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自急敕也。从羊省,从包省。从口,口猶愼言也。从羊,羊與義、善、美同意。
o 매우 급한 칙서를 뜻한다.
o 羊 양 양의 생략형을 따르고, 包 쌀 포의 생략형을 따른다.
o 금문을 보면 口 입 구가 왼쪽으로 나와 있거나 口 입 구가 생략된 경우도 있다.
o 口 입 구를 따르고, 口 입 구는 오히려 말을 삼간다는 의미이다.
o 羊 양 양을 따르고, 羊 양 양은 義 옳을 의, 善 착할 선, 美 아름다울 미와 글자의 구성원리가 같다.
o 茍은 卝勹口, 즉 卝 북상투 관과 勹 쌀 포, 口 입 구로 구성된다(卝 북상투 관은 羊 양 양의 생략형이고, 勹 쌀 포는 包 쌀 포의 생략형이며, 口 입 구는 오히려 말을 삼간다는 의미이다).
o 茍 빠를 극은 苟 구차할 구와 다른 글자이며, 다만 현재는 茍 빠를 극은 생피한자이고, 苟 구차할 구만이 苟且(구차)와 같은 단어에서 사용된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茍의 부수는 艹(초두머리)이다.
[茍部]
敬 공경 경 《說文》 肅也。从攴、茍。
o 공경하다.
o 攴 칠 복, 茍 빠를 극을 따른다.
o 憼 공경할 경도 같은 글자이다.
[English] gǒu
if / if so
impromptu
carefully
careless, negligent
indifferent
tentatively, for the moment
[유사한자] 茍苟
茍 빠를 극
苟 구차할 구, 진실로 구, 만약 구
[성어]
《禮記 大學》 湯之盤銘曰:苟日新,日日新,又日新。
《예기 대학》 탕지반명왈:구일신,일일신,우일신。
On the bathing tub of Tang, the following words were engraved: "If you can one day renovate yourself, do so from day to day. Yea, let there be daily renovation.“
만약 하루가 새로워지려면 날로 날로 새롭게 하고, 또한 날마다 새롭게 하여야 한다.
[단상]
탕(湯)은 고대중국의 상(商)나라를 연 탕왕을 말한다. 탕왕은 폭군으로 유명한 하나라의 걸왕을 무너뜨리고 상나라(후에는 은나라)를 세운 후, 성군으로 칭송을 받는 인물이 된다.
구일신, 일일신, 우일신(苟日新,日日新,又日新)이라는 성어는 탕왕이 사용한 세숫대야에 새겨진 글귀라고 한다. 매일 아침 세수를 할 때마다 세숫대야에 새겨진 글귀를 보면서 날마다 나라와 백성을 위하여 새롭게 할 일이 무엇인지를 골똘히 고민한 탕왕의 모습이 눈에 선하다.
'第九' 카테고리의 다른 글
347. 甶 귀신머리 불 (0) | 2021.09.09 |
---|---|
346. 鬼 귀신 귀 (0) | 2021.09.08 |
344. 包 쌀 포 (0) | 2021.09.06 |
343. 勹 쌀 포 (0) | 2021.09.06 |
342. 辟 임금 벽 (0) | 2021.09.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