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十四51

512. 嘼 짐승 수, 가축 축 《說文》 㹌也。象耳、頭、足厹地之形。古文嘼,下从厹。 o 짐승이다. o 보통 네 발을 가지고 있고, 온몸에 털이 나는 포유동물을 가리킨다. o 짐승의 귀와 머리, 발로 땅을 밟고 있는 모양을 상형한다. o 설문해자에서 吅 부르짖을 훤는 두 귀(ears), 田 밭 전 혹은 囟 정수리 신은 머리(head), 禸 발자국 유 혹은 古 예 고는 꼬리(tail)를 가리킨다. o 嘼 가축 축의 고문(古文)에서 아래는 厹 발자국 유를 따른다. o 畜 짐승 축은 같은 글자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嘼의 부수는 口(입구)이다. [嘼部] 獸 [shòu] 짐승 수 《說文》 守備者。从嘼从犬。 o 다른 동물의 공격을 지켜 막아 보호를 받는 가축이다. o 嘼 가축 축을 따르고, 犬 개 견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2021. 10. 15.
511. 厹 발자국 유 《說文》 獸足蹂地也。象形,九聲。《尔疋》曰 :狐貍貛貉醜,其迹厹。 o 짐승의 뒷발이 땅을 밟은 모양, 즉 발자국을 가리킨다. o 상형문자이다. o 九 아홉 구는 성부이다. o 《이필》(尔疋)에서 이르기를 호리환맥추, 기적구(狐貍貛貉醜, 其迹厹), 즉 "여우(狐), 너구리(貍), 오소리(貛), 담비(貉) 따위는 그 발자국(厹)을 남긴다"고 한다. o 厹 세모창 구로도 쓰고, 구모(厹矛)는 세모창(三棱矛 spear)을 가리킨다. o 厹는 九厶, 즉 九 아홉 구와 厶 사사 사로 구성된다. o 禸 발자국 유도 동음동의이다. o 蹂 밟을 유는 같은 의미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厹의 부수는 厶(마늘모)이다. [厹部] 禽 새 금, 사로잡을 금 《說文》 走獸緫名。从厹,象形,今聲。禽、离、兕頭相似。 o 걷는 .. 2021. 10. 15.
510. 九 아홉 구 《說文》 陽之變也。象其屈曲究盡之形。 o 양(陽)의 변화이다. o 끝까지 굽어 꺽어진 모양을 상형한다. o 지사문자이다. o 팔꿈치를 구부리고 있는 손의 모양이고, 본래의 의미는 팔꿈치(elbow)이며 현재 사용되는 肘 팔꿈치 주와 같다. o 일설에 의하면 고대중국에서 손가락으로 아홉을 가리키는 모양을 본뜬 글자라는 주장도 있다. o 玖 아홉 구는 같은 글자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九의 부수는 乙(새을)이다. [九部] 馗 길거리 규, 길거리 구 《說文》 九達道也。似龜背,故謂之馗。馗,高也。从九从首。 o 아홉 방향으로 통하는 길(thoroughfare)을 가리킨다. o 거북의 등과 비슷하므로, 馗 길거리 규라 한다. o 馗 길거리 규는 高 높을 고와 같다. o 九 아홉 구를 따르고, 首 머리 .. 2021. 10. 14.
509. 七 일곱 칠 《說文》 陽之正也。从一,微陰从中衺出也。 o 양기(陽氣)가 바른 위치에 있다. o 一 한 일을 따르고, 미미한 음기(陰氣)가 중앙에서 나오는 모양이다. o 갑골문에서는 十과 같은 모양이나, 후에 十 열 십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세로획의 밑을 구부린 모양으로 바뀌게 된다. o 柒 일곱 칠은 갖은자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七의 부수는 一(한일)이다. [七(일곱 칠)이 자부로 들어간 글자) 切 끊을 절, 온통 체 沏 갈 절 柒(漆 七) 일곱 칠 窃 훔칠 절 [English] qī seven alternate 柒 [疊字] 七㐂 七 일곱 칠 㐂(喜) [xǐ] 기쁠 칠 [유사한자] 七匕𠤎 七 일곱 칠 匕 비수 비 𠤎 될 화 [成語] ▯ 七寶(칠보) 불교에서 일컫는 일곱 가지 보배 金(금), 銀(은.. 2021. 10.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