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二

34. 彳 조금 걸을 척

by kimlaw 2021. 6. 14.

《說文》 小步也。象人脛三屬相連也。
o 작은 걸음으로 걷다(慢慢走, 走走停停).

walk slowly

o 사람의 다리가 세 부분(谓股, 胫, 足三属 - 넓적다리, 종아리, 발)으로 서로 이어져 있는 모양을 나타낸다.

설문해자

o 行 갈 행의 왼쪽 부분(step with left foot)이고, 사거리의 왼쪽 절반(left half of crossroad 行)을 의미한다.
o 躑 머뭇거릴 척과 같은 의미이다.
o 부수명칭은 「두인변」이라 부르나, 사람(人)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
o 중국에서는 彳 조금 걸을 척은 쌍인방(雙人旁 双人旁 shuāngrénpáng)이라 하고, 人 사람 인의 부수인 亻은 단인방(單人旁 dānrénpáng)이라 한다.
o 일본에서는 ぎょうにんべん(行人偏)이라고 하며, 영어로는 radical step이라 한다.

[彳部]
德 클 덕, 덕 덕 《說文》 升也。从彳㥁聲。
o 오르다(ascend).
o 彳 조금 걸을 척을 따르고, 㥁 클 덕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에서는 좌측에 걸어간다는 의미를 가지는 彳 조금 걸을 척이 있고, 우측에 있는 直 곧을 직은 눈(目) 위에 직선(丨)이 있는 모양이므로 눈으로 바르게 본다는 의미이다.

商-殷墟甲骨文
商-殷墟甲骨文

o 彳 조금 걸을 척과 直 곧을 직을 합하여 갈 때에는 반드시 바르게 가고(行得要正), 볼 때에는 반드시 곧게 보아야 한다(看得要直)는 의미이다.
o 갑골문을 보면 行 갈 행의 중앙에 直 곧을 직이 있는 글자도 있고, 역시 바르게 가고(行正), 바르게 보아야 한다(目正)는 의미이다.

商-殷墟甲骨文

o 금문에서는 直 곧을 직 아래에 心 마음 심이 추가되고, 도덕(virtue)의 덕목으로 행정(行正), 목정(目正) 이외에 심정(心正), 즉 마음까지 바르게 하여야 한다는 의미이다.

周中

o 《논어》에서 이르기를 덕불고, 필유린(德不孤, 必有鄰), 즉 “덕을 행하는 사람은 외롭지 않고, 반드시 이웃이 있다”고 한다.

《論語 里仁》 子曰 : 德不孤,必有鄰。
《논어 이인》 자왈 : 덕불고,필유린。
The Master said, "Virtue is not left to stand alone. He who practices it will have neighbors."
o 悳 클 덕은 고자이다.
o 恴 클 덕 惪 클 덕 㥀 클 덕 㥁 클 덕 㤫 클 덕은 이체자(異體字)이다.
o 徳는 일본에서 사용되는 신체자이다.
徑 지름길 경, 길 경 《說文》 步道也。从彳巠聲。
o 사람이 통행하는 길이다.
o 彳 조금 걸을 척을 따르고, 巠 물줄기 경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지름길 경 좁은 길 경(narrow path)은 같은 글자이다.

o 는 간체자이다.

復 회복할 복 《說文》 往來也。从彳复聲。
o 가고오고 하다.
o 현재는 되돌아가다(返回), 돌아오다(回来)와 같은 의미로 쓰인다.
o 彳 조금 걸을 척을 따르고, 复 회복할 복은 성부이다.

秦-李斯 《峄山刻石》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에서는 배가 부르다는 의미를 가지는 畐 가득할 복의 생략형과 그 아래에 止 발 지가 있는 모양이다.

商-殷墟甲骨文

o 후에 금문에서는 彳 조금 걸을 척이 추가되고, 止 발 지가 又 오른손 우(혹은 攵 칠 복)로 변한다.

周中

o 復 다시 부로도 쓰이고, 覆 다시 복은 같은 의미이다.
o 复는 간체자이다.
𢔟 다시 유 《說文》 復也。从彳从柔,柔亦聲。
徎 질러갈 정 《說文》 徑行也。从彳呈聲。

o 지름길을 가다.

o 질러가다.

o 조금 걸을 척을 따르고, 드릴 정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지름길 정은 같은 글자이다.

往 갈 왕 《說文》 之也。从彳㞷聲。
o 가다.
o 彳 조금 걸을 척을 따르고, 㞷 무성할 왕은 성부이다.

春秋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에서는 土 흙 토 위에 발자국을 나타내는 止 발 지가 있으므로, 어디를 향하여 간다(go to somewhere)는 의미이다.

商-殷墟甲骨文

o 往은 彳主, 즉 彳 조금 걸을 척과 主 주인 주로 구성된다.
o 徃 갈 왕 迬 갈 왕은 같은 글자이다.
忂 가는 모양 구 《說文》 行皃。从彳瞿聲。

o 가는 모양이다.

o 조금 걸을 척을 따르고, 놀랄 구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가는 모양 구는 같은 글자이다.

彼 저 피 《說文》 往,有所加也。从彳皮聲。

o 가고, 조금 더 가서 저기에 있다는 의미이다.

o 조금 걸을 척을 따르고, 가죽 피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이 차(this)는 상대되는 글자이다.

玉篇对此称彼也

옥편대차칭피야

徼 돌 요 《說文》 循也。从彳敫聲。

o 돌다.

o 조금 걸을 척을 따르고, 노래할 교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循 돌 순 《說文》 行順也。从彳盾聲。
o 따라 가다(along).
o 彳 조금 걸을 척을 따르고, 盾 방패 순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彶 급히 갈 급 《說文》 急行也。从彳及聲。

o 급히 가다.

o 조금 걸을 척을 따르고, 미칠 급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𢕬 여럿이 가는 모양 삽 《說文》 行皃。从彳歰聲。一曰此與馺同。
微 작을 미 《說文》 隱行也。从彳𢼸聲。《春秋傳》曰 : 白公其徒微之。

o 몰래 숨어 가다(walk clandestinely).

o 조금 걸을 척을 따르고, 𢼸 작을 미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춘추전에서 이르기를 백공기도미지(白公其徒微之)라고 한다.

o 작을 미는 같은 글자이다.

徥 슬슬 걸을 시, 걸어갈 대, 걸어갈 치, 걸어갈 태 《說文》 徥徥,行皃。从彳是聲。《爾雅》曰 : 徥,則也。

o 슬슬 걷다.

o 조금 걸을 척을 따르고, 이 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이아(爾雅)에서 이르기를 곧 즉과 같은 글자라고 본다.

徐 천천히 할 서 《說文》 安行也。从彳余聲。

o 천천히 걸어가다.

o 조금 걸을 척을 따르고, 남을 여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천천히 걸을 서는 같은 글자이다.

𢓡 평평할 이 《說文》 行平易也。从彳夷聲。
𢖊 부릴 병 《說文》 使也。从彳䛣聲。
𢓱 부릴 봉 《說文》 使也。从彳夆聲。讀若螽。
㣤 자취 천 《說文》 迹也。从彳戔聲。

o 자취를 가리킨다.

o 조금 걸을 척을 따르고, 깍을 찬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徬 시중들 방, 곁 방, 헤맬 방 《說文》 附行也。从彳㫄聲。

o 곁에 붙어 가다.

o 시중들다.

o 彳 조금 걸을 척을 따르고, 㫄 곁 방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徯 기다릴 혜, 샛길 혜 《說文》 待也。从彳奚聲。

o 기다리다.

o 조금 걸을 척을 따르고, 어찌 해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待 기다릴 대 《說文》 竢也。从彳寺聲。

o 기다리다.

o 조금 걸을 척을 따르고, 절 사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㣙 갈 적, 갈 독, 끝없을 주 《說文》 行㣙㣙也。从彳由聲。

o 가는 모양, 걷는 모양이다.

o 조금 걸을 척을 따르고, 말미암을 유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徧 두루 미칠 편, 두루 미칠 변, 치우칠 편 《說文》 帀也。从彳扁聲。

o 두루 미치다(everywhere, all over, all around).

o 조금 걸을 척을 따르고, 납잡할 편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두루 편 도루 편, 두루 변은 같은 글자이다.

徦 이를 가, 멀 하 《說文》 至也。从彳叚聲。

o 이르다.

o 조금 걸을 척을 따르고, 빌릴 가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멀 하는 같은 글자이다.

𢓴 물러갈 퇴 《說文》 卻也。一曰行遲也。从彳从日从夊。
後 뒤 후 《說文》 遲也。从彳、幺、夊者,後也。
o 늦다(be late).
o 彳 조금 걸을 척, 幺 작을 요, 천천히 걷는 사람(夊者)을 따르므로, 뒤 후가 된다.

설문해자
秦-李斯 《峄山刻石》
清-吴昌硕
상-은허갑골문

o 조금 걸을 척은 물론, 작을 요, 천천히 걸을 쇠는 모두 조금 걷다, 작게 걷다, 천천히 걷다와 같이 길을 더디고 느슨하게 간다, 즉 지각하다(come late, arrive late) 혹은 뒤에 가다(走在後)는 의미이다.

o 먼저 선 앞 전은 상대되는 글자이다.

o 后는 간체자이다.
徲 왕래할 제 《說文》 久也。从彳犀聲。讀若遲。

o 오래 서있다.

o 조금 걸을 척을 따르고, 무소 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더딜 지와 같게 발음한다.

很 패려궂을 흔 《說文》 不聽从也。一曰行難也。一曰盭也。从彳聲。
o 듣지도 따르지도 않다(disobey).
o 일설은 실행하기가 어렵다는 의미라고 본다.
o 일설은 盭 어그러질 려와 같은 의미로 본다.
o 彳 조금 걸을 척을 따르고, 艮 괘 이름 간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佷 패려궂은 한 패려궂을 간은 같은 글자이다.

o 흉악할 흔, 흉악할 한 어그러질 흔, 어그러질 간은 같은 의미이다.

o 「패려궂다」는 심술이 매우 고약하고 성질이 거칠며 비꼬여 있다는 뜻이다.
o 사자성어로 羊很狼貪(양흔랑탐)은 양처럼 심술이 고약하고 이리처럼 탐욕스럽다, 즉 성질이 거칠고 사나우며 매우 탐욕스러운 사람을 비유적으로 가리킨다.

㣫 이을 종, 움직일 동 《說文》 相迹也。从彳重聲。
得 얻을 득 《說文》 行有所得也。从彳㝵聲。

o 가서 소득을 얻다(get, obtain, gain).

o 조금 걸을 척을 따르고, 얻을 득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가는 모양을 나타내는 조금 걸을 척이 있고, ()에 재화()를 들고 있는 모양을 나타낸다.

상-은허갑골문
商代

o 얻을 득 얻을 득 얻을 득 얻을 득은 같은 글자이다.

상-은허갑골문
商代

徛 징검다리 기 《說文》 舉脛有渡也。从彳奇聲。
𢓈 조리돌릴 순 《說文》 行示也。从彳勻聲。《司馬法》 : 斬以𢓈。
律 법칙 률(율) 《說文》 均布也。从彳聿聲。
o 평등하고 공평하게 널리 미치다.
o 彳 조금 걸을 척을 따르고, 聿 붓 율은 성부이다.

商-殷墟甲骨文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법률(法律)은 국가가 강제력을 가지는 사회규범을 가리키고, 法 법 법은 주로 형법적 의미를 가지고, 律 법칙 률은 민법적 의미를 가진다.
o 균포(均布)는 세상의 한결같지 않은 현상이나 질서에 대하여 마땅히 따라야 하는 모범을 세워 한결같게 한다는 의미이다.
御 거느릴 어, 막을 어, 맞을 아 《說文》 使馬也。从彳从卸。

o 수레를 메운 말을 부리어 몰다(drive a carriage).

o 조금 걸을 척을 따르고, 풀 사를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손에 채찍을 들고 수레를 끄는 말을 부리어 모는 모양을 나타낸다.

상-은허갑골문
周中

o 막을 어 막을 어는 같은 글자이다.

o 말 부릴 어는 같은 의미이다.

商代
商代

亍 자축거릴 촉 《說文》 步止也。从反彳。讀若畜。
o 걷다가 멈추고, 멈춘 후에 다시 걷는다는 뜻이다.
o 오른 발로 걸음을 걷다(step with the right foot).
o 작은 걸음으로 걷다(小步而行 take small steps).
o 彳 조금 걸을 척과는 반대되는 모양이다.

설문해자

o 畜 쌓을 축과 같게 발음한다.
o 行 갈 행에서 우측에 있는 부분이고, 사거리에서 우측에 있는 절반(right half of crossroad 行)을 의미한다.
o 躅 머뭇거릴 촉과 같은 의미이다.

[彳(두인변)이 부수로 사용된 글자]
往 갈 왕 征 칠 정 彼 저 피 待 기다릴 대 律 법 률(율) 後 뒤 후 徑 지름길 경 徒 무리 도 御 어거할 어 徐 천천할 서 得 얻을 득 從 좇을 종 復 돌아올 복 循 좇을 순 微 작을 미 德 덕 덕 徵 부를 징 徹 통할 철

[English] chì
step with left foot
walk slowly

[참고한자]
亍 자축거릴 촉 《說文》 步止也。从反彳。

彳亍(척촉) [chì chù]
o 작은 걸음(小步)이나 느린 걸음(慢走)을 뜻한다.
o 때로는 걷고, 때로는 쉰다(时走时停)는 뜻이다.
o 躑躅(척촉), 踟躕(지주), 躊躇(주저)와 같은 의미이다.
o walk in fits and starts, take small steps, standing still, hesitate

行 갈 행 《說文》 人之步趨也。从彳从亍。
o 사람이 걸어서 간다는 뜻이다.
o 彳 조금 걸을 척을 따르고, 亍 자축거릴 촉을 따른다.
o 갑골문을 보면 行 갈 행은 사거리(crossroad)을 본뜬 모양이고, 彳 조금 걸을 척은 왼쪽 절반을 가리키며 亍 자축거릴 촉은 오른쪽 절반을 가리킨다.

商-殷墟甲骨文
사거리

o 術 꾀 술 街 거리 가 衛 지킬 위 衝 찌를 충 衡 저울대 형은 行(갈 행)이 들어간 글자이다.

'第二' 카테고리의 다른 글

36. 㢟 걸을 천, 편안하게 걸을 축  (0) 2021.06.14
35. 廴 길게 걸을 인, 끌 인  (0) 2021.06.14
33. 辵 쉬엄쉬엄 갈 착  (2) 2021.06.14
32. 是 옳을 시  (0) 2021.06.14
31. 正 바를 정  (0) 2021.06.1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