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十四

500. 𨸏  언덕 부

by kimlaw 2021. 10. 12.

《說文》 大陸,山無石者。象形。
o 큰 언덕이다.

o 산이지만 돌이 없다.
o 바위산은 山 뫼 산이고, 흙산은 阜 언덕 부이다(岩山曰山, 土山曰阜).
o 상형문자이고, 작고 높은 흙산(土山)이나 구릉(丘陵)을 상형한다.

상-은허갑골문
설문해자

o 阜 언덕 부의 본자(本字)이다.
o 峊 언덕 부도 같은 의미이다.
o 역사적으로 보면 전서에서는 𨸏 언덕 부와 같이 좌측의 종획에 붙은 コ이 세 개이나, 예서(隷書)에서는 가장 밑에 있는 コ가 횡획으로 변형되고, 해서(楷書)에서는 다시 十으로 변하여 현재와 같은 모양이 된다.

清-席夔(隷書)
唐-颜真卿(楷書)

o 阜 언덕 부는 부수에서 阝로 변하고 그 부수명칭은 「좌부변」이며, 邑 고읍 을도 부수로 사용될 때에는 阝으로 변하지만 그 부수명칭은 「우부방」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같은 모양으로 된 邑 고을 읍의 부수명칭이 おおざと(阝 邑)로 표현되므로 こざとへん(阜偏)이라 하고, 중국에서는 사람의 귀와 비슷한 모양이라고 하여 左耳旁(좌이방)이라 하며, 영어로는 radical Mound라 한다.

[𨸏部]
陵 큰 언덕 릉(능) 《說文》 大𨸏也。从𨸏夌聲。
o 큰 억덕(high mound)이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夌 언덕 릉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금문을 보면 사람이 언덕 앞에 멈춘 모양을 나타내고, 언덕이 크고 높다는 의미이다.

周早
周中

o 䧙 언덕 릉 夌 언덕 릉 琌 큰 언덕 릉 陵 언덕 릉은 같은 글자이다.
䧰 흙산 혼 《說文》 大𨸏也。从𨸏鯀聲。
阞 지맥 륵(늑) 《說文》 地理也。从𨸏力聲。
陰 응달 음, 가릴 음, 그늘 음, 말 않을 암, 침묵할 암 《說文》 闇也。水之南、山之北也。从𨸏侌聲。
o 어둡다.
o 물의 남쪽이고, 산의 북쪽이다(south of river or north of a hill).
o 물의 남측, 산의 북측이므로, 햇빛이 들지 아니하여 어둡고 그늘이 지며 응달이라는 의미이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侌 그늘 음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侌 그늘 음 阥 그늘 음 隂 그늘 음은 같은 글자이다.
o 阴은 간체자이다.
o 陽 볕 양은 상대되는 글자이다.
陽 볕 양, 나 장 《說文》 高、明也。从𨸏昜聲。
o 높고, 밝다.
o 산의 남쪽, 물의 북쪽(山南水北 south of a hill or north of a river)이다.
o 산의 남측에서 햇빛을 받고 잘 자라는 나무를 양목(陽木)이라 한다.
o 음력 10월(the tenth month of the lunar year)을 양월(陽月)이라 한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昜 볕 양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汉-袁安碑
清-吴大澂

o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에서는 좌측에 돌이나 바위는 거의 없고, 흙으로만 이루어진 언덕을 가리키는 𨸏 언덕 부가 있고, 우측에는 위에 日 해 일, 아래는 신(神)에게 제사를 지내는 제단을 나타내는 T가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해가 언덕 앞에 있는 제단(祭壇) 위로 떠올라 환하게 비추고 있다는 의미이다.

상-은허갑골문

o 금문에서는 제단을 가리키는 T 아래에 彡 터럭 삼이 추가된 모양이고, 彡 터럭 삼은 따뜻한 볕(햇빛)이 제단 아래까지 비치고 있다는 의미이며 후에는 昜 볕 양으로 변한다.

春秋
周晩

o 昜 볕 양 氜 볕 양 阦 볕 양은 같은 글자이다.
o 陽 음력 시월 양으로도 쓰고, 霷 음력 시월 양과 같은 글자이다.
o 阳은 간체자이다.
陸 뭍 륙(육) 《說文》 高平地。从𨸏从坴,坴亦聲。
o 높고 평평한 땅(land)이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坴 언덕 륙을 따른다.

설문해자

o 坴 언덕 륙은 또한 성부이다.
o 회의문자이고 형성문자이다.
o 금문을 보면 좌측에 계단과 같은 모양으로 된 𨸏 언덕 부가 있고, 우측에는 위와 아래에 겹쳐 圥 버섯 륙이 있다.

商代

o 금문에서는 다른 형태로 좌측과 우측에 𨸏 언덕 부가 있고, 중앙에 圥 버섯 륙이 있는 글자도 있다.

商代

o 陆은 간체자이다.
o 六 여섯 육(six)의 갖은자(돈의 액수 등을 기록할 때 함부로 고치지 못하도록 획이 더 많고 구성을 달리한 한자 an accounting form)로도 쓴다.
阿 언덕 아, 호칭 옥 《說文》 大陵也。一曰曲𨸏也。从𨸏可聲。
o 큰 언덕(big mound)을 가리킨다.
o 일설은 이르기를 굽은 언덕이라고 한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可 옳을 가는 성부이다.

戰國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陂 비탈 파, 방죽 피 《說文》 阪也。一曰沱也。从𨸏皮聲。
o 비탈을 가리킨다.
o 일설은 沱 못 지와 같은 글자라고 본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皮 가죽 피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阪 언덕 판, 비탈 판 《說文》 坡者曰阪。一曰澤障。一曰山脅也。从𨸏反聲。
o 언덕, 고개, 비탈은 일컬어 阪 언덕 판이라 한다.
o 일설은 택장(澤障), 즉 제방을 가리킨다고 본다.
o 일설은 산비탈(slope)을 가리킨다고 본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反 돌이킬 반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坂 언덕 판 岅 언덕 판은 같은 글자이다.
o 판상주환(阪上走丸)은 언덕 위에서 공을 굴리다, 즉 비유적으로 어떤 세력에 힘입어 일을 꾀하면 쉽게 이루어지거나 잘 진전되다는 의미이다.
陬 모퉁이 추, 구석 추 《說文》 阪隅也。从𨸏取聲。
o 언덕의 모퉁이(corner of the hill)를 가리킨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取 가질 취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隅 모퉁이 우 《說文》 陬也。从𨸏禺聲。
o 모퉁이를 가리킨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禺 어리석을 옹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堣 모퉁이 우는 같은 글자이다.
險 험할 험, 고생할 삼, 낭떠러지 암 《說文》 阻,難也。从𨸏僉聲。
o 험하여 다니기에 위험하고 어렵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僉 다 첨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嶮 험할 험 礆 험할 험 険 험할 험은 같은 글자이다.
o 险는 간체자이다.
限 한정 한, 한할 한, 심할 은 《說文》 阻也。一曰門榍。从𨸏艮聲。
o 막히다.
o 문지방을 가리키기도 한다.
o 일설은 문설주를 가리킨다고 본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艮 그칠 간, 은 은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금문을 보면 사람이 길을 가다가 언덕에 막혀 몸을 뒤로 돌린 모습을 나타낸다.

周中
周晩

o 䦘 문지방 한 㡾 문지방 한 䧋 한정할 현은 같은 글자이다.
阻 험할 조, 막힐 조, 비껴 걸을 조 《說文》 險也。从𨸏且聲。
o 험하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且 또 차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陮 높을 퇴 《說文》 陮隗,高也。从𨸏隹聲。
o 험하고 높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隹 새 추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隗 험할 외, 높을 외 《說文》 陮隗也。从𨸏鬼聲。
o 험하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鬼 귀신 귀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阭 높을 윤 《說文》 高也。一曰石也。从𨸏允聲。
o 높다.
o 일설은 石 돌 석과 같은 글자라고 본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允 맏 윤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𨻌 돌무더기 뇌 《說文》 磊也。从𨸏𠂹聲。
陗 산비탈 초 《說文》 陖也。从𨸏肖聲。
o 산이 험하고 가파르다.
o 산비탈을 가리킨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肖 닮을 초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陖 가파를 준 《說文》 陗高也。从𨸏夋聲。
o 산이 험하고 가파르며 높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夋 천천히 걷는 모양 준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峻 높을 준, 준엄할 준은 같은 의미이다.
隥 우러를 등 《說文》 仰也。从𨸏登聲。
o 우러르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登 오를 등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𨹟 더러울 누 《說文》 阨陜也。从𨸏㔷聲。
陜 좁을 협, 좁을 합, 땅 이름 합 《說文》 隘也。从𨸏夾聲。
o 좁다(narrow).
o 산골짜기(mountain pass)를 가리킨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夾 낄 협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狹 좁을 협은 같은 글자이다.
o 峽 골짜기 협은 같은 의미이다.
陟 오를 척 《說文》 登也。从𨸏从步。
o 오르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步 걸음 보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陷 빠질 함 《說文》 高下也。一曰陊也。从𨸏从臽,臽亦聲。
o 위에서 아래로 빠지다.
o 일설은 陊 떨어질 타와 같은 글자라고 본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臽 함정 함을 따른다.

설문해자

o 사람이 언덕 앞에 있는 구덩이에 빠진 모양을 나타낸다.
o 臽 함정 함은 또한 성부이다.
o 회의문자이고 형성문자이다.
o 함정(陷穽)은 짐승 따위를 잡기 위하여 파 놓은 허방다리를 가리킨다.

o 䧟 빠질 함 埳 빠질 함은 같은 글자이다.
o 陥는 간체자이다.
隰 진펄 습 《說文》 阪下溼也。从𨸏㬎聲。지세가 낮고 습한 땅
䧢 길이 울퉁불퉁한 모양 구, 우묵한 모양 우 《說文》 𢼮也。从𨸏區聲。
隤 무너뜨릴 퇴 《說文》 下隊也。从𨸏貴聲。
隊 대 대 《說文》 從高隊也。从𨸏㒸聲。
o 높은 곳에서 떨어지다(drop, fall).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㒸 드디어 수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을 보면 언덕 혹은 계단 옆에서 사람이 거꾸로 떨어지는 모양을 나타낸다.

상-은허갑골문
상-은허갑골문

o 墜 떨어질 추의 본자라고 본다.
o 队는 간체자이다.
降 내릴 강, 항복할 항 《說文》 下也。从𨸏夅聲。
o 내리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夅 내릴 강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발을 아래로 번갈아 옮겨 걸으면서 언덕이나 계단을 내려가는 모양을 나타낸다.

상-은허갑골문
周晩

o 夅 내릴 강은 고자이다.
o 䧏 내릴 강은 같은 글자이다.
隕 떨어질 운 《說文》 從高下也。从𨸏員聲。《易》曰 : 有隕自天。
o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員 더할 운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戰國

o 형성문자이다.
o 《주역》에서 이르기를 유운자천(有隕自天), 즉 “하늘에서 떨어지다”고 한다.
o 유성이 대기 중에서 다 타지 아니하고 지상으로 떨어져 생긴 별똥을 운석(隕石)이라 한다.
隉 위태할 할, 위태로울 얼 《說文》 危也。从𨸏,从毀省。徐巡以為 : 隉,凶也。賈侍中說 : 隉,法度也。班固說 : 不安也。《周書》曰 : 邦之阢隉。讀若虹蜺之蜺。
阤 무너질 타 《說文》 小崩也。从𨸏也聲。
隓 폐할 휴 《說文》 敗城𨸏曰隓。从𨸏𢀡聲。
𨻺 기울 경 《說文》 仄也。从𨸏从頃,頃亦聲。
陊 사태 날 치, 떨어질 타 《說文》 落也。从𨸏多聲。
阬 문 높은 모양 갱 《說文》 門也。从𨸏亢聲。
𨽍 도랑 독 《說文》 通溝也。从𨸏賣聲。讀若瀆。
防 둑 방, 방비할 방, 막을 방 《說文》 隄也。从𨸏方聲。
o 둑(dam)을 가리킨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方 모 방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埅 막을 방은 같은 글자이다.
隄 둑 제, 막을 제, 둑 저, 대개 시 《說文》 唐也。从𨸏是聲。
o 둑을 가리킨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是 옳을 시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堤 둑 제 䧑 둑 제 埞 둑 제는 같은 글자이다.
阯 터 지 《說文》 基也。从𨸏止聲。
o 터를 가리킨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止 발 지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址 터 지는 같은 글자이다.
陘 지레목 형 《說文》 山絕坎也。从𨸏巠聲。
附 붙을 부 《說文》 附婁,小土山也。从𨸏付聲。《春秋傳》曰 : 附婁無松栢。
o 부루(附婁)이고, 작은 토산(흙산)을 가리킨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付 줄 부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춘추전》은 이르기를 부루무송백(附婁無松栢), 즉 “부루에는 소나무와 잣나무가 없다”고 한다.
o 坿 붙일 부는 같은 글자이다.
阺 비탈 저 《說文》 秦謂陵阪曰阺。从𨸏氐聲。
o 진나라에서는 陵 언덕 릉이나 阪 언덕 판을 가리켜 阺 비탈 저라 한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氐 근본 저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阢 흙 있는 돌산 올 《說文》 石山戴土也。从𨸏从兀,兀亦聲。
o 흙이 쌓인 돌산을 가리킨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兀 우뚝할 올을 따른다.
o 兀 우뚝할 올은 또한 성부이다.
o 회의문자이고, 형성문자이다.
隒 낭떠러지 엄 《說文》 崖也。从𨸏兼聲。讀若儼。
o 낭떠러지를 가리킨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兼 겸할 겸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儼 엄연할 엄과 같게 발음한다.
阸 막힐 액 《說文》 塞也。从𨸏戹聲。
o 막히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戹 좁을 액을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隔 사이 뜰 격 《說文》 障也。从𨸏鬲聲。
o 막혀서 서로 통하지 못하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鬲 막을 격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障 막을 장, 꼭대기 평평할 장 《說文》 隔也。从𨸏章聲。
o 막다, 가로막히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章 글 장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隱 숨길 은, 기댈 은 《說文》 蔽也。从𨸏㥯聲。
o 숨기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㥯 삼갈 은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隠 숨을 은 隐 숨을 은은 같은 글자이다.
隩 굽이 오 《說文》 水隈,崖也。从𨸏奧聲。
隈 굽이 외 《說文》 水曲,隩也。从𨸏畏聲。
𠳋 작은 덩어리 견 《說文》 𦥳商,小塊也。从𨸏从臾。
𨼬 한나라 공금 많이 쌓아두던 곳 해 《說文》 水衡官、谷也。从𨸏解聲。一曰小谿。
隴 고개 이름 롱(농) 《說文》 天水大阪也。从𨸏龍聲。
䧇 고개 이름 의 《說文》 酒泉天依阪也。从𨸏衣聲。
陝 고을 이름 섬 《說文》 弘農陝也。古虢國,王季之子所封也。从𨸏夾聲。
𨼊 마을 이름 무 《說文》 弘農陝東陬也。从𨸏無聲。
𨹵 촌락 이름 권 《說文》 河東安邑陬也。从𨸏卷聲。
陭 고개 이름 기 《說文》 上黨陭氏阪也。从𨸏奇聲。
隃 넘을 유 《說文》 北陵西隃,鴈門是也。从𨸏俞聲。
阮 관 이름 완 《說文》 代郡五阮關也。从𨸏元聲。
䧊 언덕 이름 곡, 언덕 이름 고 《說文》 大𨸏也。一曰右扶風𨞅有䧊𨸏。从𨸏告聲。
陚 작은 언덕 부 《說文》 丘名。从𨸏武聲。
𨺟 언덕 이름 정 《說文》 丘名。从𨸏貞聲。
䦺 언덕 이름 정 《說文》 丘名。从𨸏丁聲。讀若丁。
䧦 고개 이름 위, 고개 이름 휘 《說文》 鄭地,阪。从𨸏為聲。《春秋傳》曰 : 將會鄭伯于䧦。
陼 삼각주 저 《說文》 如渚者陼丘。水中高者也。从𨸏者聲。
陳 늘어놓을 진, 방비할 진, 베풀 진, 묵을 진, 진나라 진 《說文》 宛丘,舜後嬀滿之所封。从𨸏从木,申聲。
陶 질그릇 도 《說文》 再成丘也,在濟陰。从𨸏匋聲。《夏書》曰 : 東至于陶丘。陶丘有堯城,堯嘗所居,故堯號陶唐氏。
o 언덕 위에 다시 이루어진 언덕을 가리키고, 제음(濟陰)에 있다.
尔雅》再成为陶丘。
《이아》재성위도구。
o 언덕이 하나로 이루어지면 돈구(敦丘)라 하고, 언덕이 겹쳐서 이루어지면 도구(陶丘)라 하고, 겹쳐 이루어진 언덕의 위가 뾰족하면 융구(融丘)라 하고, 언덕이 삼중으로 이루어지면 곤륜구(昆仑丘)라 한다(丘一成为敦丘, 再成为陶丘, 再成锐上为融丘, 三成为昆仑丘).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匋 질그릇 도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사람이 언덕을 넘고 또 넘는 모양을 나타낸다.

상-은허갑골문
周晩

o 《하서》(夏書)에서 이르기를 동지우도구(東至于陶丘), 즉 "동쪽으로 가면 도구(陶丘)에 도달한다"고 한다.
o 陶 질그릇 도, 와기 굽는 가마 요로도 쓰고, 窑 기와 굽는 가마 요와 같은 글자이다.
《集训》 陶, 烧瓦器土室也。
《집훈》 도, 소와기토실야。
《玉篇》 陶, 作瓦器也。
《옥편》 도, 작와기야。
o 匋 질그릇 도는 같은 글자이다.
𨹸 묵밭 갈 조 《說文》 耕以臿浚出下壚土也。一曰耕休田也。从𨸏从土,召聲。농사를 짓지 않고 버려두어 거칠어진 밭(묵밭)
阽 위태로운 점, 벽 무너지려 할 염 《說文》 壁危也。从𨸏占聲。
除 섬돌 제 《說文》 殿陛也。从𨸏余聲。
階 섬돌 계 《說文》 陛也。从𨸏皆聲。
o 대궐의 섬돌을 가리킨다.

섬돌(자금성, 중국 북경)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皆 다 개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阶는 간체자이다.
o 섬돌은 집채와 뜰을 오르내릴 수 있게 돌로 만든 층계를 가리킨다.
阼 동편 층계 조 《說文》 主階也。从𨸏乍聲。
陛 섬돌 폐 《說文》 升高階也。从𨸏坒聲。
o 위로 오르는 계단을 가리킨다.
o 궁전에서 제왕이 오르는 계단이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坒 섬돌 비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㙄 섬돌 폐 坒 섬돌 비는 같은 글자이다.
陔 층층대 해 《說文》 階次也。从𨸏亥聲。
際 사이 제, 즈음 제, 가 제 《說文》 壁會也。从𨸏祭聲。
o 두 담의 벽, 성채가 서로 만나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祭 제사 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际는 간체자이다.
隙 틈 극 《說文》 壁際孔也。从𨸏从𡭴,𡭴亦聲。
o 벽 사이에 있는 구멍을 가리킨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隙 틈 극의 생략형을 따른다.
o 隙 틈 극의 생략형은 또한 성부이다.
o 회의문자이고 형성문자이다.
陪 쌓아올릴 배 《說文》 重土也。一曰滿也。从𨸏咅聲。
o 흙을 겹쳐 쌓아올리다.
o 일설은 滿 찰 만과 같은 글자라 한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咅 침 뱉을 부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䧘 담장 전 《說文》 道邊庳垣也。从𨸏彖聲。
陾 담쌓는 소리 잉 《說文》 築牆聲也。从𨸏耎聲。《詩》云 : 捄之陾陾。
陴 성가퀴 비 《說文》 城上女牆俾倪也。从𨸏卑聲。몸을 숨겨 적을 공격할 수 있도록 성 위에 낮게 덧쌓은 담 a battlement (at the top of a wall)
隍 해자 황 《說文》 城池也。有水曰池,無水曰隍。从𨸏皇聲。《易》曰 : 城復于隍。
o 성의 주위에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둘러서 판 못(dry moat outside a city wall)을 가리킨다.

Schloss Heidelberg in Germany

o 물이 있는 못을 池 못 지라 하고, 물이 없는 못을 隍 해자 황이라 한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皇 임금 황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주역》에서 이르기를 성복우황(城復于隍), 즉 성이 무너져 다시 해자 속으로 돌아간다고 한다.
阹 우리 거 《說文》 依山谷為牛馬圈也。从𨸏去聲。
o 산골짜기의 지형을 이용하여 소나 말을 가두는 우리를 가리킨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去 갈 거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陲 위태할 수, 변방 수 《說文》 危也。从𨸏垂聲。
o 위태하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垂 드리울 수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隖 작은 성채 오 《說文》 小障也。一曰庳城也。从𨸏烏聲。
o 작은 성채를 가리킨다.
o 일설은 낮은 성채를 가리킨다고 본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烏 까마귀 오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院 담 원 《說文》 堅也。从𨸏完聲。
o 담을 가리킨다.
o 본래는 가옥의 주위에 쌓은 담 안의 공지(courtyard)를 가리킨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完 완전할 완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陯 물놀이 륜(윤) 《說文》 山𨸏陷也。从𨸏侖聲。
o 산언덕이 폭 꺼지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烏 까마귀 오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陙 물가 언덕 순 《說文》 水𨸏也。从𨸏辰聲。
o 물가의 언덕을 가리킨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辰 별 진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䧖 물가 언덕 전 《說文》 水𨸏也。从𨸏戔聲。
o 물가의 언덕을 가리킨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戔 나머지 잔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阠 언덕 이름 신 《說文》 陵名。从𨸏卂聲。
o 언덕의 이름이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卂 빨리 날 신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阡 두렁 천 《說文》 路東西為陌,南北為阡。从𨸏千聲。
o 논밭 사이에 동서로 뚫린 길을 陌 두렁 맥이라 하고, 남북으로 난 길(a footpath between fields, leading north and south)을 阡 두렁 천이라 한다.
o 𨸏 언덕 부를 따르고, 千 일천 천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阜(언덕 부)가 阝(좌부변)으로 들어간 글자]
防 둑 방 附 붙을 부 阿 언덕 아 限 한계 한 降 항복할 강(내릴 항) 院 담 원 除 섬돌 제 陣 줄 진 陶 질그릇 도 陸 뭍 륙(육) 陵 큰 언덕 릉(능) 陰 응달 음 陳 늘어놓을 진 陷 빠질 함 階 섬돌 계 隊 대 대 隆 클 륭(융) 陽 볕 양 障 가로막을 장 際 사이 제 隨 따를 수 險 험할 험 隱 숨길 은

[English] fù
wall
continent
mainland
abundant / flourishing / numerous
in context is left radical 阝

[참고] 언덕을 나타내는 글자
原(厡) 언덕 원, 근원 원 龍(竜 龒) 언덕 롱, 용 룡 壟(壠) 언덕 롱 阿 언덕 아 皐(皋) 언덕 고, 못 고, 부를 호 阜(峊) 언덕 부 丘(坵 㘳) 언덕 구 㐀 언덕 구 墟 언덕 허 岸(㟁 堓) 언덕 안 峙 언덕 치, 우뚝할 치 阪(岅 坂) 언덕 판, 비탈 판 邛(卭) 언덕 공, 수고할 공 培 언덕 부, 북돋울 배 厓 언덕 애 崖(崕) 언덕 애, 벼랑 애 岡(崗 堽) 언덕 강, 산등성이 강 堈 언덕 강 堆 언덕 퇴 埵 언덕 타, 단단한 흙 타 坡 언덕 파, 고개 파 坏(坯 岯) 언덕 배, 무너질 괴 厂 언덕 한, 기슭 엄 邱 언덕 구 夌 언덕 릉(능) 堥 언덕 무 塿 언덕 루(누) 垞 언덕 타, 언덕 택 陵 큰 언덕 릉(능) 阬 큰 언덕 갱, 큰 언덕 강 潨 물가 언덕 종, 흘러들 총 隑 언덕 굽이질 기, 언덕 굽이질 의, 길 해, 후미 기 浂 물가 언덕 일 洠 물가 언덕 모

'第十四' 카테고리의 다른 글

502. 厽 담 쌓을 루   (0) 2021.10.12
501. 𨺅 두 언덕 사이 부  (0) 2021.10.12
499. 𠂤 작은 언덕 퇴  (0) 2021.10.11
498. 車 수레 거, 수레 차  (0) 2021.10.11
497. 矛 창 모  (0) 2021.10.1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