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口齗骨也。象口齒之形,止聲。
o 잇몸에 붙어 있는 이빨을 가리킨다.
o 갑골문을 보면 입안의 이빨을 상형한다.
o 역시 금문에서도 사람의 이빨을 상형한다.
o 본래는 입안에 보이는 이빨을 상형하나, 후에 머리에 성부(phonetic component)에 해당하는 之 [zhī] 갈 지 혹은 止 [zhǐ] 그칠 지가 추가된다.
o 齒 이 치에서 입(口 凵) 속의 쌍시옷(ㅆ)은 이빨(ㅆ ㅆ are teeth in the mouth)을 가리키고, 止 그칠 지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齿는 간체자이다.
o 歯는 일본에서 사용되는 신자체(新字體 shinjitai)이다.
o 치아(齒牙)는 이, 이빨(teeth)을 가리키고, 치아는 입안의 위턱과 아래턱에 박혀있는 단단한 뼈로 음식물을 섭취할 때 음식물을 잘게 부수고 저작을 원활하게 하여 소화나 흡수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 중절치(앞니), 측절치(앞니), 견치(송곳니), 구치(어금니) 등으로 구분된다.
o 輔車脣齒(보거순치, fǔ chē chún chǐ)는 덧방나무와 수레바퀴는 서로 의지하고,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는 의미이다.
o 부수명칭은 「이치」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は(歯), はへん(歯偏)이라 하고, 중국에서는 齒字旁(치자방)이라 하며 영어로는 radical tooth라 한다.
[齒部]
齗 잇몸 은 《說文》 齒本也。从齒斤聲。
o 잇몸(gum)을 가리킨다.
o 齒 이 치를 따르고, 斤 도끼 근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齦 잇몸 은 齴 이가 드러나는 모양 언은 같은 글자이다.
o 龂은 간체자이다.
齔 이 갈 친, 이 갈 츤 《說文》 毀齒也。男八月生齒,八歲而齔。女七月生齒,七歲而齔。从齒从七。
o 이를 갈다(drop of milk teeth).
o 남아는 태어난 후 8개월이 되면 젖니(milk tooth)가 나고, 8세가 되면 젖니를 간다.
o 여아는 7개월이 되면 젖니가 나고, 7세가 되면 젖니를 간다.
o 齒 이 치를 따르고, 七 일곱 칠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齔은 齒𠤎, 즉 齒 이 치와 𠤎 될 화로 구성된다.
o 齓 이 갈 친은 같은 글자이다
o 龀은 간체자이다.
䶦 이 서로 맞을 책, 이가 가지런할 책 《說文》 齒相值也。一曰齧也。从齒責聲。《春秋傳》曰 : 晳䶦。
o 이가 서로 걸맞다.
o 일설은 齧 물 설과 같은 글자라고 본다.
o 齒 이 치를 따르고, 責 꾸짖을 책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춘추전》에서 이르기를 석책(晳䶦), 즉 “희고 깨끗한 이가 가지런하다”고 한다.
o 齰 이 서로 맞을 색은 같은 글자이다.
齜 이 갈림 재 《說文》 齒相齗也。一曰開口見齒之皃。从齒,柴省聲。讀若柴。
o 이가 서로 싸우다, 즉 이를 갈다.
o 일설은 입을 열어 이를 드러낸 모양을 가리킨다고 본다.
o 齒 이 치를 따르고, 柴 가지런하지 않을 치의 생략형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柴 가지런하지 않을 치와 같게 발음한다.
o 呲 이 드러낼 차는 같은 글자이다.
o 龇는 간체자이다.
齘 이 갈 계, 이 갈 해 《說文》 齒相切也。从齒介聲。
o 절치(切齒)하다, 즉 분하여 이를 갈다(grind one's teeth).
o 齒 이 치를 따르고, 介 낄 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절치부심(切齒腐心)은 몹시 분하여 이를 갈고 속을 썩이다는 의미이다.
齞 이 드러낼 언 《說文》 口張齒見。从齒只聲。
o 입을 넓게 벌려 이를 드러내다.
o 齒 이 치를 따르고, 只 다만 지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齴 웃을 언, 이 드러나는 모양 언은 같은 의미이다.
𪙊 이 어긋날 암 《說文》 齒差也。从齒兼聲。
o 이가 어긋나다.
o 齒 이 치를 따르고, 兼 겸할 겸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齺 이 부러질 추 《說文》 齒搚也。一曰齰也。一曰馬口中糜也。从齒芻聲。
o 이가 부러지다.
o 일설은 齰 물 색과 같은 글자이고, 이로 깨문다는 의미라고 본다.
o 일설은 말의 입 속이 문더러져 있다는 의미라고 본다.
o 혹설은 말의 입에 물린 재갈을 의미라고 본다.
o 齒 이 치를 따르고, 芻 꼴 추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齵 이 바르지 못할 우 《說文》 齒不正也。从齒禺聲。
o 이가 바르지 못하다(uneven teeth).
o 齒 이 치를 따르고, 禺 어리석을 우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䶥 이가 가지런하지 않을 차 《說文》 齬齒也。从齒虘聲。
o 이가 가지런하지 않다.
o 齒 이 치를 따르고, 虘 사나울 차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齱 이가 바르지 못할 추, 악착할 착 《說文》 齵也。从齒取聲。
o 이가 바르지 못하다.
o 齒 이 치를 따르고, 取 가질 취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齹 이가 가지런하지 않을 차 《說文》 齒參差。从齒差聲。
o 이가 가지런하지 않고 서로 다르다.
o 齒 이 치를 따르고, 差 다를 차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𪘓 이 어긋난 모양 차 《說文》 齒差跌皃。从齒佐聲。《春秋傳》曰 : 鄭有子𪘓。
齤 옥니 권 《說文》 缺齒也。一曰曲齒。从齒𢍏聲。讀若權。
齳 이 빠질 운, 씹을 곤 《說文》 無齒也。从齒軍聲。
齾 이 빠질 알 《說文》 缺齒也。从齒獻聲。
o 이가 빠지다.
o 齒 이 치를 따르고, 獻 드릴 헌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䶙 잇몸이 부을 거 《說文》 齗腫也。从齒巨聲。
o 잇몸이 붓다(swelling of the gums of the teeth).
o 齒 이 치를 따르고, 巨 클 거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齯 다시 난 이 예 《說文》 老人齒。从齒兒聲。
o 노인(老人)의 이가 다 빠진 뒤에 다시 돋아난 이를 가리킨다.
o 齒 이 치를 따르고, 兒 아이 아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齮 깨물 의, 깨물 기 《說文》 齧也。从齒奇聲。
o 깨물다(bite).
o 齒 이 치를 따르고, 奇 의지할 의, 기특할 기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嚙 깨물 교는 같은 의미이다.
𪗨 깨물 슬 《說文》 齚齒也。从齒出聲。
齰 물 색 《說文》 齧也。从齒㫺聲。
o 물다(bite).
o 齒 이 치를 따르고, 㫺 예 석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䶡 물 색 齚 물 색은 같은 글자이다.
o 咬 물 교는 같은 의미이다.
䶢 입에 넣고 씹지 않을 함, 이 높은 모양 암 《說文》 齧也。从齒咸聲。
o 깨물다.
o 입에 넣고 씹지 않다(hold in the mouth).
o 齒 이 치를 따르고, 咸 다 함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䶠 입에 넣고 씹지 않을 함, 이가 높은 모양 암은 같은 글자이다.
齦 깨물 간, 잇몸 은 《說文》 齧也。从齒𥃩聲。
o 깨물다.
o 齒 이 치를 따르고, 𥃩 어그러질 간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啃 물 간 㸧 깨물 간, 잇몸 은은 같은 글자이다.
o 龈은 간체자이다.
𪗙 이 드러난 모양 안 《說文》 齒見皃。从齒干聲。
𪘧 씹을 솔 《說文》 齚也。从齒卒聲。
𪗿 뼈 물어뜯는 소리 날 《說文》 齒分骨聲。从齒𠛱聲。讀若剌。
齩 깨물 교 《說文》 齧骨也。从齒交聲。
o 뼈를 깨물어 씹다(chew).
o 齒 이 치를 따르고, 交 사귈 교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咬 물 교는 같은 글자이다.
𪙑 이 어그러질 절 《說文》 齒差也。从齒屑聲。讀若切。
𪗾 씹는 소리 할 《說文》 齒堅聲。从齒吉聲。
䶣 이를 갈 애 《說文》 𪙌牙也。从齒豈聲。
齝 새김질할 치 《說文》 吐而噍也。从齒台聲。《爾雅》曰 : 牛曰齝。
o 삼킨 먹이를 뱉어 내어 다시 씹어 먹다.
o 齒 이 치를 따르고, 台 이을 사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이아》(爾雅)에서 이르기를 우왈치(牛曰齝), 즉 “소가 새김질하다”고 한다.
齕 깨물 흘 《說文》 齧也。从齒气聲。
o 깨물다.
o 齒 이 치를 따르고, 气 기운 기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𪚁 이 드러난 모양 련(연) 《說文》 齒見皃。从齒䏈聲。
齧 물 설 《說文》 噬也。从齒㓞聲。
o 깨물다(bite).
o 齒 이 치를 따르고, 㓞 교묘히 새길 갈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囓 물 설은 같은 글자이다.
o 嚙 깨물 교는 같은 의미이고, 噛는 일본에서 사용되는 신자체이며 啮는 간체자이다.
o 𪘂는 일본에서 사용되는 신자체이다.
o 궁서설묘(窮鼠齧猫)는 궁지에 몰린 쥐가 고양이를 물다, 즉 약자도 사지에 몰리면 강자에게 죽을 힘을 다하여 덤벼든다는 의미이다.
齭 이가 시릴 소 《說文》 齒傷酢也。从齒所聲。讀若楚。
齨 노인 이 구 《說文》 老人齒如臼也。一曰馬八歲齒臼也。从齒从臼,臼亦聲。
o 절구(臼)를 닮은 노인의 이를 가리킨다.
o 일설은 여덟 살 먹은 말의 어금니를 가리킨다고 본다.
o 齒 이 치를 따르고, 臼 절구 구를 따른다.
o 臼 절구 구는 또한 성부이다.
o 회의문자이고 형성문자이다.
o 구치(臼齒)는 구궁 내에서 치열의 양끝 뒷편에 있는 12개의 어금니를 가리키며, 절구와 같이 음식물을 빻는 이빨이라는 의미이다.
齬 어긋날 어 《說文》 齒不相值也。从齒吾聲。
o 이가 서로 걸맞지 않다(uneven teeth).
o 齒 이 치를 따르고, 吾 나 오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龉는 간체자이다.
齛 양 새김질할 새 《說文》 羊粻也。从齒丗聲。
o 양이 새김질하다.
o 齒 이 치를 따르고, 丗 인간 세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齸 새김질할 익 《說文》 鹿麋粻。从齒益聲。
o 사슴이 새김질하다.
o 齒 이 치를 따르고, 益 더할 익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𪗻 이 단단할 질, 깨물 질 《說文》 齒堅也。从齒至聲。
䶤 뼈 씹는 소리 할 《說文》 齧骨聲。从齒从骨,骨亦聲。
o 뼈를 씹는 소리(sound of chewing bones)를 가리킨다.
o 齒 이 치를 따르고, 骨 뼈 골을 따른다.
o 骨 뼈 골은 또한 성부이다.
o 회의문자이고, 형성문자이다.
𪗽 씹는 소리 괄 《說文》 噍聲。从齒𠯑聲。
𪙍 단단한 물건을 씹을 박 《說文》 噍堅也。从齒,博省聲。
齡 나이 령(영) 《說文》 年也。从齒令聲。
o 나이를 가리킨다.
o 齒 이 치를 따르고, 令 하여금 령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齢은 일본에서 사용하는 신자체이다.
o 龄는 간체자이다.
[齒(이치)가 부수로 들어간 글자]
齓 이 갈 친, 이 갈 츤 齔(龀) 이 갈 친, 이 갈 츤 齕(龁) 깨물 흘 䶔 드러날 치 齖 이 고르지 못할 아 齗(龂) 잇몸 은, 웃는모양 언, 싸울 인 齘 이 갈 계, 이 갈 해 䶕 뻐드렁니 파 䶖 입다물 금 齙(龅) 이 드러날 포 齚 물 색 齛 깨물 세, 새김질할 설 齜(龇) 이 드러낼 재, 이 드러낼 차 齝 새김질할 치 齞 이 드러나 보일 언 齟 어긋날 저, 바르지 못할 차 齠(龆) 이 갈 초 齡(齢 龄) 나이 령(영) 齣 단락 척 䶗 깨물 가 䶘 씹는 소리 립(입) 䶙 잇몸 부을 거 𪗱(龃) 이 어긋날 저, 이 어긋날 서 齥 새김질할 세, 새김질할 설, 양 먹이 예 齦(龈) 물 간, 잇몸 은 齨 노인의 이 구 齩 깨물 교 䶚 충치 구, 충치 우 𪘁 먹을 합 𪘌 미상 齪(龊) 악착할 착 齫 이 솟아날 곤, 이 빠질 운 齬(𪘚 龉) 어긋날 어 䶜 상아를 다듬을 곡 䶝 옥니 협 齭 시릴 소 齮 깨물 기, 깨물 의 齯 다시 난 이 예 齰 물 색, 확실할 착 齱 이 바르지 못할 추, 악착할 착 䶞 씹을 기 䶟 이를 갈 함 𪘨 씹을 태 𪘲 이 드러날 의, 뻐드렁니 애 𪘵 미상 齲(龋) 충치 우, 충치 구 齳 이 빠질 운, 씹을 곤 齴 웃을 언 齵 이 바르지 못할 우 齶 잇몸 악 齷(龌) 악착할 악 䶡 씹는 소리 실, 물 색 䶢 입에 넣고 씹지 않을 함, 이가 높은 모양 암 𪙁 바르지 못할 차 齸 새김질할 익 齺 이 부러질 추 齻 사랑니 전 䶣 이를 갈 애 䶤 뼈 씹는 소리 할 𪙊 이 고르지 아니할 염 䶥 바르지 못할 차, 어긋날 저 䶦 이 서로 맞을 책 𪙛 이 앓을 닉(익) 䶧 깨물 요, 깨물 교 齼 이 다쳐 곱을 초 齽 몹시 성내는 모양 금 䶨 깨물 참 䶩 씹을 제 䶪 날카로울 찰 䶫 좋은 이 엄, 좋은 이 암
䶠 입에 넣고 씹지 않을 함, 이가 높은 모양 암 䶛 깨물 랄(날), 깨물 렬(열) 齹 이 고르지 못할 차 齾 이 빠질 알 齧(𪘂) 물 설 齤 옥니 권
[齒(이 치)가 자부로 들어간 글자]
嚙 깨물 교 𢸡 미상 𦢠 미상 鑡 돈 착
𠠚 미상 𧢟 미상
𤻽 미상
[English] chǐ
teeth
age (of a person or animal)
speak of
mention
utter
a tooth-like thing, such as a sawtooth, cogwheel, or fern
'第二' 카테고리의 다른 글
40. 足 발 족 (0) | 2021.06.14 |
---|---|
39. 牙 어금니 아 (0) | 2021.06.14 |
37. 行 다닐 행 (0) | 2021.06.14 |
36. 㢟 걸을 천, 편안하게 걸을 축 (0) | 2021.06.14 |
35. 廴 길게 걸을 인, 끌 인 (0) | 2021.06.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