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佩巾也。从冂,丨象糸也。
o 허리에 차는 수건을 가리킨다.
o 고대에 의복에는 호주머리가 없으므로, 보통 휴대하는 물건을 허리를 묶은 띠에 차며, 칼을 허리에 차면 패도(佩刀)라 하고, 옥을 허리에 차면 패옥(佩玉)이라 하며, 당연히 수건을 허리에 차면 패건(佩巾)이라 한다(挂在腰间的刀叫佩刀, 挂在腰间的玉叫佩玉, 当然, 挂在腰间的手巾也就叫佩巾).
o 冂 멀 경을 따르고, 丨 뚫을 곤은 실(혹은 실로 짠 천)을 가리킨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수건을 아래로 내려 드리운 모양을 상형한다.
o 巾은 冂丨, 즉 冂 멀 경과 丨 뚫을 곤으로 구성된다.
o 䘜 수건 건은 같은 글자이다.
o 巾 두건 건으로도 쓰고, 20세로 성인이 되면 선비는 관을 쓰며 서민은 두건(頭巾 turban)을 쓴다.
《释名》 巾,謹也,二十成人,士冠,庶人巾,当自谨修於四敎。
《석명》 건,근야,이십성인,사관,서인건,당자근수어사교。
o 부수명칭은 「수건건」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はば(巾), はばへん(巾偏), きんべん(巾偏)이라 하고, 중국에서는 巾字旁(건자방), 巾字底(건자저)라 하며 영어로는 radical turban이라 한다.
[巾部]
𢁥 행주 분 《說文》 楚謂大巾曰𢁥。从巾分聲。
帥 장수 수, 거느릴 솔 《說文》 佩巾也。从巾、𠂤。
o 휴대하는 수건를 가리킨다.
o 巾 수건 건, 𠂤 쌓을 퇴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䢦 장수 수(commander-in-chief), 거느릴 수 率 거느릴 솔은 같은 글자이다.
o 帅는 간체자이다.
𢄢 예건 세 《說文》 禮巾也。从巾从執。
帗 오색기 불, 모직 불 《說文》 一幅巾也。从巾犮聲。讀若撥。
o 한 폭의 모직을 가리킨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犮 달릴 발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撥 다스릴 발과 같게 발음한다.
㠴 베갯잇 인 《說文》 枕巾也。从巾刃聲。
o 베개 위에 덮는 수건을 가리킨다.
o 베갯잇이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刃 칼날 인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幋 햇댓보 반 《說文》 覆衣大巾。从巾般聲。或以為首鞶。
o 옷을 덮는 큰 수건이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般 일반 반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혹설은 머리꾸미개를 가리키며, 머리를 예쁘게 꾸미는 데 쓰는 물건이라고 본다.
o 횃댓보는 횃대에 옷을 걸쳐 놓고 그 위에 덮어치는 보를 가리킨다.
帤 걸레 녀(여) 《說文》 巾帤也。从巾如聲。一曰幣巾。
o 헝겊으로 만든 걸레를 가리킨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如 같은 여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일설은 헌 헝겊을 가리킨다고 본다.
幣 비단 폐, 화폐 폐 《說文》 帛也。从巾敝聲。
o 비단(silks)을 가리킨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敝 해질 폐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幣 화폐 폐(money, coin, currency)로도 쓴다.
o 币는 간체자이다.
幅 폭 폭, 폭 복, 행전 핍, 행전 벽, 두건 복 《說文》 布帛廣也。从巾畐聲。
o 베나 비단과 같은 직물의 폭을 가리킨다.
《汉书 食货志》 布帛二尺二寸为幅。
《한서 식화지》 포백이척이촌위폭。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畐 가득할 복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䋹(䌿) 피륙의 넓이 폭은 같은 의미이다.
㡆 염색공 황, 물감 들이는 장인 황 《說文》 設色之工,治絲練者。从巾𡿬聲。一曰𢂩隔。讀若荒。
帶 띠 대 《說文》 紳也。男子鞶帶,婦人帶絲。象繫佩之形。佩必有巾,从巾。
o 큰 띠(broad belt)를 가리킨다.
o 남자는 가죽으로 된 띠(鞶帶)를 두르고, 부인은 실로 된 띠(帶絲)를 두른다.
o 띠를 매고 찬 모양을 상형한다.
o 상형문자이다.
o 띠를 두를 때에는 반드시 수건(헝겊)이 있어야 하므로, 巾 수건 건을 따른다.
o 帶는 廿儿冖巾, 즉 廿 스물 입과 儿 어진 사람 인, 冖 덮을 멱, 巾 수건 건으로 구성된다.
o 帯는 간체자이고, 역시 일본에서 사용되는 신자체이다.
幘 건 책, 머리쓰개 책 《說文》 髮有巾曰幘。从巾責聲。
o 머리에 쓰는 쓰개(헝겊)이므로, 幘 건 책이라 한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責 꾸짖을 책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문관이나 무관의 의례용 모자를 책(幘)이라 한다.
o 조선시대 때 왕세자 또는 왕세손이 관례 전에 착용하던 관모(冠帽)을 공정책(空頂幘)이라 한다.
o 헝겊 따위로 만들어서 머리에 쓰는 쓰개는 건(巾)이라 한다.
㡄 옷깃 끝 순 《說文》 領耑也。从巾旬聲。
o 옷깃(저고리와 같은 옷의 목에 둘러대어 앞에서 여밀 수 있도록 된 부분)의 끝을 가리킨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旬 열흘 순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帔 치마 피 《說文》 弘農謂帬帔也。从巾皮聲。
o 홍농(弘農)이라는 지방에서는 帬 치마 군을 帔 치마 피로 쓴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皮 가죽 피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常 항상 상, 떳떳할 상 《說文》 下帬也。从巾尚聲。
o 치마를 가리킨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尚 오히려 상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裳 치마 상의 본자이다.
o 㦂 항상 상은 같은 글자이다.
帬 치마 군 《說文》 下裳也。从巾君聲。
o 치마(the skirt of a lady's dress petticoat)를 가리킨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君 임금 군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裙 치마 군은 같은 글자이다.
帴 언치 천, 포대기 전 《說文》 帬也。一曰帗也。一曰婦人脅衣。从巾戔聲。讀若末殺之殺。
o 치마나 속옷을 가리킨다.
o 일설은 슬갑 혹은 폐슬(pad, saddlecloth)을 가리킨다고 본다.
o 일설은 부인이 입는 배두렁이를 의미한다고 본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戔 해칠 잔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末殺(말살)이라고 할 때의 殺 죽일 살과 같게 발음한다.
o 안장이나 길마 밑에 깔아 말이나 소의 등을 덮는 방석이나 담요를 「언치」라 한다.
o 「언치 뜯는 말」(제 언치 뜯는 말)이라는 속담이 있다. 말이 자신의 등 위에,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올려놓는 언치를 뜯어먹어 쓸 수가 없게 되면 결국 (언치가 없으면 안장(길마)이 직접 자신의 등을 누르므르) 자신이 고통을 받는다. 그러므로 「언치 뜯는 말」이라는 속담은 “자신과 가까운 사람에게 해를 입히면 자신도 해를 입게 된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재 너머 성권농 집에
정철(鄭澈)
재 너머 성권농(成勸農) 집에
술 익단 말 어제 듯고,
누운 쇼 발로 박차
언치 노하 지즐 타고,
아히야 네 권농(勸農) 겨시냐
뎡좌수(鄭座首) 왓다 하여라.
㡓 치마 군, 속옷 곤 《說文》 𢃭也。从巾軍聲。
幒 쇠코잠뱅이 총 《說文》 㡓也。从巾悤聲。一曰帙。
o 쇠코잠뱅이를 가리킨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悤(怱) 바쁠 총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가랑이가 무릎까지만 내려오게 만든 짧은 홑고의를 「쇠코잠뱅이」라 한다.
o 농부가 여름철에 일을 하면서 즐겨 입는 바지를 통상 잠방이(잠뱅이)로 부르나, 달리 사발잠방이, 사발고의, 사발석방이, 쇠코잠방이, 곤, 곤의, 단고(單袴) 등 지역과 형태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도 불린다.
o 일설은 당책(唐冊)이나 문집(文集) 따위의 덮개(책갑)를 가리킨다고 본다.
𢅡 단 없는 옷 남 《說文》 楚謂無緣衣也。从巾監聲。
幎 덮을 멱 《說文》 幔也。从巾冥聲。《周禮》有幎人。
o 장막(cover-cloth, cover with cloth)을 가리킨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冥 어두울 면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주례》에서는 사람을 덮다고 한다.
幔 막 만 《說文》 幕也。从巾曼聲。
o 막, 장막(curtain)을 가리킨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曼 길게 끌 만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㡢 막 만 幕 장막 막은 같은 글자이다.
幬 휘장 주, 덮을 도, 비칠 도 《說文》 禪帳也。从巾𠷎聲。
㡘 휘장 렴(염) 《說文》 帷也。从巾兼聲。
o 휘장을 가리킨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兼 겸할 겸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帷 휘장 유 《說文》 在㫄曰帷。从巾隹聲。
o 곁에 있는 장막을 帷 휘장 유라 한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隹 새 추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帳 휘장 장, 장막 장 《說文》 張也。从巾長聲。
o 펼치다.
o 헝겊(천)으로 만들어 길게(長) 펼쳐 늘어뜨린 휘장 혹은 장막(canopy, curtain)이라는 의미이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長 길 장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賬 휘장 장은 같은 글자이다.
o 帐는 간체자이다.
幕 막 막, 막 만, 장막 막, 화폐의 뒷면 만 《說文》 帷在上曰幕,覆食案亦曰幕。从巾莫聲。
o 위에 휘장(帷)이 있는 경우를 幕 장막 막이라 하고, 밥상의 덮개(cover fabric)를 역시 幕 장막 막이라 한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莫 없을 막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幙 막 막(curtain) 幔 막 만은 같은 글자이다.
㠲 헝겊 비, 헝겊조각 비 《說文》 㡜裂也。从巾匕聲。
o 찢어진 비단조각을 가리킨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匕 비수 비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㡜 비단조각 설, 자투리 세 《說文》 殘帛也。从巾祭聲。
o 쓰고 남은 비단을 가리킨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祭 제사 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㡏 자투리 유, 자투리 수 《說文》 正耑裂也。从巾俞聲。
o 자투리를 가리킨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俞 대답할 유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자투리는 자로 끊어 파는 피륙의 팔고 남은 조각(wastepieces from cutting cloth)을 가리킨다.
帖 표제 첩, 문서 첩, 체지 체 《說文》 帛書署也。从巾占聲。
o 비단에 쓴 글(帛書)에 붙인 표제를 가리킨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占 점령할 점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帙 책갑 질, 책권 차례 질 《說文》 書衣也。从巾失聲。
o 책에 입히는 옷(書衣 cloth slip-case for a book), 즉 책갑을 가리킨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失 화살 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책갑은 책의 겉장(표지)이 상하지 않도록 헝겊 따위로 덧씌운 뚜껑을 가리킨다.
㡐 기표 전, 깃발 전 《說文》 幡幟也。从巾前聲。
o 번치(幡幟)라는 깃발을 가리킨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前 앞 전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幑 아름다울 휘, 표기 휘 《說文》 幟也,以絳幑帛,箸於背。从巾,微省聲。《春秋傳》曰:揚幑者公徒。
幖 깃발 표 《說文》 幟也。从巾票聲。
o 깃발을 가리킨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票 불똥 튈 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㠾 행주 원 《說文》 幡也。从巾夗聲。
o 행주(dish-cloth)를 가리킨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夗 누워 딩굴 원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행주는 그릇, 밥상 따위를 닦거나 씻는 데 쓰는 헝겊을 가리킨다.
幡 기 번, 깃발 번, 날 번 《說文》 書兒拭觚布也。从巾番聲。
𢃴 닦을 날 《說文》 刜也。从巾剌聲。
㡨 표지 첨 《說文》 拭也。从巾韱聲。
幝 해진 모양 천 《說文》 車弊皃。从巾單聲。《詩》曰:檀車幝幝。
o 수레가 낡아서 닳아진 모양이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單 홑 단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𢄐 옷보자기 몽 《說文》 蓋衣也。从巾冡聲。
幭 덮개 멸 《說文》 蓋幭也。从巾蔑聲。一曰襌被。
o 덮어씌우는 덮개를 가리킨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蔑 업신여길 멸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일설은 홑옷을 입다는 의미라고 본다.
幠 덮을 무, 속일 무, 덮을 호 《說文》 覆也。从巾無聲。
o 덮다(cover).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無 없을 무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飾 꾸밀 식, 경계할 칙 《說文》 㕞也。从巾从人,食聲。讀若式。一曰襐飾。
o 청소하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人 사람 인을 따르며, 食 밥 식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일설은 여자의 머리를 치장한다(decorate, ornament)는 의미로 본다.
o 饰는 간체자이다.
幃 휘장 위 《說文》 囊也。从巾韋聲。
o 향낭, 즉 향을 넣는 주머니를 가리킨다.
o 巾 수건 건을 다르고, 韋 다룸가죽 위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帣 자루 권, 멜빵 견 《說文》 囊也。今鹽官三斛為一帣。从巾𢍏聲。
帚 비 추 《說文》 糞也。从又持巾埽冂內。古者少康初作箕、帚、秫酒。少康,杜康也,葬長垣。
o 쓸다.
o 손(又)으로 헝겊(빗자루)을 잡고 집(冂) 안을 쓸고 있는 모양을 따른다.
o 옛날 키(箕), 빗자루(帚), 차조로 빗은 술을 처음 만든 사람은 소강(少康)이다.
o 소강은 달리 두강(杜康)이라고도 부르고, 장원(長垣)이라는 지방에 묻혀 있다.
o 갑골문이나 금문에서는 비(broom) 혹은 빗자루(broomstick)를 상형한다.
o 帚는 彐冖巾, 즉 彐 돼지머리 계와 冖 덮을 멱, 巾 수건 건으로 구성된다.
o 菷 비 추 箒 비 추는 동음동의이다.
席 자리 석 《說文》 籍也。《禮》:天子、諸侯席,有黼繡純飾。从巾,庶省。
o 바닥에 깔고 앉다.
o 《주례》에 따르면 천자, 제후가 앉는 자리는 여러 가지 색실로 그림이나 글자, 무늬 따위를 수놓고, 생사로 꾸민 장식이 있다.
o 巾 수건 건, 따르고, 庶 뭇 서의 생략형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갑골문을 보면 모직으로 만든 방석을 상형한다.
o 금문을 보면 厂 기슭 엄을 따르고, 방 안을 가리키므로, 방 안에 있는 방석을 의미한다.
o 고문(古文)에서는 石 돌 석의 생략형을 따르고, 안에는 방석에 새긴 문양을 나타낸다.
o 풀을 엮어 만든 자리(straw mat)는 蓆 자리 석이라 하고, 대오리로 엮어 만든 자리(bamboo mat)는 筵 대자리 연이라 한다.
幐 향주머니 등 《說文》 囊也。从巾朕聲。
𢅯 곡식자루 가득 담을 분 《說文》 以囊盛穀,大滿而裂也。从巾奮聲。
㡒 쌀자루 준 《說文》 載米𤲑也。从巾盾聲。讀若《易》屯卦之屯。
㠷 돗자리 갑 《說文》 蒲席𤲑也。从巾及聲。讀若蛤。
幩 재갈장식 분 《說文》 馬纏鑣扇汗也。从巾賁聲。《詩》曰:朱幩鑣鑣。
𢅼 칠할 론(논) 《說文》 𡎰地,以巾𢵢之。从巾夒聲。讀若水溫㬮也。一曰箸也。
帑 금고 탕, 처자 노 《說文》 金幣所藏也。从巾奴聲。
布 베 포, 펼 포, 보시 보 《說文》 枲織也。从巾父聲。
o 무명을 가리킨다.
o 마포(hemp cloth)를 가리킨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父 아버지 부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평민은 마포로 만든 옷을 입고 생활한다(古代平民穿麻布衣服)는 의미이다.
o 현재 사용하는 布는 𠂇巾, 즉 𠂇 왼 좌와 巾 수건 건으로 구성된다.
o 주로 布 펼 포로 쓰고, 포교(布敎)는 종교를 널리 편다는 의미이다.
幏 세마포, 세포 가 《說文》 南郡蠻夷賨布。从巾家聲。
o 남방에 사는 만이(蠻夷)가 조공으로 바치는 베를 가리킨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家 잡 가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세마포는 가는 삼실로 곱게 짠 피륙를 가리킨다.
㡉 베 이름 현 《說文》 布。出東萊。从巾弦聲。
o 베를 가리킨다.
o 동래(東萊)라는 지방에서 생산된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弦 활시위 현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㡔 수레 덮개 무 《說文》 䰍布也。一曰車上衡衣。从巾敄聲。讀若頊。
o 휴포(䰍布)를 가리킨다.
o 일설은 수레 위에 놓인 가로나무를 덮는 덮개(varnish-cloth used to cover the cross-bean in front of the shafts of a carriage)를 가리킨다고 본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敄 힘쓸 무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頊 삼갈 욱과 같게 발음한다.
幦 덮개 멱 《說文》 䰍布也。从巾辟聲。《周禮》曰:駹車大幦。
o 휴포(䰍布)를 가리킨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辟 임금 벽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주례》(周禮)에서 이르기를 방차대멱(駹車大幦)이라 한다.
㡇 옷깃 끝 첩, 옷깃 끝 접 《說文》 領耑也。从巾𦔮聲。
幢 기 당, 드리워진 모양 동 《說文》 旌旗之屬。从巾童聲。
o 정기(旌旗)의 일종이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童 아이 동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幟 기 치 《說文》 旌旗之屬。从巾戠聲。
o 정기(旌旗)의 일종이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戠 찱흑 치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旘 기 치는 같은 글자이다.
o 帜는 간체자이다.
帟 장막 역 《說文》 在上曰帟。从巾亦聲。
o 위가 보이지 않도록 막거나 가리는 장막을 帟 장막 역이라 한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亦 또 역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幗 머리 장식 괵, 여자의 모자 귁, 여자의 모자 괵 《說文》 婦人首飾。从巾國聲。
o 부인의 머리에 쓰는 장식(women's headgear)을 가리킨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國 나라 국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帼는 간체자이다.
幧 머리띠 조, 머리띠 초 《說文》 歛髮也。从巾喿聲。
o 머리에 감는 헝겊(a piece of cloth for binding man’s hairs)를 가리킨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喿 울 조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帒 자루 대, 산 이름 대 《說文》 囊也。从巾代聲。或从衣。
o 자루를 가리킨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代 대신할 대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혹설은 衣 옷 의를 따른다고 본다.
o 袋 자루 대는 같은 글자이다.
帊 휘장 파, 쓰개 파 《說文》 帛三幅曰帊。从巾巴聲。
o 피륙을 세 폭으로 이어서 빙 둘러치는 장막을 帊 휘장 파라 한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巴 꼬리 파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袙 휘장 파는 같은 글자이다.
幞 건 복, 보자기 복 《說文》 帊也。从巾菐聲。
o 머리띠를 가리킨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菐 번거로울 복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纀 머릿수건 복 袱 보 복 襆 보자기 복은 같은 글자이다.
幰 수레포장 헌, 수레 휘장 헌 《說文》 車幔也。从巾憲聲。
o 수레의 장막을 가리킨다.
o 巾 수건 건을 따르고, 憲 법 헌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巾(수건건)이 부수로 사용된 한자]
巿 슬갑 불 帀 두를 잡 市 저자 시 布 베 포 帆 돛 범 帊 쓰개 파 帍 여자 목수건 호 希 바랄 희 帕 머리띠 파, 휘장 첩 帛 비단 백 帗 모직 불 帙 책갑 질 帖 표제 첩 帚 비 추 帶 띠 대 帑 금고 탕, 처자 노 帣 자루 권 帤 걸레 녀(여) 帥 장수 수 帟 장막 역 帠 법 예 帝 임금 제 師 스승 사 席 자리 석 帨 수건 세 帩 묶을 초 帺 맬 기 帲 휘장 병 常 항상 상 帷 휘장 유 帳 휘장 장 帽 모자 모 幄 휘장 악 幃 휘장 위 幅 폭 폭 帿 과녁 후 幏 세포 가 幎 덮을 멱 幋횃댓보 반 幌 휘장 황 幕 막 막 幗 머리 장식 귁 幕 막 막 幔 막 만 幓 수레 휘장 삼 幛 포백 장 幘 건 책 幜 비단 경 幢 기 당 幠 덮을 무 幡 기 번 幞 건 복 幝 해진 모양 천 幟 기 치 幣 비단 폐 幦 수레의 덮개 멱 幩 재갈 장식 분 幧 머리띠 조 幨 휘장 첨 幪 덮을 몽 幫 도울 방 幬 휘장 주 幭 덮개 멸 幰 수레 포장 헌 幱 내리닫이 란(난)
[巾(수건 건)이 자부로 들어간 글자]
𢎭 활고자 건 㧆 덮을 근 䘜 수건 건
㼙 벽돌 추 䶓 길쌈할 제
吊 이를 적, 조상할 조 芇 몫을 걸 면
凧 연 궤
匝 돌 잡
㒼 평평할 만 爾 너이 䕥 잔대 니(이)
𡩅 집 가 㣇 털 긴 짐승 이, 털 긴 짐승 제
簚 수레 덮개 멱
斾 기 패 鉓 꾸밀 칙 飾(饰) 꾸밀 식, 경계할 칙 虛禮虛飾(허례허식) 銟 물고기 잡는 기구 차
[巾(수건 건)이 들어가 수건과 관련한 의미를 가지는 한자]
帀(币) 두를 잡
㠲 헝겊 비
帆(㠶) 돛 범
㠴 베갯잇 인
㠵 수건 황
帉 걸레 분
帊 쓰개 파
帍 여자 목수건 호
㠹 머리쓰개 개
[English] jīn
napkin, kerchief or towel
headgear
articles for dressing the hair
[유사한자] 巾巿市
巾 수건 건
巿 슬갑 불
市 저자 시
'第七' 카테고리의 다른 글
283. 帛 비단 백 (0) | 2021.08.27 |
---|---|
282. 巿 슬갑 불 (0) | 2021.08.27 |
280. 襾 덮을 아 (0) | 2021.08.22 |
279. 网 그물 망 (0) | 2021.08.22 |
278. 㒳 두 량, 냥 냥 (0) | 2021.08.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