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성에 사는 여우와 사당에 사는 쥐를 가리킨다.
임금 곁에 있는 간신의 무리, 권세를 빙자하여 몰래 나쁜 짓을 하는 신하를 의미한다.
社鼠猛狗(사서맹구)도 같은 의미이다.
稷蜂社鼠(직봉사서)도 같은 의미이다.
foxes in the city walls and rats on the altars
corrupt officials and gentry who prey on the common people
petty fellows who rely on officials and underlings to prey upon common people
those who prey upon the people and fatten themselves
evildoers with strong backing
《晏子春秋 問上九》 景公問於晏子曰:"治國何患?"
晏子對曰:"患夫社鼠。"
公曰:"何謂也?"
對曰:"夫社,束木而塗之,鼠因往託焉,熏之則恐燒其木,灌之則恐敗其塗,此鼠所以不可得殺者,以社故也。夫國亦有焉,人主左右是也。內則蔽善惡于君上,外則賣權重于百姓,不誅之則亂,誅之則為人主所案據,腹而有之,此亦國之社鼠也。"
《안자춘추 문상구》 경공문어안자왈:치국하환?
안자대왈:"환부사서。"
공왈:"하위야?"
대왈:"부사,속목이도지,서인왕탁언。훈지칙공소기목,관지칙공패기도。차서소이불가득살자,이사고야。부국역유사서,인주좌우시야。내칙폐선악우군상,외칙매권중우백성。부주지칙위란,주지칙위인주소안거,복이유지,차역국지사서야。"
경공이 안자에게 묻는다: "나라를 다스릴 때에 어떤 걱정을 하여야 하는가?"
안자가 대답한다: "사당의 쥐를 걱정하여야 한다."
경공이 묻는다: "어찌 사당의 쥐를 걱정하여야 하는가?"
안자가 대답한다: "사당은 나무를 세우고 흙을 발라 만들므로, 쥐가 숨어 살기가 좋다. 불을 지르면 사당을 세운 나무가 타버리고, 물을 부으면 흙으로 만든 벽이 무너지게 된다. 사당의 쥐를 모조리 없앨 수가 없으므로, 사당의 쥐가 걱정이 된다. 나라에도 역시 사당의 쥐가 있고, 군주의 좌우에도 사당의 쥐가 있다. 안에서는 선악을 군주에게 숨기고, 밖에 나가면 권세를 팔아 백성을 속인다. 없애지 않으면 나라가 문란하게 된다. 임금 곁에 있는 간신의 무리는 없애려고 하여도 군주의 안거를 차지하고 배를 불리고 있으므로, 국지사서(國之社鼠), 즉 나라를 좀먹는 사당의 쥐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晉書 謝鯤傳》 隗誠始禍,然城狐社鼠也。
《진서 사곤전》 외성시화,연성호사서야。
[成語故事]
晋朝时候,朝廷上有个左将军叫王敦,他的长史官是谢辊,他俩常在一块议论朝廷上的事情。有一天,王敦对谢辊说:"刘隗这个人,奸邪作恶,危害国家,我想把这个恶人从君王身边除掉,以此来报效朝廷。你看行吗?" 谢鲲想了一想,摇着头说:"使不得呀,刘隗的确是个坏人,但也是城狐社鼠啊!要挖掘狐狸,恐怕把城墙弄坏;要用火熏死老鼠,或用水灌死老鼠,又怕毁坏了神社庙宇。"
[성어고사]
진조시후,조정상유개좌장군규왕돈,타적장사관시사곤,타량상재일괴의론조정상적사정。유일천,왕돈대사곤설:"유외저개인,간사작악,위해국가,아상파저개악인종군왕신변제도,이차래보효조정。이간행마?" 사곤상료일상,요착두설:"사부득하,유외적학시개배인,단야시성호사서아!요알굴호리,공파파성장롱배;요용화훈사노서,혹용수관사노서,우파훼배료신사묘우。"
진나라에 왕돈(王敦)이라는 사람이 있다. 왕돈은 무제(武帝)의 사위이며, 서진이 망하고 동진이 들어설 때에 동진을 지지하여 좌장군이 된다. 원제(元帝)가 왕돈을 견제하기 위하여 유외(劉隗)를 장군으로 삼자 왕돈은 유외를 제거하려고 장사관(長史官) 사곤(謝鯤)을 불러 의견을 구한다: "유외는 간신이고 역도이므로 사직에 피해를 줄 수 있다. 군주의 신변으로부터 유외를 제거하려고 한다. 장사관의 생각은 어떤가?"
사곤은 골똘히 생각하다가 머리를 흔들며 대답한다: "유외를 제거하여서는 안 된다. 유외가 후환을 남길 악인(惡人)이기는 하지만, 유외는 도성 안에 사는 여우이고 사당에 사는 쥐라고 할 수 있다. 혹시 여우를 잡으려다가 성벽을 무너뜨리지는 않을까 하는 걱정이 든다. 쥐를 잡으려면 사당에 불을 지르거나 물을 들어부어야 하나, 사당에 불을 지르거나 물을 들어부으면 사당이 허물어지게 된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器晚成(대기만성) (1) | 2023.01.08 |
---|---|
毋不敬(무불경) (0) | 2023.01.07 |
諸子百家(제자백가) (2) | 2023.01.05 |
傾國之色(경국지색) (1) | 2023.01.04 |
兔死狗烹(토사구팽) (1) | 2023.01.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