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鳥長毛也。象形。
o 새의 긴 깃털을 가리킨다.
o 상형문자이다.
o 새의 날개(wings) 혹은 깃털(feathers)을 상형한다.
o 본자(original form)에서는 깃털이 세 개이다.
o 羽은 习习, 즉 두 개의 习 익힐 습으로 구성된다.
o 국가마다 글자의 모양이 약간 다르며, 중국과 일본에서는 习 안에 있는 두 획을 서로 반대되는 방향(冫)으로 쓰나, 한국과 강희자전에서는 두 획이 같은 방향(丿丿)을 향한다.
o 부수명칭은 「깃우」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はね(羽)라 하고, 중국에서는 羽字旁(우자방), 羽字底(우자저), 羽字頭(우자두)라 하며, 영어로는 radical feather라 한다.
[羽部]
翨 칼깃 시 《說文》 鳥之彊羽猛者。从羽是聲。
o 새의 빳빳한 깃이 굳고 강하다.
o 칼깃, 즉 새의 날갯죽지를 이루는 빳빳하고 긴 깃을 가리킨다.
o 羽 깃 우를 따르고, 是 옳을 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翰 날개 한, 편지 한 《說文》 天雞赤羽也。从羽倝聲。《逸周書》曰 : 大翰,若翬雉,一名鷐風。周成王時蜀人獻之。
o 붉은 깃을 가진 천계(天雞 전설에 나오는 하늘에 사는 닭)를 가리킨다.
o 羽 깃 우를 따르고, 倝 햇빛 빛나는 모양 간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일주서》(逸周書)에서 이르기를 대한(大翰)을 가리키고, 휘치(翬雉 흰 바탕에 오색의 무늬가 있는 꿩)와 같다고 한다.
o 일설은 신풍(鷐風), 즉 새매를 가리킨다고 본다.
o 주나라에서 성왕이 통치할 때에 촉(蜀)나라에 사는 사람이 바친 새라고 한다.
o 鶾 붉은 닭 한은 같은 의미이다.
翟 꿩 적, 고을 이름 책, 꿩 탁 《說文》 山雉尾長者。从羽从隹。
o 꼬리가 긴 산꿩(a long-tailed pheasant)을 가리킨다.
o 羽 깃 우를 따르고, 隹 새 추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두 깃을 쫑긋 세우고 있는 꿩의 모습을 나타낸다.
翡 물총새 비 《說文》 赤羽雀也。出鬱林。从羽非聲。
o 붉은 깃을 가진 물총새(red-feather finch)를 가리킨다.
o 울림(鬱林)에서 산다.
o 羽 깃 우를 따르고, 非 아닐 비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翠 물총새 취 《說文》 青羽雀也。出鬱林。从羽卒聲。
o 푸른 깃을 가진 물총새(blue-feather finch)를 가리킨다.
o 울림에서 산다.
o 羽 깃 우를 따르고, 卒 마칠 졸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翆 물총새 취, 푸를 취는 같은 글자이다.
翦 자를 전 《說文》 羽生也。一曰矢羽。从羽前聲。
o 처음 깃이 나다(first feather).
o 일설은 화살의 깃을 가리킨다고 본다.
o 羽 깃 우를 따르고, 前 앞 전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剪 자를 전은 같은 글자이다.
翁 늙은이 옹 《說文》 頸毛也。从羽公聲。
o 새의 목털(ruff)을 가리킨다.
o 羽 깃 우를 따르고, 公 공변될 공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주로 남성노인을 가리키는 翁 늙은이 옹(old man)으로 쓰인다.
翄 날개 시 《說文》 翼也。从羽支聲。
o 날개를 가리킨다.
o 羽 깃 우를 따르고, 支 지탱할 지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𦑜 날개 객 《說文》 翅也。从羽革聲。
翹 꽁지깃 교, 치켜세울 교 《說文》 尾長毛也。从羽堯聲。
o 새의 꽁지에 난 긴 깃털(long feather)을 가리킨다.
o 羽 깃 우를 따르고, 堯 높을 요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㚁 높을 교, 우둑할 교는 같은 의미이다.
o 翘는 간체자이다.
翭 깃촉 후 《說文》 羽本也。一曰羽初生皃。从羽矦聲。
o 깃촉을 가리킨다.
o 일설은 깃이 처음 나오는 모양이라고 본다.
o 翭 부등깃 후로도 쓰고, 갓 태어난 어린 새의 다 자라지 못한 약한 깃을 부등깃이라 한다.
o 羽 깃 우를 따르고, 矦 임금 후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翮 깃촉 핵, 솥 력(역) 《說文》 羽莖也。从羽鬲聲。
o 깃촉을 가리킨다.
o 羽 깃 우를 따르고, 鬲 막을 격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翑 깃 굽을 구 《說文》 羽曲也。从羽句聲。
o 깃이 굽다.
o 羽 깃 우를 따르고, 句 글귀 구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羿 제후 이름 예 《說文》 羽之𦐧風。亦古諸侯也。一曰射師。从羽幵聲。
o 날개로 바람을 일으키며 날아가다.
o 또한 고대중국에서 제후이다(夏代有穷国君主).
o 일설은 궁술의 스승을 가리킨다고 본다.
o 제곡(帝譽)에게 활을 가르친 명궁(名弓 mythological Chinese archer)이고, 달리 후예(后羿), 이예(夷羿)라고 부른다.
o 羽 깃 우를 따르고, 幵 평평할 견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후예사일(后羿射日)은 후예라고 하는 명궁이 해를 향하여 활을 쏜다는 의미이다. 고대중국에서 요임금이 통치할 때에 10개의 태양이 동시에 하늘에 떠 화초와 수목이 모두 고사하고, 강물은 물론 온 세상이 바짝 마르게 되어 요임금이 활의 명수로 소문난 후예를 불러 활로 태양을 모두 떨어뜨리라고 명령한다. 후예는 활을 쏴 10개의 태양 중 아홉 개를 떨어뜨리고(射掉九个太阳), 태양 속에 살고 있는 삼족오(三足烏)도 떨어져 죽게 된다(太阳里的九只鸟都死了). 후예가 일부러 남겨논 하나의 태양만이 세상을 비추게 되고, 산천초목은 따사한 햇볕을 받아 잘 자라게 되며 백성도 농사를 지으며 편안하게 살 수 있게 된다.
《楚辞章句》 尧时十日并出,草木焦枯,尧命羿射十日,中其九日,日中九乌皆死,堕其羽翼,故留其一日也。
《초사장구》 요시십일병출,초목초고,요명예사십일,중기구일,일중구오개사,타기우익,고류기일일야。
《淮南子》 逮至尧之时,十日并出,焦禾稼,杀草木,而民无所食。猰貐、凿齿、九婴、大风、封豨、修蛇皆为民害。尧乃使羿诛凿齿于畴华之野,杀九婴于凶水,缴大风于青丘之泽,上射十日而下杀猰貐,断修蛇于洞庭,禽封豨于桑林,万民皆喜,置尧以为天子。
《淮南子》 체지요지시,십일병출,초화가,살초목,이민무소식。알유、착치、구영、대풍、봉희、수사개위민해。요내사예주착치우주화지야,살구영우흉수,격대풍우청구지택,상사십일이하살알유,단수사우동정,금봉희우상림,만민개희,치요이위천자。
翥 날아오를 저 《說文》 飛舉也。从羽者聲。
o 날아오르다.
o 羽 깃 우를 따르고, 者 사람 자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翕 합할 흡 《說文》 起也。从羽合聲。
o 떨치고 일어나다.
o 羽 깃 우를 따르고, 合 합할 합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翖 합할 흡은 같은 글자이다.
翾 조금 날 현, 퍼득퍼득 날 현 《說文》 小飛也。从羽瞏聲。
o 조금 날다.
o 羽 깃 우를 따르고, 瞏 놀라서 볼 경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翬 훨훨 날 휘 《說文》 大飛也。从羽軍聲。一曰伊、雒而南,雉五采皆備曰翬。《詩》曰 : 如翬斯飛。
翏 높이 날 료(요) 《說文》 高飛也。从羽从㐱。
o 높이 날다.
o 羽 깃 우를 따르고, 㐱 숱 많고 검을 진을 따르다.
o 회의문자이다.
o 금문을 보면 새가 날개를 펼치고 높이 나는 모양을 나타낸다.
o 䎆 나는 모양 료(요)는 같은 의미이다.
翩 빨리 날 편 《說文》 疾飛也。从羽扁聲。
o 빨리 날다.
o 羽 깃 우를 따르고, 扁 납작할 편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翜 빨리 날 삽 《說文》 捷也。飛之疾也。从羽夾聲。讀若瀒。一曰俠也。
翊 도울 익 《說文》 飛㒵。从羽立聲。
o 나는 모양(flying)이다.
o 羽 깃 우를 따르고, 立 설 립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翌 도울 익은 같은 글자이다.
𦐇 성하게 나는 모양 탑 《說文》 飛盛皃。从羽从冃。
𦐉 힘차게 나는 모양 치 《說文》 飛盛㒵。从羽之聲。
翱 날 고 《說文》 翱翔也。从羽皐聲。
o 비상하다(flutter, soar), 선회하며 날다(stake wing).
o 羽 깃 우를 따르고, 皐 언덕 고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翶 날 고 翺 날 고는 같은 글자이다.
翔 빙빙 돌아 날 상 《說文》 回飛也。从羽羊聲。
o 빙빙 돌아 날다(circle in the air).
o 羽 깃 우를 따르고, 羊 양 양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翽 날개 치는 소리 홰 《說文》 飛聲也。从羽歲聲。《詩》曰 : 鳳皇于飛,翽翽其羽。
翯 함치르르할 학 《說文》 鳥白肥澤皃。从羽高聲。《詩》云 : 白鳥翯翯。
䍿 깃춤 황 《說文》 樂舞。以羽纣自翳其首,以祀星辰也。从羽王聲。讀若皇。
翇 깃춤 불 《說文》 樂舞。執全羽以祀社稷也。从羽犮聲。讀若紱。
翿 깃 일산 도 《說文》 翳也。所以舞也。从羽𣪐聲。《詩》曰 : 左執翿。
翳 일산 예 《說文》 華蓋也。从羽殹聲。
翣 운삽 삽, 불삽 삽 《說文》 棺羽飾也。天子八,諸侯六,大夫四,士二。下垂。从羽妾聲。
o 죽은 사람을 장사지낼 때에 관(棺)에 다는 깃털로 만든 장식(feathers used decorate coffin)이다.
o 천자는 여덟 개의 장식을 달고, 제후는 여섯 개를 달고, 대부는 네 개를 달고, 사(士)는 두 개를 단다.
o 아래로 드리워지게 단다.
o 羽 깃 우를 따르고, 妾 첩 첩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운삽(雲翣)과 불삽(黻翣)은 발인할 때에 상여의 앞뒤에 들고 가는 일종의 장례도구(a large flag)이다.
翻 날 번 《說文》 飛也。从羽番聲。或从飛。
o 날다(fly).
o 羽 깃 우를 따르고, 番 차례 번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혹설은 飛 날 비를 따른다고 본다.
o 飜 날 번은 같은 글자이다.
翎 깃 령(영) 《說文》 羽也。从羽令聲。
o 깃(plume, feather)을 가리킨다.
o 羽 깃 우를 따르고, 令 하여금 령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𦏺 나는 소리 홍, 날아올 공 《說文》 飛聲。从羽工聲。
o 나는 소리이다.
o 공중으로 날면서 오다.
o 羽 깃 우를 따르고, 工 장인 공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羾 날아올 공은 동음동의이다.
[羽(깃우)가 부수로 들어간 글자]
翁 늙은이 옹 習 익힐 습 翏 높이 날 류 翼 날개 익
[羽(깃 우)가 자부로 들어간 글자]
挧 미상 栩 상수리나무 허 珝 옥 이름 후, 옥 이름 허 祤 고을 이름 우 䋚(䌻) 날개 익 蛡 벌레 길 익 詡(诩) 자랑할 후, 자랑할 허 趐 나아갈 혈 䟳 미상 𨦫(䦀) 미상 鮙 가자미 𨌺 미상
䣁 정자 이름 우 頨 빠를 편, 머리 고울 우
毣 생각할 목
䎝 날아오를 저 䨒 물소리 우, 깃 우
扇 부채 선
𣷺 미상
禤 성씨 훤 𧝁 미상
[English] yǔ
feathers
plumes
wings of a bird 조류나 곤충의 날개
arrow 箭
one of the five notes (宮 商 角 徵 羽) in the Chinese musical scale
'第四'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0. 奞 날개 칠 순, 새 날개 펴 떨칠 순 (0) | 2021.07.01 |
---|---|
109. 隹 새 추 (0) | 2021.07.01 |
107. 習 익힐 습 (0) | 2021.06.30 |
106. 皕 이백 벽 (0) | 2021.06.29 |
105. 鼻 코 비 (0) | 2021.06.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