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四

111. 雈 수리부엉이 환

by kimlaw 2021. 7. 2.

《說文》 鴟屬。从隹从卝,有毛角。所鳴,其民有旤。
o 올빼미(鴟)에 속한다.

수리부엉이

o 隹 새 추를 따르고, 卝 양뿔 개를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깃털과 뿔이 있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상형문자이고, 귀가 뿔처럼 생긴 수리부엉이를 상형한다.

상-은허갑골문
상-은허갑골문

o 수리부엉이가 울 때에는 백성에게 화가 생긴다.
o 萑 풀 많을 추와 유사하나 다른 글자이고, 雈 수리부엉이 환은 隹 위에 ⻀ 양뿔 개(ram's horn)가 들어가므로 十이 서로 떨어져 있고, 萑 풀 많을 추는 艹 풀 초(grass radical)가 들어가며 十이 서로 붙어있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雈의 부수는 隹(새추)이다.

[萑部]
蒦 자 확, 자 약, 자 획, 붙잡을 확 《說文》 規蒦,商也。从又持萑。一曰視遽皃。一曰蒦,度也。
o 길이를 재다, 즉 商 헤아릴 상을 의미한다.
o 손으로 수리부엉이를 들고 있는 모양을 따른다.

설문해자
春秋

o 일설은 두리번거리는 모양을 가리킨다고 본다.
o 일설은 度 헤아릴 탁과 같은 글자라고 본다.
雚 황새 관, 박주가리 환 《說文》 小爵也。从萑吅聲。《詩》曰 : 雚鳴于垤。
o 작은 술잔(small cup), 즉 참새의 부리와 같은 모양을 한 술잔을 가리킨다.
o 작은 참새를 가리킨다고도 본다.
o 황새(heron)를 가리킨다.

황새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상형문자이고, 황새를 상형한다.

상-은허갑골문
商代

o 萑 수리부엉이 환을 따르고, 吅 부르짖을 훤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시경》에서 이르기를 관명우질(雚鳴于垤)이라고 한다.
o 雚 박주가리 환으로도 쓰고, 박주가리, 물억새와 같은 풀의 이름이다.
o 鸛 황새 관과 같은 글자이다.
舊 예 구, 옛 구 《說文》 鴟舊,舊畱也。从萑臼聲。
o 수리부엉이를 가리킨다.
o 수리부엉이가 새집 안에 머무르고 있는 모양을 나타낸다.

상-은허갑골문
周晩

o 설문해자에서는 雈 수리부엉이 환(owl)을 따르고, 臼 절구 구는 성부라고 본다.

설문해자
春秋

o 형성문자이다.
o 본래는 수리부엉이를 의미하나, 후에 발음이 같은 옛날(old, former, past)이라는 의미로 가차되어 현재는 주로 舊 예 구로 사용된다.
o 현재는 위에 萑 물억새 환이 들어가고, 舊는 萑臼, 즉 萑 물억새 환(a type of grass)과 臼 절구 구로 구성된다.
o 鵂 수리부엉이 휴는 같은 글자이다.
o 𦾔 예 구는 같은 글자이다.
o 旧는 간체자이다.
o 旧는 일본에서 사용하는 신자체이다.

[English] huán
a big owl
egret

[유사한자] 雈萑
雈 수리부엉이 환
萑 풀 많을 추, 물억새 환

[관련한자]
鴞 부엉이 효
鷍 올빼미 교
鷮 꿩 교

'第四'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3. 苜 눈 바르지 못할 말  (0) 2021.07.02
112. 卝 양뿔 개  (0) 2021.07.02
110. 奞 날개 칠 순, 새 날개 펴 떨칠 순  (0) 2021.07.01
109. 隹 새 추  (0) 2021.07.01
108. 羽 깃 우  (0) 2021.06.3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