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㼌也。象形。
o 오이가 덩굴에 주렁주렁 열려 있다.
o 상형문자이다.
o 금문을 보면 오이가 덩굴(蔓)에 달린 모양을 상형한다.
o 큰 오이를 瓜 오이 과라 하고, 작은 오이를 瓞 북치 질이라 한다.
o 瓜는 𠂆厶㇏, 즉 𠂆 당길 예와 厶 사사 사, ㇏ 미상으로 구성된다.
o 瓜 오이 과의 자획을 풀어서 나누면 八八이 되고, 八 여덟 팔이 두 개이므로 더하여(八+八) 16세를 가리키며, 16세이면 혼기에 이른 처녀라고 하여 과년(瓜年) 혹은 파과지년(破瓜之年)이라 한다.
o 남자의 경우에는 瓜 오이 과의 자획을 풀어서 나누면 八 여덟 팔이 두 개가 되며, 八八을 곱하여 六十四(64), 즉 64세를 벼슬에서 물러나는 나이로 보아 파과(破瓜)라 하고, 파과지경(破瓜之慶)은 큰 과오 없이 벼슬을 마치고 물러나게 된 경사를 일컫는다.
o 부수명칭은 「오이과」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うり(瓜)라 하고, 중국에서는 瓜字旁(과자방), 瓜字底(과자저)라 하며 영어로는 radical melon이라 한다.
[瓜部]
㼎 작은 오이 박 《說文》 小瓜也。从瓜交聲。
o 작은 오이를 가리킨다.
o 瓜 오이 과를 따르고, 交 사귈 교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瓞 북치 질 《說文》 㼎也。从瓜失聲。《詩》曰:緜緜瓜瓞。
o 그루갈이로 열린 작은 오이를 가리킨다.
o 瓜 오이 과를 따르고, 失 잃을 실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시경》에서 이르기를 면면과질(緜緜瓜瓞), 즉 오이덩굴의 끝에서 끊임없이 열매가 열리는 경우와 같이 자손이 만대까지 끊임없이 이어지기를 바란다고 한다.
𤬐 작은 오이 형 《說文》 小瓜也。从瓜,熒省聲。
𤬖 오이 요, 오이 소 《說文》 瓜也。从瓜,繇省聲。
瓣 외씨 판 《說文》 瓜中實。从瓜辡聲。
o 오이 속에 있는 씨, 즉 외씨이다.
o 瓜 오이 과를 따르고, 辡 따질 변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㼌 약할 유, 덩굴이 약할 유 《說文》 本不勝末,微弱也。从二瓜。讀若庾。
o 줄기가 지엽(枝葉)을 이기지 못하므로,미약하다는 의미이다.
o 두 개의 瓜 오이 과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오이가 주렁주렁 달린 모양(lot of melons growing but the root is weak and feeble)을 나타낸다.
o 庾 곳집 유와 같게 발음한다.
[瓜(오이 과)가 자부로 들어간 글자]
呱 울 고 坬 산비탈 과 孤 외로울 고 弧 활 호 㧓 끌 과 泒 옛 물 이름 고, 갈래 파 狐 여우 호 柧 모 고, 욋가지 외 胍 큰 배 고, 畖 땅 이름 와 蛌 땅강아지 고 觚 술잔 고, 홀로 고 𧵟 미상 軱 큰 뼈 고 鈲 철고 고, 갈이박 벽 䩝 무두질하는 장인 포 𩛃 미상 䱄 가자미 개
𪀅 재두루미 괄
苽 줄 고 窊 우묵할 와 罛 어망 고 笟 테 고
㽿 앓을 과
[English] guā
melons, gourds, cucumbers, etc.
[참고한자]
瓠 [hù] 표주박 호 《說文》 匏也。从瓜夸聲。 Makino bottle gourd
瓢 [piáo] 박 표 《說文》 蠡也。从瓠省,㶾聲。
[참고] 채소와 관련되는 한자
菜 나물 채 蔬 푸성귀 소 芥 겨자 개 薺 냉이 제 莧 비름 현 芹 미나리 근 蕨 고사리 궐 筍 죽순 순
[疊字] 瓜㼌
瓜 오이 과
㼌 약할 유, 덩굴이 약할 유
[유사한자] 瓜爪
瓜 오이 과
爪 손톱 조
'第七' 카테고리의 다른 글
269. 宀 집 면 (0) | 2021.08.20 |
---|---|
268. 瓠 표주박 호 (0) | 2021.08.20 |
266. 韭 부추 구 (0) | 2021.08.18 |
265. 耑 시초 단 (0) | 2021.08.18 |
264. 尗 콩 숙 (0) | 2021.08.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