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四

107. 習 익힐 습

by kimlaw 2021. 6. 30.

《說文》 數飛也。从羽从白。
o 자주 날다.

o 삭비(數飛)에서는 數 자주 삭으로 쓰고(數 셀 수가 아니다), 習 익힐 습은 자주 날다(飞来飞去 fly frequently), 즉 새끼 새가 자주 날갯짓을 하며 나는 연습(repeatedly flap the wings in order to learn to fly)을 한다(鳥數飛也)는 의미이다.

鳥數飛也!

o 한두 번에 그치지 않고, 날기를 배우는 새끼 새가 창공으로 비상하기 위하여 수없는 날갯짓(flap the wings)을 통하여 나는 방법을 터득하듯, 배운 내용을 꾸준히 실습이나 복습(practice)을 하고, 또한 실천까지 하여야 한다는 의미이다.

礼记 月令鹰乃学习

예기 월령응내학습

論語 學而子曰 :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논어 학이자왈 :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배우고 늘 익히니 정말 기쁘지 않은가?

The Master said, “Is it not pleasant to learn with a constant perseverance and application?

o 설문해자는 羽 깃 우를 따르고, 白 흰 백을 따른다고 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會意文字)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에서는 羽 깃 우(wings)을 따르고, 日 날 일(sun)을 따른다.

商-殷墟甲骨文
戰國
周早

o 해가 뜨면 새가 날개를 펼치고 날기를 시작한다는 의미이다.
o 习은 간체자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習의 부수는 羽(깃우)이다.

[習部]
翫 가지고 놀 완 《說文》 習猒也。从習元聲。《春秋傳》曰 : 翫歲而愒日。
o 노리개를 가지고 놀기를 익히다.
o 習 익힐 습을 따르고, 元 으뜸 원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춘추전》(春秋傳)에서 이르기를 완세이게일(翫歲而愒日), 즉 “세월을 탐닉하면서 나날을 헛되이 보낸다”고 한다.
o 抏 희롱할 완은 같은 글자이다.

[English] xí
flap (the wings), flutter / repeatedly flap the wings
learn
familiarize oneself with
receive training in
habit / custom / practice
follow
repeat, often, frequently
a Chinese family name
习近平 [Xi Jinping] General Secretary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第四'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9. 隹 새 추  (0) 2021.07.01
108. 羽 깃 우  (0) 2021.06.30
106. 皕 이백 벽  (0) 2021.06.29
105. 鼻 코 비  (0) 2021.06.29
104. 白 말할 자, 말할 지  (0) 2021.06.2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