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531 衆口難調(중구난조) 많은 사람의 입을 서로 잘 조화시키기는 어렵다. 많은 사람의 구미를 다 맞추기는 어렵다. 여러 사람의 의견을 일치시키기는 어렵다. 여러 사람을 다 만족시키기는 어렵다. 羊羹雖美(양갱수미)는 양고기의 국물이 아무리 맛이 좋아도 여러 사람의 입맛에 다 맞추기는 어렵다는 의미이다. It is difficult to cater for all tastes. tastes differ It is difficult to make everyone feel satisfied. It is hard to please all. 欧阳修(宋) 《归田录》 补仲山之衮,虽曲尽于巧心; 和傅说之羹,实难调于众口。 구양수(송) 《귀전록》 보중산지곤,수곡진우교심; 화부설지갱,실난조우중구。 《五灯会元》 僧问: "一雨所润,为什么万木不同?" 师曰:".. 2023. 12. 21. 衆口難防(중구난방) 여러 사람의 입은 막기가 어렵다. 여러 사람이 입을 모아 주장을 하면 다 막기는 어렵다. 일일이 막기 어려울 정도로 많은 사람이 사방에서 마구 지껄여 대다. 防民之口 甚於防川(방민지구 심어방천)는 백성의 입을 막기는 돌이나 흙을 쌓아 냇물을 막기 보다도 어렵다, 혹은 백성의 입을 막는 행위는 방천을 쌓아 강물을 막는 경우보다 더 위험하다는 의미이다. 주로 한국에서 사용되는 사자성어이다. It is more sinister and ominous to stop civilians from speaking than to block the river flows. To silence the people is more harmful than blocking a river. 左丘明(先秦) 《国语 周语上》 防民之口,甚于.. 2023. 12. 20. 虎尾難放(호미난방) 호랑이의 꼬리를 잡으면 놓기가 어렵다. 위험한 일에 일단 손을 대면 그만두기도 어렵고 계속하기도 어렵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가리킨다. 들자니 무겁고 놓자니 깨질 듯한 경우를 가리킨다. 騎虎難下(기호난하)는 호랑이를 타고 달리다가 내리기는 어렵다(ride a tiger and find it difficult to dismount), 즉 무슨 일을 하다가 도중에 그만두려 하여도 그만둘 수 없다는 의미이다. 進退兩難(진퇴양난), 進退維谷(진퇴유곡)과 같은 의미이다. have a tiger by the tail ride a tiger get into a situation where both proceeding forward and backing down are difficult 2023. 12. 19. 有備無患(유비무환) 준비가 있으면 환난이 없다. 준비가 있으면 우환이 없다(備えあれば憂いなし). 미리 준비가 되어 있으면 나중에 근심이나 걱정이 없다. 무슨 일이든지 미리 대비하여 두면 걱정이나 근심이 생기지 아니한다. 居安思危(거안사위)는 평안한 거처에서도 위험을 생각한다, 즉 편안하게 살고 있는 때에도 항상 위태로운 상황이 닥칠 수 있다는 생각을 하고, 잘 대비하여야 한다는 표현으로 같은 의미이다. 未雨綢繆(미우주무)는 "비가 오기 전에 올빼미가 둥지에 뚫린 구멍을 얽어맨다", 즉 화가 생기기 전에 미리 방지한다는 표현으로 같은 의미이다. 不虞之備(불우지비)는 근심이나 걱정이 없을 때에 뜻밖에 생길 일에 대하여 준비한다는 의미이다. 한국속담에서는 "매사 불여 튼튼"이라고 하고, 무슨 일이든지 든든하게 해 놓아야 좋다는 .. 2023. 12. 18. 이전 1 ··· 31 32 33 34 35 36 37 ··· 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