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上所施下所效也。从攴从孝。
o 위에서는 베풀고, 아래에서는 본받는다.
o 설문해자는 회초리를 의미하는 攴 칠 복을 따르고, 孝 본받을 효를 따른다고 본다.
o 설문해자에서는 회초리로 때리며 효(孝)를 가리친다는 의미이다.
o 회의문자이다.
o 형성문자라고도 보고, 성부에 해당하는 爻 점괘 효와 의부에 해당하는 子 아들 자(child), 攵 칠 복으로 구성된다고 본다.
o 손에 회초리(攵 teaching cane)를 들고 학생(子)에게 계산이나 점술(爻)을 가르치는 모양(teaching a child counting or divination)을 나타낸다고 본다.
o 敎 가르칠 교도 같은 글자이다.
o 斅 가르칠 효, 가르칠 학도 같은 의미이다.
o 교재(教材 teaching material)는 가르치거나 학습하기 위하여 필요한 여러 가지 재료를 가리킨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教의 부수는 攴(칠복)이다.
[教部]
斆 깨달을 효, 가르칠 효 《說文》 覺悟也。从教从冂。冂,尚矇也。臼聲。學,篆文斆省。
o 깨우쳐 알다, 깨닫다.
o 설문해자에서는 教 가르칠 교를 따르고, 冂 멀 경을 따른다고 본다.
o 冂 멀 경은 아직 어리석다는 뜻이다.
o 臼 절구 구는 성부이다.
o 회의문자이고, 형성문자이다.
o 學 배울 학은 전문(篆文)에서 사용한 斆 깨달을 효의 생략형이다.
o 현재는 敎 가르칠 교 혹은 學 배울 학과 같은 글자로 쓴다.
《廣韻 效韻》 斆,學也。
《광운 효운》 효,학야。
《集韻 效韻》 斅,教也。
《집운 효운》 효,교야。
o 斅 가르칠 효, 가르칠 학은 같은 글자이다.
o 敩은 간체자이다.
[教(가르칠 교)가 자부로 들어간 글자]
嘋 성낼 효 漖 강 이름 교 䃝 울툭불툭할 교 𨬊 미상
[English] jiào
religion, religious teachings / faith
order / directive
educate
incite
urge
bid
instigate / instruct
instructions / etiquette, rules, customs
advise / have / make / let
[English] jiāo
teach / guide
[관련한자]
學 [xué] 배울 학
o 본래는 𦥯 배울 학(study, learn)으로 쓰고, 양 손을 의미하는 𦥑 깍지 낄 국, 배우는 모습을 나타내는 爻 점괘 효, 서당이나 학교와 같이 배우는 장소를 의미하는 宀 집 면으로 구성된다.
o 후에 배우는 사람이 아이라는 의미로 子 아들 자가 추가된다.
o 學은 臼爻冖子, 즉 臼 깍지 낄 국과 爻 점괘 효, 冖 덮을 멱, 子 아들 자로 구성된다고 볼 수도 있다.
o 敎 가리칠 교(teach)의 생략형과 손을 움직이며 글자를 배운다는 의미를 가지는 𦥑 깍지 낄 국(mingling hands, hands-on learning), 학생이 지붕이 있는 서당이나 학교에서 배운다는 의미를 가지는 宀 집 면(house, roofed building)으로 구성된다.
o 현재는 宀 집 면이 冖 덮을 멱(cover)으로 변하고, 子 아들 자의 위에 있는 지붕(冖)과 연결된 爻 점괘 효을 손(𦥑)으로 둘러싸고 있는 모양으로 구성된다.
o 회의 문자이다.
o 초기의 갑골문에서는 爻 점괘 효를 따르고, 六 여섯 육을 성부로 하는 형성문자로 구성되기도 한다.
o 斈 배울 학은 같은 글자이다.
o 学은 간체자이다.
'第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95. 用 쓸 용 (0) | 2021.06.28 |
---|---|
94. 卜 점 복 (0) | 2021.06.27 |
92. 攴 칠 복 (0) | 2021.06.27 |
91. 㼱 부드러운 가죽 연 (0) | 2021.06.27 |
90. 皮 가죽 피 (0) | 2021.06.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