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二30

20. 犛 야크 리, 검은 소 리 《說文》 西南夷長髦牛也。从牛𠩺聲。 o 서남지방에 사는 오랑캐가 키우는 털이 긴 소이다. o 牛 소 우를 따르고, 𠩺 쪼갤 리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牦는 간체자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犛의 부수는 牛(소우)이다. [犛部] 氂 꼬리 리(이), 길이 단위 리(이), 꼬리 모 《說文》 犛牛尾也。从犛省,从毛。 o 야크의 꼬리를 가리킨다. o 犛 야크 리의 생략형, 毛 털 모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㲠 꼬리 리(이)는 같은 글자이다. 斄 털이 긴 소 리 《說文》 彊曲毛,可以箸起衣。从犛省,來聲。 o 빳빳하고 굽은 털을 가리키고, 옷을 지어 입을 수 있다. o 犛 야크 리의 생략형을 따르고, 來 올 래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English] lí a black ox a y.. 2021. 6. 13.
19. 牛 소 우 《說文》 大牲也。牛,件也;件,事理也。象角頭三、封㞑之形。 o 옛날부터 제사에 올리는 산 제물(生贄)로 이용되고, 그 피(血)와 고기(肉)는 신이나 조상의 혼령에게 받치는 물건이므로, 큰 희생을 의미한다. o 소는 구분(구별)을 가리킨다. o 구분은 사물의 이치이다. o 상형문자이고, 위로 뻗은 세 가지는 소의 머리와 두 뿔(角)을 본뜬 모양이며, 중앙을 가로지르는 ―은 어깨(肩), 아래로 내려가는 丨은 꼬리(尾)를 상형한다. o 소의 머리, 굽어진 뿔, 두 귀(cows' head, horns and ears)를 상형한다고도 볼 수 있다. o 육축(六畜 - 馬 牛 羊 鶏 犬 豚)에 해당하며, 그 고기를 식용하고 그 젓(乳)을 음용(飲用)할 뿐만 아니라, 농경(農耕)이나 운반(運搬)을 위하여 없어서는 안 되는.. 2021. 6. 13.
18. 半 반 반 《說文》 物中分也。从八从牛。牛為物大,可以分也。 o 물건의 중앙을 둘로 똑같이 나누다. o 八 여덟 팔을 따르고, 牛 소 우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소는 그 크기가 커서 나눌 수 있다. o 八 여덟 팔은 나누어 갈라진 모양(divide)을 나타낸다. o 푸줏간에 소를 잡아 반으로 나누어 걸어놓은 모습을 본뜬 글자로 牛 소 우(cow)와 나누어 구분한다(separation)는 의미의 八 여덟 팔로 구성되어 있다. o 현재 사용하는 半은 八十一, 즉 八 여덟 팔과 十 열 십, 一 한 일로 구성된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半의 부수는 十(열십)이다. [半部] 胖 희생 반쪽 반 《說文》 半體肉也。一曰廣肉。 从半从肉,半亦聲。 o 고대중국에서 제사를 지낼 때에 희생에 받친 반쪽으로 된 고기(ha.. 2021. 6. 13.
17. 釆 분별할 변 《說文》 辨别也。象兽指爪分别也。讀若辨。 o 옳고 그름이나 좋고 나쁨을 판단하여 구별하다. o 발톱이 갈라져 있는 짐승의 발자국을 본뜬 글자이다. o 사냥을 하는 사람이 짐승의 발자국을 보고 어떤 짐승인지를 알아낸다는 의미이므로, 분별을 의미한다. o 釆은 丿米, 즉 丿 삐침 별 아래에 米 쌀 미가 잇는 모양을 따른다. o 釆은 禾丷, 즉 禾 벼화와 丷 구결자 하로 구성된다고 볼 수도 있다. o 采 캘 채는 爫(爪) 손톱 조와 木 나무 목을 합한 회의문자로 채취(採取)를 의미한다. o 辨 분별할 변과 같게 발음한다. o 부수명칭은 「분별할변」, 「캘채변」이라 한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のごめ(釆), 가타카나의 ノ와 米 쌀 미를 합한 글자라는 의미로 のごめへん(ノ米偏)이라 하고, 영어로는 radical.. 2021. 6.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