 여황(鵹黃), 박서(搏黍), 초작(楚雀), 금의공자(金衣公子), 황포(黃抱), 이황(離黃) 등 다양하게 불린다.
o 鸝 꾀꼬리 리의 본자이다.
o 꾀꼬리가 울면 누에가 생겨나므로, 누에를 치는 시기라는 의미이다.
o 隹 새 추를 따르고, 离 떠날 리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주역에서는 팔괘(八卦)에 해당하고, 불(火 fire)을 상징한다.
《易 說卦》 離,爲火,爲日。
《역 설괘》 이,위화,위일。
o 고대중국의 전설에서 뿔이 없는 용으로 알려진 離 교룡 치(dragon without horn)로도 쓰이고, 螭 교룡 리와 같은 글자이다.
o 현재는 주로 離 떠날 리(leave, depart, go away)로 쓰인다.
o 离는 간체자이다.
雕 독수리 조 《說文》 鷻也。从隹周聲。
𨿳 매 응 《說文》 鳥也。从隹,瘖省聲。或从人,人亦聲。
𨾦 올빼미 치 《說文》 𨿠也。从隹氐聲。
𨿠 올빼미 수 《說文》 𨾦也。从隹垂聲。
鳽 눈 맞아 새끼 배는 새 견 《說文》 石鳥。一名雝𪆫。一曰精𠛱。从隹幵聲。《春秋傳》 : 秦有士鳽。
雝 할미새 옹 《說文》 雝𪆫也。从隹邕聲。
雂 도요새 금 《說文》 鳥也。从隹今聲。《春秋傳》有公子苦雂。
雁 기러기 안 《說文》 鳥也。从隹从人,厂聲。讀若鴈。
o 새이다.
o 隹 새 추를 따르고, 人 사람 인을 따르며 厂 기슭 엄은 성부이다.
o 회의문자이고 형성문자이다.
o 鴈 기러기 안과 같게 발음한다.
o 鴈 기러기 안 鳫 기러기 안은 같은 글자이다.
o 안백(雁帛)은 먼 곳에서 소식을 전하는 편지(letter)를 가리킨다.
𩁟 꾀꼬리 여 《說文》 𩁟黃也。从隹黎聲。一曰楚雀也。其色黎黑而黃。
雐 새 이름 호 《說文》 鳥也。从隹虍聲。
𨾯 세 가락 메추라기 여 《說文》 牟母也。从隹奴聲。
雇 품살 고, 새 이름 호 《說文》 九雇。農桑候鳥,扈民不婬者也。从隹戶聲。春雇,鳻盾;夏雇,竊玄;秋雇,竊藍;冬雇,竊黃;釗雇,竊丹;行雇,唶唶;宵雇,嘖嘖;桑雇,竊脂;老雇,鷃也。
𨿡 메추라기 순 《說文》 䨄屬。从隹𦎫聲。
䨄 메추리 암 《說文》 𩁛屬。从隹酓聲。
䧴 새 이름 지 《說文》 鳥也。从隹支聲。一曰䧴度。
𨾊 새 살찔 홍 《說文》 鳥肥大𨾊𨾊也。从隹工聲。
𩀼 주살 산 《說文》 繳𩀼也。从隹㪔聲。一曰飛𩀼也。
隿 주살 익 《說文》 繳射飛鳥也。从隹弋聲。
雄 수컷 웅 《說文》 鳥父也。从隹厷聲。
雌 암컷 자 《說文》 鳥母也。从隹此聲。
䍜 어리 조 《說文》 覆鳥令不飛走也。从网、隹。讀若到。
雋 영특할 준, 살찐 고기 전, 땅 이름 취 《說文》 肥肉也。从弓,所以射隹。長沙有下雋縣。
o 살찐 고기이다.
o 弓 활 궁을 따르므로, 새를 향하여 활을 쏜다는 의미이다.
o 중국 장사에 하취(下雋)라는 고을이 있다.
𩁌 날 수 《說文》 飛也。从隹隓聲。
[隹(새추)가 부수로 들어간 글자]
雌 암컷 자 雄 수컷 웅 集 모일 집 雖 비록 수 雜 섞일 잡 難 어려울 난 離 떼놓을 리(이) 隻 새 한 마리 척 雙 쌍 쌍 雉 꿩 치 雕 독수리 조 雀 참새 작 雁 기러기 안 雅 메까마귀 아(다만 焦(→灬 연화발) 그을릴 초 售(→口 입구) 팔 수 唯(→ 口 입구) 오직 유 維(→糸 실사) 밧줄 유 崔(→山 메산) 높을 최 翟(→羽 깃우) 꿩 적)
[隹(새 추)가 자부로 들어간 글자]
倠 추할 휴 准 준할 준 唯 유, 누구 수 堆 쌓을 퇴 婎 추할 휴 帷 휘장 유 惟 생각할 유 推 밀 추, 밀 퇴 淮 물 이름 회 猚 새 애 陮 높을 퇴 進 나아갈 진, 선사 신 㫿 미상 椎 쇠몽치 추, 등골 추 㲝 많을 용, 함치르르할 모 焳 횃불 작 琟 옥돌 유 脽 꽁무니 수, 땅 이름 주, 땅 이름 추 睢 물 이름 수, 부릅떠 볼 휴 碓 방아 대 稚 어릴 치 䊒 정할 정, 찧을 정 維(维) 벼리 유 蜼 원숭이 유 誰(谁) 누구 수 趡 움직일 유 踓 미쳐 내달릴 유 醀 고기 든 술 유 錐(锥) 송곳 추 䨀 사들일 적 騅(骓) 오추마 추 魋 몽치 머리 추, 퇴곰 퇴 䱦 복어 추 鵻 비둘기 추 䶆 늙은 쥐 추
顀 내민 이마 추 䳡 작은 비둘기 추
售 팔 수 焦 탈 초
奞 날개 칠 순 寉 학 학 崔 성씨 최, 높을 최 萑 풀 많을 추, 물억새 환 㮅 나무 이름 추 䍜 어리 조 翟 꿩 적, 고을 이름 책, 꿩 탁 霍 빠를 곽, 고을 이름 사 瞿 놀랄 구, 세모창 구
截 끊을 절
㕍 흙 모을 퇴 㢈 기울 퇴, 쌓을 퇴 痽 병 많을 퇴 龨 미상 閵 새 이름 린(인)
暹 햇살 치밀 섬, 나라 이름 섬 嵟 높을 퇴
奪 빼앗을 탈, 좁은 길 태 奮 떨칠 분
[English] zhuī
short tailed bird
[疊字] 隹雔雦雥
隹 [zhuī] 새 추 《說文》 鳥之短尾緫名也。象形。 bird
雔 [chóu] 새 한쌍 수 《說文》 雙鳥也。从二隹。
雦(集) [jí] 모을 집 《字彙補》 古文集字。
雥 [zá] 새 떼지어 모일 잡 《說文》 羣鳥也。从三隹。
[疊字] 隻雙䨇
隻 [zhī] 외짝 척, 새 한 마리 척 《說文》 鳥一枚也。single, one of pair, lone
雙(双) [shuāng] 쌍 쌍 set of two, pair, couple; both
䨇(雙) 쌍 쌍 《玉篇》 兩也。《說文》 隹二枚也。 (same as 雙) a pair, a couple / a brace / two, both
[유사한자] 隹佳住
隹 새 추, 높을 최, 오직 유
佳 아름다울 가
住 살 주
[참고한자]
鵻 비둘기 추 a kind of bird
騅 오추마 추 piebald horse
o 가마귀처럼 검은 털에 비둘기처럼 흰 털이 섞인 말(horse of mixed black and white color)을 오추마(烏騅馬)라 한다.
o 옛날 초(楚)나라의 항우(項羽)가 탄 준마(駿馬)가 바로 오추마(the ancient warlord Xiang Yu's horse)이다.
o 騅不逝(추불서)란 항우가 탄 준마인 오추마도 앞으로 나아가지 아니한다는 의미로 기세가 꺾이고 힘이 빠져 어쩔 수 없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일컫는 표현이고, 항우가 해하(垓下)에서 한(漢)나라 고조에게 포위되어 형세가 이미 기울어져 앞날이 다한 사실을 슬퍼하며 지은 노래인 《해하가》(垓下歌)에서 유래한다.
垓下歌(해하가)
垓下歌 해하가 項羽 항우 力拔山兮氣蓋世。 역발산혜기개세。 時不利兮騅不逝。 시불리혜추불서。 騅不逝兮可奈何! 추불서혜가내하! 虞兮虞兮奈若何! 우혜우혜내약하! [해설] 垓下(해하
hanzischool.tistory.com
[참고] 상형문자
'第四'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1. 雈 수리부엉이 환 (0) | 2021.07.02 |
---|---|
110. 奞 날개 칠 순, 새 날개 펴 떨칠 순 (0) | 2021.07.01 |
108. 羽 깃 우 (0) | 2021.06.30 |
107. 習 익힐 습 (0) | 2021.06.30 |
106. 皕 이백 벽 (0) | 2021.06.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