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十分也。人手卻一寸,動衇,謂之寸口。从又从一。
o 10푼이다.
o 사람의 손가락 한 마디가 일촌(一寸)이다.
o 손목에서 손가락 한 마디가 떨어진 곳을 촌구(寸口), 즉 맥이 뛰는 자리(a person's pulse on the wrist)라 한다.
o 又 우른손 우를 따르고, 一 한 일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바로 一 한 일이 있는 위치가 손목에서 일촌(一寸)이 떨어진 자리(寸口)이다.
o 10寸이 1尺이고, 1尺이 약 30.3cm이므로 1寸은 약 3.03cm이다.
o 부수명칭은 「마디촌」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すん(寸)이라 하고, 척관법(尺貫法)의 단위인 寸(촌)에 가장 가까운 야드파운드법의 단위가 인치(inch)이므로 영어로는 radical inch라 한다.
[寸部]
寺 절 사, 내시 시, 관청 시 《說文》 廷也。有法度者也。从寸之聲。
o 관아(government house)를 가리킨다.
o 다스리는 법도(法度)가 있다는 의미이다.
o 寸 마디 촌을 따르고, 之 갈 지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금문을 보면 又 오른손 우를 따르기도 한다.
o 손에 가지다, 손에 쥐다, 손으로 잡다는 의미이고, 持 가질 지의 본자(本字)라고 본다.
o 후에는 之 갈 지가 土 흙 토나 士 선비 사로 변하고, 성부로 들어간 又 오른손 우는 寸 마디 촌으로 변하게 된다.
o 현재 한국이나 일본, 중국의 간체자에서는 土 흙 토가 들어가나, 본래 전통적으로는 士 선비 사를 쓴다.
o 현재 사용하는 寺는 土寸, 즉 土 흙 토와 寸 마디 촌으로 구성된다.
o 士 선비 사와 寸 마디 촌으로 구성된다고 볼 수도 있다.
o 䦙 관청 시는 같은 글자이다.
o 본래의 의미는 관원이 근무를 하는 관서(官署)를 의미하나, 현재는 주로 寺 절 사(temple)로 사용된다.
將 장수 장, 장차 장 《說文》 帥也。从寸,醬省聲。
o 장수를 뜻한다.
o 寸 마디 촌을 따르고, 醬 장 장의 생략형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將는 爿⺼寸, 즉 爿 나뭇조각 장(bed, small table)과 ⺼ 육달월 월(meat), 寸 마디 촌(hand)으로 구성된다.
o 갑골문에서는 양손(爪 손톱 조 手 손 수)으로 공손하게 제단 위에 고기를 희생으로 바치고 있는 모양을 상형한다.
o 将는 일본에서 사용되는 신자체이다.
o 将은 간체자이다.
𢒫 찾을 심 《說文》 繹理也。从工从口从又从寸。工、口,亂也。又、寸,分理之。彡聲。此與𤕦同意。度,人之兩臂為尋,八尺也。
專 오로지 전, 둥글 단, 모일 단 《說文》 六寸簿也。从寸叀聲。一曰專,紡專。
o 신하가 임금을 뵐 때에 조복에 갖추어 손에 드는 수판(手板), 즉 홀(笏 임금에게 올릴 내용이나 임금의 어지를 받아 적을 수 있는 용도로도 쓰이는 물건)은 그 길이가 6치라는 의미이다.
o 寸 마디 촌을 따르고, 叀 물레 전은 성부이다.
o 寸 마디 촌은 법도를 따른다는 의미이다.
o 일설은 叀 물레 전은 물레(spindle)를 가리킨다고 본다.
o 갑골문을 보면 우측은 물레를 상형하며, 좌측에는 손(手 又)이 있으므로, 합하여 손으로 물레를 잡고 피륙을 짜는 길쌈을 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o 금문에서 물레 앞에서 사람이 길쌈을 하고 있는 모습을 상형한다.
o 叀 오로지 전 嫥 오로지 전 専 오로지 전 摶 오로지 전 耑 오로지 전은 같은 글자이다.
o 专는 간체자이다.
尃 펼 부 《說文》 布也。从寸甫聲。
o 펴다.
o 寸 마디 촌을 따르고, 甫 클 보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寸 마디 촌은 手 손 수로 쓰기도 하며, 손으로 잡아당겨 편다는 의미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양손으로 마포(麻布)를 잡고 펴는 모양을 상형한다.
o 敷 펼 부 佈 펼 포는 같은 글자이다.
導 이끌 도, 인도할 도 《說文》 導,引也。从寸道聲。
o 이끌다.
o 寸 마디 촌을 따르고, 道 길 도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首 머리 수와 止 발 지, 行 다닐 행으로 쓰기도 한다.
o 위에 있는 首 머리 수는 사람을 의미하고, 아래에 있는 止 발 지는 다리를 가리키며, 밖에 있는 行 다닐 행은 갈림길(네거리)을 가리키므로, 사람이 갈림길에 도달한 때에는 누군가가 이끌거나 인도하여야 한다는 의미이다.
o 辵(辶) 쉬엄쉬엄 갈 착이나 行 다닐 행과 首 머리 수, 寸 마디 촌으로 구성되기도 한다.
o 寸 마디 촌은 手 손 수로 쓰기도 하며, 손으로 이끌다(lead), 인도하다(guide)를 의미한다.
o 导는 간체자이다.
[寸(마디촌)이 부수로 들어간 한자]
寺 절 사 封 봉할 봉 尃 펼 부 射 궁술 사 尉 벼슬 위 將 장차 장 專 오로지 전 尋 찾을 심 尊 높을 존 對 대답할 대 導 이끌 도
[寸(마디 촌)이 자부로 들어간 글자]
付 줄 부 吋 마디 촌, 꾸짖을 두 忖 헤아릴 촌 𢩭 저밀 촌 过 지날 과 时 때 시 村 마을 촌 肘 팔꿈치 주 𥘑 미상 衬 속옷 친, 속옷 츤 籿 데시미터 촌 紂(纣) 껑거리끈 주, 주임금 주 耐 견딜 내, 능할 능 䖞 바다벌레 이름 주 䙸 얻을 득 討(讨) 칠 토 酎 전국술 주 屗 미상
刌 저밀 촌 夺 빼앗을 탈, 좁은 길 태 守 지킬 수 䒭 무리 등 䙷 얻을 득 辱 욕될 욕 奪 빼앗을 탈, 좁은 길 태 疛 뱃병 주 団 둥글 단, 경단 단 埓 담 랄(날) 㷉 벼슬 위, 위로할 위, 다리미 울 𡁷 미상
[English] cùn
a cun or Chinese inch, a traditional unit of length of about 3 cm
knuckle
as small as an inch
small, tiny, little 极小
[用例]
寸志(촌지)
손가락 한 마디만 한 뜻, 즉 아주 작은 정성 혹은 마음의 표시
a little token of one's gratitude, a small present
一寸 [yī cùn]
1촌
one inch(2.54cm)
[참고한자]
又 오른손 우 right hand / and, also, again
手 손 수 hand
九 아홉 구 nine
爪 손톱 조 claw, nail, talon / animal feet
'第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91. 㼱 부드러운 가죽 연 (0) | 2021.06.27 |
---|---|
90. 皮 가죽 피 (0) | 2021.06.27 |
88. 𠘨 깃털 수, 새깃 짧을 수 (0) | 2021.06.27 |
87. 殺 죽일 살 (0) | 2021.06.27 |
86. 殳 창 수, 칠 수 (0) | 2021.06.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