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十四

512. 嘼 짐승 수, 가축 축

by kimlaw 2021. 10. 15.

《說文》 㹌也。象耳、頭、足厹地之形。古文嘼,下从厹。
o 짐승이다.
o 보통 네 발을 가지고 있고, 온몸에 털이 나는 포유동물을 가리킨다.
o 짐승의 귀와 머리, 발로 땅을 밟고 있는 모양을 상형한다.

周早
商代

o 설문해자에서 吅 부르짖을 훤는 두 귀(ears), 田 밭 전 혹은 囟 정수리 신은 머리(head), 禸 발자국 유 혹은 古 예 고는 꼬리(tail)를 가리킨다.

설문해자

o 嘼 가축 축의 고문(古文)에서 아래는 厹 발자국 유를 따른다.
o 畜 짐승 축은 같은 글자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嘼의 부수는 口(입구)이다.

[嘼部]
獸 [shòu] 짐승 수 《說文》 守備者。从嘼从犬。
o 다른 동물의 공격을 지켜 막아 보호를 받는 가축이다.
o 嘼 가축 축을 따르고, 犬 개 견을 따른다.

설문해자
石鼓文

o 회의문자이다.
o 개가 다른 가축을 옆에서 지켜 막고 있다는 의미이다.
o 네 다리가 있고, 털이 있는 동물은 獸 짐승 수(beast, animal)라 하며, 두 다리로 걷고 깃이 있는 동물은 禽 새 금이라 한다(一曰两足曰禽, 四足曰兽).
《爾雅 釋鳥》 四足而毛謂之獸。
《이아 석조》 사족이모위지수。
《尔雅》二足而羽谓之禽。
《이아》 이족이우위지금。
o 금문에서는 單 홑 단과 犬 개 견으로 구성되고, 單 홑 단은 고대에 수렵을 할 때에 사용된 사냥도구를 가리키므로, 개를 데리고 가서 사냥도구로 사냥한다는 의미라고도 본다.

商代
周中
商代
商代

o 청용(靑龍), 백호(白虎), 주작(朱雀), 현무(玄武)를 신수(神獸)라 한다.
o 兽는 간체자이다.
o 獣는 일본에서 사용되는 신자체(약자)이다.
o 嘼 짐승 수는 같은 글자이다.
o 맹수(猛獸)는 성질이 몹시 사나운 짐승을 가리킨다.
《淮南子 說山訓》 山有猛獸。
《회남자 설산훈》 산유맹수。

[English] shòu
beast
animal 一般指四足、全身生毛的哺乳动物
dry meat 干肉
tiger 虎
hunt 打猎
beastly 野蛮的、残忍的
beast-like

[참고] 짐승과 관련되는 한자
畜 가축 축, 짐승 축, 쌓을 축, 기를 휵 圂 가축 환, 뒷간 혼
兎 토끼 토 卯 토끼 묘 毚 토끼 참 㕙 교활한 토끼 준
犬 개 견 狗 개 구 戌 개 술 猲 개 갈 獒 개 오 犭 큰 개 견
牛 소 우 丑 소 축 牦 소 모 犛 검은 소 리, 검은 소 모
鷄 닭 계 酉 닭 유
馬 말 마 駑 둔한 말 노 駻 사나운 말 한 驏 안장 얹지 않은 말 잔
豚 돼지 돈 猪 돼지 저 亥 돼지 해 豕 돼지 시 豜 돼지 견 彘 돼지 체
羊 양 양 羘 숫양 장 牂 암양 장 羔 새끼 양 고 羜 새끼 양 저 羝 숫양 저

'第十四' 카테고리의 다른 글

514. 乙  굽을 을  (0) 2021.10.15
513. 甲 갑옷 갑  (0) 2021.10.15
511. 厹 발자국 유  (0) 2021.10.15
510. 九 아홉 구  (0) 2021.10.14
509. 七 일곱 칠  (0) 2021.10.1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