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牡齒也。象上下相錯之形。
o 큰 이빨, 즉 어금니를 가리킨다.
o 위와 아래의 어금니가 서로 엇갈리게 맞닿은 모양이다.
o 고문(古文)에서는 牙 어금니 아와 臼 절구 구로 구성하여 절구로 곡물을 빻거나 찧다시피, 어금니란 음식을 잘게 부수는 이빨이라는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o 牙 어금니 아는 구치(臼歯), 즉 음식을 잘게 부수는 역할을 하는 어금니를 의미하며, 齒 이 치는 전치(前齒), 즉 앞니를 의미하고, 보통 齒 이 치가 이빨을 총칭하는 글자로 사용된다.
o 부수명칭은 「어금니아」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きば(牙)라 하고, 영어로는 radical fang이라 한다.
[牙部]
𤘌 송곳니 기 《說文》 武牙也。从牙从奇,奇亦聲。
𤘐 이 썩을 우 《說文》 齒蠧也。从牙禹聲。
[牙(어금니아)가 부수로 들어간 글자]
㸦 서로 호 㸧 물 간, 잇몸 은 𤘋 미상 牚 버틸 탱 𤘓 미상
[牙(어금니 아)가 자부로 들어간 글자]
伢 아이 아 冴 얼 호 呀 입 딱 벌릴 하, 입 딱 벌릴 아 岈 산골 휑할 하, 산 이름 아 㤉 엎드린 모양 가, 간사할 아 㧎 들쭉날쭉할 아 犽 오랑캐 아 迓 마중할 아 枒 야자나무 야, 가장귀 아 𤆹 미상 玡 옥 같은 뼈 아 砑 갈 아 䄰 메기장 아 蚜 진딧물 아 訝(讶) 의심할 아 谺 휑할 하 釾(䥺) 칼 이름 야 齖 이 고르지 못할 아
邪 간사할 사, 그런가 야, 나머지 여, 느릿할 서 雅 맑을 아, 바를 아 䪵 미상 鴉(鸦) 갈까마귀 아
芽 싹 아, 어금니 아 穿 뚫을 천 䍓 토끼그물 아 笌 대순 아
颬 숨 내쉴 하
厊 집 아 庌 집 아 疨 병이 심할 아, 인후병 하
閕 문 닫을 하
衺 사특할 사
[English] yá
molar
back tooth
cheek tooth
[유사한자] 牙㸦
牙 어금니 아
㸦 서로 호
[成語]
雀角鼠牙(작각서아) [què jiǎo shǔ yá]
참새의 뿔과 쥐의 어금니
소송, 쟁송, 송사
itigation over trifles
[斷想]
어느 여인이 우악스럽고 사나운 남자(雀、鼠는 포악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의미한다)와 결혼한 후 이혼소송을 하게 된다. 여인은 이혼소송에서 하소연한다: 누가 참새에게는 뿔이 없다고 말하는가? 참새에게 뿔이 없다면 어찌 지붕을 뚫을 수 있는가? 누가 쥐에게는 이빨이 없다고 말하는가? 쥐에게 이빨이 없다면 어찌 벽장을 뚫을 수 있는가?
실제 참새에게는 뿔이 없고 쥐에게는 어금니가 없다. 그러나 참새나 쥐를 내쫓지 않고 그대로 방치하면 어느 샌가 뿔이 없는 참새가 지붕을 뚫고, 어금니 없는 쥐가 벽장을 뚫는다. 나라를 어지럽게 만드는 관리는 물론, 가정의 포악스런 남편, 집안의 도둑도 그냥 두면 언젠가는 큰 사건이나 사고가 터진다. 사건이나 사고가 크게 터지고 난 후에 수습하려고 하면 이미 때는 늦는다. 참새에게는 뿔이 없고, 쥐에게는 어금니가 없지만 참새가 지붕을 뚫고, 쥐가 벽장을 뚫고 방안으로 들어온다고 하소연하는 여인처럼 필요하면 소송도 불사하면서 미리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詩經 召南 行露》 谁谓雀无角? 何以穿我屋? 谁谓鼠无牙? 何以穿我墉?
《시경 소남 행로》 수위작무각? 하이천아옥? 수위서무아? 하이천아용?
'第二' 카테고리의 다른 글
41. 疋 발 소, 짝 필 (0) | 2021.06.15 |
---|---|
40. 足 발 족 (0) | 2021.06.14 |
38. 齒 이 치 (0) | 2021.06.14 |
37. 行 다닐 행 (0) | 2021.06.14 |
36. 㢟 걸을 천, 편안하게 걸을 축 (0) | 2021.06.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