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三

86. 殳 창 수, 칠 수

by kimlaw 2021. 6. 27.

《說文》 以杸殊人也。《禮》 : 殳以積竹,八觚,長丈二尺,建於兵車,車旅賁以先驅。从又几聲。
o 창을 가지고 사람을 거의 죽이다.

商-殷墟甲骨文

o 칼날이 달리지 않고, 막대의 형태로 된 죽창(spear)이라고 보는 주장도 있다.
o 주례에서 이르기를 여덟 개의 대나무를 묶어서 만들고, 길이는 1장2척이며, 병거에 세워서 그 병거를 여분(旅賁)에게 주어 선봉에 서게 한다.

春秋

o 又 오른손 우를 따르고, 几 안석 궤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오른손(又)에 어떤 도구(几 tool)를 든 모양을 나타낸다.

周中

o 𠘨 창 수와 같은 글자이고, 동음동의이다.
o 다른 글자에 의부로 들어가면 구타(殴打)、파괴(破壊)、공격(攻撃)과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o 부수명칭은 「갖은등글월문」이다.
o 일본에서는 부수명칭을 ほこ(殳), ほこづくり(殳旁), 위에 있는 几가 카타카나 「ル」로 볼 수 있으므로 속칭으로 るまた(ル又)라 하고, 영어로는 radical weapon이라 한다.

[殳部]
祋 창 대, 창 탈 《說文》 殳也。从殳示聲。或說城郭市里,高縣羊皮,有不當入而欲入者,暫下以驚牛馬曰祋。故从示、殳。《詩》曰 : 何戈與祋。
o 창을 가리킨다.
o 殳 창 수를 따르고, 示 보일 시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혹설은 양피를 거는 장대, 즉 도시나 고을을 둘러싼 성곽 안으로 부당하게 들어오거나 들어오려고 하는 사람이 있을 때에 우마(牛馬)를 놀라게 하기 위하여 높이 양피(羊皮)를 걸어 성곽의 입구에 세운 장대를 가리켜 祋 장대 대라고 한다고 본다.
o 혹설은 示 보일 시, 殳 창 수를 따르고, 회의문자라고 본다.
o 《시경》에서 이르기를 하과여대(何戈與祋), 즉 “긴 창과 짧은 창을 메고 있다”고 한다.
杸 팔모진 창 수 《說文》 軍中士所持殳也。从木从殳。《司馬法》 曰 : 執羽从杸。
o 군대에서 병사가 지니고 다니는 창(an ancient weapon)을 가리킨다.
o 木 나무 목을 따르고, 殳 창 수를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사마법》(司馬法)에서 이르기를 집우종수(執羽从杸)라고 한다.
毄 부딪칠 격, 매어 기를 계 《說文》 相擊中也。如車相擊。故从殳从軎。
o 서로 부닺치다.
o 수레가 서로 부딪치는 경우와 같다.
o 殳 창 수를 따르고, 軎 굴대 끝 세를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㱿 껍질 각 《說文》 从上擊下也。一曰素也。从殳𡉉聲。𡉉,苦江切。
㱽 다스릴 금, 올려칠 침 《說文》 下擊上也。从殳冘聲。
o 아래에서 위를 향하여 올려치다.
o 殳 창 수를 따르고, 冘 망설일 유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𣪌 던질 투, 몽치 대 《說文》 繇擊也。从殳豆聲。古文祋如此。
𣫐 미상 《說文》 縣物𣪐擊。从殳𠃬聲。
𧰵 칠 독, 칠 탁 《說文》 椎毄物也。从殳豖聲。
毆 때릴 구, 때릴 우 《說文》 捶毄物也。从殳區聲。
o 물건을 때리고 치다(beat).
o 殳 창 수를 따르고, 示 보일 시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殴는 간체자이다.
毃 두드릴 각, 두드릴 고 《說文》 擊頭也。从殳高聲。
o 머리를 두드리다.
o 殳 창 수를 따르고, 高 높을 고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敲 두드릴 고, 두드릴 교는 같은 글자이다.
殿 대궐 전, 전각 전《說文》 擊聲也。从殳𡱂聲。
殹 앓는 소리 예 《說文》 擊中聲也。从殳医聲。
o 신음(呻吟)하는 소리(sound of groaning)이다.
o 殳 창 수를 따르고, 医 동개 예는 성부이다.

周中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翳 일산 예 醫 이원 의 㙠 티끌 예 繄 창전대 예 嫛 유순할 예 黳 주근깨 예 㿄 않는 소리 애, 피로할 의 鷖 갈매기 예는 殹 앓는 소리 예가 자부로 들어간 글자이다.
段 구분 단, 층계 단 《說文》 椎物也。从殳,耑省聲。
o 망치로 물건을 치다.
o 殳 창 수를 따르고, 耑 끝 단의 생략형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금문을 보면 좌측에 기슭 아래 있는 돌을 나타내는 石 돌 석이 있고, 우측에 있는 殳 몽둥이 수는 손으로 망치를 들고 돌을 치는 모양을 나타낸다.

周中

o 段은 丨亖殳, 즉 丨 뚫을 곤과 亖 넉 사, 殳 몽둥이 수로 구성된다.
𣪯 쿵쿵 울리는 소리 동 《說文》 擊空聲也。从殳宮聲。
殽 섞일 효 《說文》 相雜錯也。从殳肴聲。
o 서로 뒤섞이다.
o 殳 창 수를 따르고, 肴 안주 효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毅 굳셀 의 《說文》 妄怒也。一曰有決也。从殳豙聲。
o 왈칵 성내다.
o 일설은 ‘굳세다’는 뜻으로 본다.
o 殳 창 수를 따르고, 豙 성나 털 일어날 의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금문에서는 좌측에 辛 매울 신, 豕 돼지 시가 있고, 우측에 殳 몽둥이 수가 있다.

周晩

㲃 구부릴 구 《說文》 揉屈也。从殳从𠧢。𠧢,古文叀字。廏字从此。
役 부릴 역 《說文》 戍邊也。从殳从彳。
o 변경을 지키다.
o 殳 창 수를 따르고, 彳 조금 걸을 척을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갑골문에서는 사람이 손에 무기를 들고 다른 사람을 치는 모습을 상형한다.

商-殷墟甲骨文

o 군대에서 병사로 복무하고(serve in the army), 변경에서 국경을 지키고 있다는 의미이다.
㱾 부적 개, 부적 해 《說文》 㱾改,大剛卯也。以逐精鬼。从殳亥聲。
o 㱾 부적 개는 攺 역귀 쫓을 이와 같은 글자이고, 토끼를 대강 그린 패식(佩飾)을 가리킨다.
o 패식을 가지고 역귀를 쫓고 재앙을 물리친다는 의미이다.
o 殳 창 수를 따르고, 亥 돼지 해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부적(符籍)은 민간신앙에서 악귀와 잡신을 쫓고 재앙을 물리치기 위하여 붉은색으로 글자나 모양을 그려 몸에 지니고 다니거나 집에 붙인 종이를 가리킨다.

[殳(갖은등글월문)이 부수로 들어간 글자]
㱼 부적 해 段 구분 단 殴 때릴 구, 때릴 우 㱽 다스릴 금, 올려칠 침 殶 쏠 주 㱾 부적 개, 부적 해 㱿 껍질 각, 내려칠 각, 토할 학 殸 소리 성, 경쇠 경 殹 앓는 소리 예 殷 성할 은 殺 죽일 살 殼 껍질 각 㲀 칠 진 𣪘 제기 이름 궤 殼 껍질 각, 내려칠 각 殽 섞일 효 㲁 칠 공, 다 죽일 종 㲂 밀 정 㲃 구부릴 구 殾 쌓을 준 殿 큰 집 전 毁 헐 훼 毁 헐 훼 毂 바퀴통 곡 㲄 굽지 않은 그릇 구 𣪧 미상 毃 두드릴 각, 두드릴 고 毄 부딪칠 격, 매어 기를 계 㲅 해칠 계 毅 굳셀 의 毆 때릴 구, 때릴 우 毇 쓿을 훼 毈 알 곯을 단 㲆 소리가 많을 령(영) 㲇 북소리 동 㲈 풍류 이름 소, 북 이름 도 㲉 알 깔 각, 부화한 알 곡 㲊 밝을 예 𣫕 미상 毉 의원 의 𣫛 미상 毊 큰 경쇠 효

[殳(몽둥이 수)가 자부로 들어간 글자]
伇 부릴 역 吺 말 많을 두 坄 굴뚝 역 投 던질 투 役 부릴 역 設(设) 베풀 설 没 빠질 몰 杸 팔모진 창 수, 나무 이름 퇴 殁 죽을 몰 炈 옹기가마 굴뚝 역 股 넓적다리 고 祋 창 대 砓 돌산 철 竐 재계할 촉 羖 검은 암양 고 般 돌 반 盤 소반 반 豛 돼지 역 䝘 굳셀 의 䟝 내던질 투 軗 수레 끌 수 酘 두 번 빚은 술 두 鈠 작은 창 역 䩔 신 뒤축 타, 밀치끈 드리워질 삼, 깃발 반 䬦 괼 두, 음식을 저장할 투, 음식을 늘어놓을 설 㨌 짤 구 骰 주사위 투 殷 성할 은 段 구분 단
搬 옮길 반 鍛 쇠 불릴 힐 단 緞 비단 단
疫 염병 역
槃 쟁반 반
芟 벨 삼 癹 짓밟을 발 䯴 상투 장

[English] shū
shu, an ancient Chinese weapon 古代兵器
handle of halberd
pole
kill
rad

[유사한자] 殳及乃
殳 몽둥이 수
及 미칠 급
乃 이에 내

'第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88. 𠘨 깃털 수, 새깃 짧을 수  (0) 2021.06.27
87. 殺 죽일 살  (0) 2021.06.27
85. 臣 신하 신  (0) 2021.06.27
84. 臤 단단할 간  (0) 2021.06.27
83. 隶 미칠 이, 종 례  (0) 2021.06.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