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交覆深屋也。象形。
o 지붕으로 양쪽을 덮어서 만든 아늑한 집(house)를 가리킨다.
o 상형문자이다.
o 4면에 벽이 있고, 지붕과 큰방, 뒷방을 갖춘 높은 집(a type of deep house with walls on all four sides, a roof, a main hall, and back rooms)을 상형한다.
o 宀 집 면은 땅을 파고 만들어 지붕과 기둥이 있는 집을 가리키고, 广 집 엄은 벼랑이나 바위가 벽으로 되어 있는 집을 말한다.
o 宀은 丶冖 , 즉 丶 점 주와 冖 덮을 멱으로 구성된다.
o 부수로 사용될 때에는 갓(冠)과 비슷하므로 「갓머리」 혹은 「집면머리」로 불린다.
o 부수명칭은 일본에서는 카타카나의 ウ라는 글자와 비슷하므로 うかんむり(ウ冠 u-crown)하고, 중국에서는 寶 보배 보의 뚜껑으로 들어가므로 寶蓋頭(보개두)라 하며 영어로는 radical roof라 한다.
[宀部]
家 집 가 《說文》 居也。从宀,豭省聲。
o 집(home, domicile, dwelling place)을 가리킨다.
o 설문해자는 宀 집 면을 따르고, 豭 수퇘지 가(male pig, boar)의 생략형은 성부라고 본다.
o 설문해자는 형성문자라고 본다.
o 고문에서는 돼지가 집 안에 사는 모양을 상형하고, 상형문자로 볼 수 있다.
o 현재 사용되는 家는 宀豕, 즉 宀 집 면(roof)과 豕 돼지 시(pig)로 구성된다.
o 宊 집 가는 같은 글자이다.
o 흙으로 벽을 세우고 짚이나 갈대를 엮어서 지붕을 얹은 옛 집을 초가집이라 한다.
o 기와로 지붕을 이어 올린 집을 기와집이라 한다.
o 한 건물 내에 독립된 여러 가구가 거주할 수 있도록 고층으로 지은 공동주택을 아파트라 한다.
0 세계에서 가장 비싼 주택은 인도 뭄바이에 있는 암바니 무케시라고 하는 가족이 거주하는 27층짜리 안틸리아라고 불리는 저택이며, 연면적은 프랑스 파리 근교에 있는 베르사이유궁전보다 넓은 3만7천㎡이고, 높이는 27층이나 층고가 높아 실제로는 60층 건물과 같고, 시가는 2조원이라 한다.
宅 집 택, 댁 댁, 터질 탁 《說文》 所託也。从宀乇聲。
o 사람이 몸을 맡기고 사는 집(residence, house)을 가리킨다.
o 宀 집 면을 따르고, 乇 부탁할 탁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사람이 집 안에서 평온하게 사는 모양을 나타낸다.
o 㡯 집 택, 터질 탁 厇 댁 댁 度 살 택은 같은 글자이다.
室 집 실 《說文》 實也。从宀从至。至,所止也。
o 어떤 장소에 다다르다.
o 宀 집 면을 따르고, 至 이를 지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至 이를 지는 살고 있다, 묵다는 의미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사람이 집 안에서 살고 있는 모양 혹은 다리가 위에 있고 머리가 아래에 있으므로 방 안에서 누워 있는 모양을 나타낸다.
o 금문에서는 두 사람, 즉 부부가 집 안에서 산다는 의미로 臸 이를 진으로 쓰기도 한다.
宣 베풀 선 《說文》 天子宣室也。从宀𠄢聲。
o 천자가 거처하는 궁전(宮殿)을 가리킨다.
o 宀 집 면을 따르고, 亘 뻗칠 긍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기운이 자연스럽게 돌며 조화를 이루는 모양을 나타내고, 궁전에 사는 임금이 백성에게 널리 은혜를 베푼다는 의미이다.
向 향할 향, 성 상, 성씨 상 《說文》 北出牖也。从宀从口。《詩》曰 : 塞向墐戶。
o 북향으로 낸 바라지(window facing north)를 가리킨다.
o 宀 집 면을 따르고, 口 입 구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시경》에서 이르기를 새향근호(塞向墐戶), 즉 “북향으로 낸 창을 막고, 지게(마루에서 방으로 드나드는 외짝의 문)의 문틈을 진흙으로 바른다”고 한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궁궐의 벽면에 북쪽을 향하여 창문을 낸 모양을 나타낸다.
o 嚮 향할 향 曏 성씨 상은 같은 글자이다.
o 바라지는 방에 햇빛이 들도록 바람벽의 위쪽에 낸 작은 창을 가리킨다.
宧 방구석 이 《說文》 養也。室之東北隅,食所居。从宀𦣝聲。
o 기르다.
o 집에서 동북방향의 모퉁이(northeast corner of a house)를 가리키며, 음식을 먹고 거주하는 장소이다.
《尔雅》 东北隅谓之宧。
《이아》 동북우위지이。
o 햇빛이 들어 오는 장소라는 의미이다.
o 宀 집 면을 따르고, 𦣝 턱 이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頤 기를 이와 같은 글자이다.
𡧮 집동남모통이 요 《說文》 戶樞聲也。室之東南隅。从宀㫐聲。
奥 속 오, 따뜻할 욱, 깊을 오 《說文》 宛也。室之西南隅。从宀𢍏聲。
宛 굽을 완 《說文》 屈草自覆也。从宀夗聲。
宸 집 신 《說文》 屋宇也。从宀辰聲。
宇 집 우 《說文》 屋邊也。从宀于聲。《易》曰 : 上棟下宇。
o 본래는 처마(eaves)를 가리킨다.
o 宀 집 면을 따르고, 于 어조사 우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주역》에서 이르기를 상동하우(上棟下宇), 즉 위에는 대들보를 놓고, 아래에는 서까래를 대어 비와 바람을 막을 수 있는 튼튼한 집을 짓다고 한다.
o 㙑 집 우 㝢 집 우 㡰 집 우 穻 집 우는 같은 글자이다.
寷 큰 집 풍 《說文》 大屋也。从宀豐聲。《易》曰 : 寷其屋。
寏 둘러싼 담 환 《說文》 周垣也。从宀奐聲。
宏 클 굉 《說文》 屋深響也。从宀厷聲。
宖 집 울릴 횡, 클 굉 《說文》 屋響也。从宀弘聲。
寪 성 위 《說文》 屋皃。从宀為聲。
㝩 횅댕그렁할 강 《說文》 屋㝩㝗也。从宀康聲。
㝗 집이 텅비어 있는 모양 량(양) 《說文》 㝩也。从宀良聲。音良。
宬 서고 성 《說文》 屋所容受也。从宀成聲。
寍 편안할 녕(영) 《說文》 安也。从宀,心在皿上。人之飲食器,所以安人。
定 정할 정, 이마 정 《說文》 安也。从宀从正。
o 편안하다(settle).
o 바뀌거나 흔들리지 않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다(stable).
o 宀 집 면을 따르고, 正 바를 정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갑골문을 보면 위에 아늑한 집을 나타내는 宀 집 면이 있고, 집 안을 향하여 간다는 의미를 나타내는 止 발 지와 성의 주위에 파 놓은 못을 가리키는 囗 둘레 위가 있으므로, 병사가 전투가 종결되어 다시 자기가 살던 고향으로 돌아와 집 안에서 편안하게 살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o 㝎 정할 정은 동음동의이다.
寔 이 식 《說文》 止也。从宀是聲。
安 편안할 안, 편안 안 《說文》 靜也。从女在宀下。
o 고요하고 평화스럽다(peaceful).
o 宀 집 면 아래에 있는 女 여자 여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여자가 집 안에 조숙하게 생활하고 있으므로, 몸도 마음도 걱정이 없고 판안하며 좋다는 의미이다.
宓 성 복, 편안할 밀, 성씨 복, 잠잠할 밀 《說文》 安也。从宀必聲。
㝣 고요할 예 《說文》 靜也。从宀契聲。
宴 잔치 연 《說文》 安也。从宀妟聲。
o 편안하다.
o 사람을 초대하여 함께 음식을 먹고 술을 마시는 잔치(entertain at a banquet)를 가리킨다.
o 宀 집 면을 따르고, 妟 편안할 안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燕 잔치 연 讌 잔치 연 醼 잔치 연은 같은 글자이다.
𡧯 고요할 적 《說文》 無人聲。从宀尗聲。
察 살필 찰 《說文》 覆也。从宀、祭。
寴 친할 친 《說文》 至也。从宀親聲。
完 완전할 완 《說文》 全也。从宀元聲。古文以為寬字。
o 완전하다(whole, complete).
o 宀 집 면을 따르고, 元 으뜸 원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고문에서는 寬 너그러울 관과 같다.
富 가멸 부, 부유할 부 《說文》 備也。一曰厚也。从宀畐聲。
實 열매 실, 이를 지 《說文》 富也。从宀从貫。貫,貨貝也。
𡧖 감출 포 《說文》 藏也。从宀𡥀聲。𡥀,古文𠈃。《周書》曰 : 陳𡧖赤刀。
容 얼굴 용 《說文》 盛也。从宀、谷。
宂 쓸데없을 용 《說文》 㪔也。从宀,人在屋下,無田事。《周書》曰 : 宮中之穴食。
𡫛 보이지 않을 면 《說文》 𦤝𦤝,不見也。一曰𦤝𦤝,不見省人。从宀𦤝聲。
寶 보배 보 《說文》 珍也。从宀从王从貝,缶聲。
宭 여럿이 살 군 《說文》 羣居也。从宀君聲。
宦 벼슬 환 《說文》 仕也。从宀从臣。
宰 벼슬아치 재, 재상 재 《說文》 辠人在屋下執事者。从宀从辛。辛,辠也。
o 가노(家奴 slave) 혹은 종으로서 집 안에서 일을 맡아 처리하는 죄인이다.
o 날카로운 도구(辛 䇂)로 이마에 묵형을 새긴 죄인이 집 안에서 가사를 처리한다는 의미이다.
o 일설은 고대중국에서 귀족집안의 가사를 맡아 처리하는 집사나 노예를 총괄하는 관리를 가리킨다고 본다.
o 宀 집 면을 따르고, 辛 매울 신을 따른다.
o 辛 매울 신은 辠 허물 죄와 같은 의미이다.
守 지킬 수, 벼슬이름 수 《說文》 守官也。从宀从寸。寺府之事者。从寸。寸,法度也。
o 지키는 관리를 뜻한다.
o 宀 집 면(roof, building)을 따르고, 寸 마디 촌(hand)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절(寺)을 관리하는 관아에서 일을 하는 사람이다.
o 宀 집 면은 지키는 사람이 근무하는 건물을 나타낸다.
o 寸 마디 촌을 따르고, 寸 마디 촌은 법도(法度)를 뜻한다.
o 㝊 지킬 수는 같은 글자이다.
o 垨 지킬 수도 같은 의미이다.
寵 괼 총 《說文》 尊居也。从宀龍聲。
宥 용서할 유 《說文》 寬也。从宀有聲。
o 너그럽게 용서하다.
o 宀 집 면을 따르고, 有 있을 유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금문을 보면 손에 고기를 들고 가서 용서를 비는 모양을 나타낸다.
宐 마땅할 의 《說文》 所安也。从宀之下,一之上,多省聲。
寫 베낄 사, 부릴 사 《說文》 置物也。从宀舄聲。
o 물건을 내버려 두다.
o 宀 집 면을 따르고, 舄 신 석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宵 밤 소, 닮을 초 《說文》 夜也。从宀,宀下冥也;肖聲。
o 밤(night, evening)이다.
o 宀 집 면을 따르고, 집 안이 어둡다(dark)는 의미이다.
o 肖 꺼질 초는 성부이다.
o 정월 보름을 명절로 일컬어 元宵節(원소절 Lantern Festival)이라 하고, 중국에서는 원소절을 맞아 축제를 할 때에 어두운 밤을 밝히는 등롱(灯籠)을 아름답게 꾸며 내걸고, 경단을 먹는 풍습이 있다.
宿 묵을 숙, 잘 숙, 별자리 수, 고을 이름 척 《說文》 止也。从宀佰聲。
o 묵다는 뜻이다.
o 宀 집 면을 따르고, 佰 일백 백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㝛 묵을 숙도 같은 글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사람이 대나무로 만든 자리(bamboo mat) 위에 누워 자고 있는 모습 혹은 집 안에서 사람이 자리 위에 누워 있는 모습을 상형한다.
o 대나무로 만든 자리는 초기에는 㐁 핥을 첨으로 표현되다가 후에는 百 일백 백을 사용하게 된다.
o 㝛은 집을 나타내는 宀 집 면(house)과 사람을 나타내는 人 사람 인(person), 사람이 피곤하거나 잘 때에 눕는 자리를 나타내는 㐁 핥을 첨(mat)로 구성되고, 회의문자이다.
o 宿은 집을 나타내는 宀 집 면과 사람을 나타내는 人 사람 인, 사람이 피곤하거나 잘 때에 눕는 자리를 나타내는 百 일백 백으로 구성되고, 회의문자이다.
寑 잠잘 침 《說文》 臥也。从宀钅聲鲞。
𡧍 알지 못하는 사이에 합할 면 《說文》 冥合也。从宀丏聲。讀若《周書》若藥不眄眩。
寬 너그러울 관 《說文》 屋寬大也。从宀萈聲。
o 집이 넓고 크다(broad, wide).
o 마음이 넓고 남을 헤아리는 아량이 크다는 의미이다.
o 宀 집 면을 따르고, 萈 뿔이 가는 산양 환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宽은 간체자이다.
𡨂 잠깰 오 《說文》 寤也。从宀吾聲。
寁 빠를 잠 《說文》 居之速也。从宀疌聲。
寡 적을 과 《說文》 少也。从宀从頒。頒,分賦也,故為少。
o 적다.
o 宀 집 면을 따르고, 頒 나눌 반을 따른다.
o 頒 나눌 반은 세금이나 부역 따위를 몇 차례로 나누어서 부과한다는 의미이므로, 少 적을 소와 같은 의미로 쓰인다.
o 寡 홀어미 과(widow)로도 쓰이고, 남편이 죽은 후에 재가하지 않은 부인을 가리킨다.
o 금문을 보면 상처한 여인이 집을 홀로 지키고 있는 모습을 상형한다.
客 손 객 《說文》 寄也。从宀各聲。
o 붙여 살다, 임시로 얹혀 살다(live away from home).
o 宀 집 면을 따르고, 各 각각 각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寄 부칠 기 《說文》 託也。从宀奇聲。
o 집을 떠나 다른 사람에 의탁하다(live away from home).
o 붙여 살다, 임시로 얹혀 살다.
o 宀 집 면을 따르고, 奇 기특할 기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寓 머무를 우, 부칠 우 《說文》 寄也。从宀禺聲。
o 붙어 살다(live away from home).
o 宀 집 면을 따르고, 禺 어리석을 옹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庽 부칠 우는 같은 글자이다.
寠 가난할 구, 무덤 루, 작을 루 《說文》 無禮居也。从宀婁聲。
㝌 병들 구 《說文》 貧病也。从宀久聲。《詩》曰 : 煢煢在㝌。
寒 찰 한 《說文》 凍也。从人在宀下,以茻薦覆之,下有仌。
o 언다, 춥다는 뜻이다.
o 집(宀) 아래 사람(人)이 있는 모양을 따르고, 茻 우거질 망으로 薦 천거할 천을 거꾸로 한 글자를 쓰고, 아래에는 仌 얼음 빙이 있다.
o 금문에서는 집을 나타내는 宀 집 면(house), 사람을 나타내는 人 사람 인(person), 풀을 나타내는 茻 우거질 망(grass)으로 구성되고, 회의문자이며, 집 안에 있는 사람이 추위를 피하기 위하여 풀 속에서 잠을 잔다는 의미이다.
o 금문을 보면 밑에 二 두 이가 추가된 글자도 있고, 二 두 이는 그냥 장식을 가리키거나, 혹은 바닥에 깔린 깔개(mat)를 의미한다고 본다.
o 설문해자에 쓰인 전서(篆書)에서는 二 두 이가 仌 얼음 빙으로 변경되고, 仌 얼음 빙은 추위(coldness)를 강조하는 표시이다.
害 해칠 해 《說文》 傷也。从宀从口。宀、口,言从家起也。丯聲。
o 해치다.
o 宀 집 면을 따르고, 口 입구를 따른다.
o 宀 집 면과 口 입 구를 합하여 말이 집으로부터 나온다는 의미이고, 말이 왕왕 손해(damage, harm)를 초래하는 근원이 되므로, 해치다(injure)는 의미가 된다.
o 회의문자이다.
o 丯 산란할 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라고도 본다.
o 동해보복(同害報復)은 피해를 입은 사람이 받은 상처 및 손해와 정확히 똑같은 벌을 죄인에게 주도록 한 원칙(lex talionis, law of retaliation)를 가리킨다.
血債血償(혈채혈상)
피의 빚은 피로 갚아야 한다. 殺人償命 血債血還(살인상명 혈채혈환)은 사람을 죽이면 목숨으로 갚아야 하고, 피의 빚은 피로 갚아야 한다는 의미이다. 동해보복(同害報復)을 의미한다. Debts of bl
hanzischool.tistory.com
𡩡 집에 들어가 찾을 색 《說文》 入家𢯱也。从宀索聲。
𡫬 궁할 국 《說文》 窮也。从宀𥱩聲。𥱩與𥷤同。
宄 도둑 귀, 도둑 궤 《說文》 姦也。外為盜,內為宄。从宀九聲。讀若軌。
㝮 변방 최 《說文》 塞也。从宀𠭥聲。讀若《虞書》曰 㝮三苗之㝮。
宕 방탕할 탕, 호탕할 탕 《說文》 過也。一曰洞屋。从宀,碭省聲。汝南項有宕鄉。
宋 송나라 송, 성씨 송 《說文》 居也。从宀从木。讀若送。
o 자리를 잡고 살다.
o 宀 집 면을 따르고, 木 나무 목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送 보낼 송과 같게 발음한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집의 주위에 나무가 자라고 있으므로, 사람이 거주한다는 의미이다.
𡪐 지붕물매 점 《說文》 屋傾下也。从宀執聲。
宗 마루 종 《說文》 尊祖廟也。从宀从示。
o 선조의 신주를 모신 사당(ancestral temple)에서 제사를 지내다.
o 宀 집 면을 따르고, 示 보일 시를 따른다.
o 示 보일 시는 제사를 지내는 제단(祭壇)을 나타낸다.
o 회의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조상의 신주를 모신 제단이 사당 안에 있는 모양을 상형한다.
宔 신주 주 《說文》 宗廟宔祏。从宀主聲。
o 종묘에서 감실에 모시는 신주를 가리킨다.
o 宀 집 면을 따르고, 主 주인 주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砫 돌 감실 주는 같은 글자이다.
宙 집 주 《說文》 舟輿所極覆也。从宀由聲。
o 배와 수레가 끝까지 간 후에 되돌아오다.
o 宀 집 면을 따르고, 由 말미암을 유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예로부터 지금까지를 宙 집 주라 하고, 동서남북의 사방과 상하는 宇 집 우라 한다.
刘安 《淮南子 齐俗》 往古来今谓之宙,四方上下谓之宇。
유안 《회남자 제속》 왕고래금위지주,사방상하위지우。
o 鈾 집 주는 같은 글자이다.
寘 둘 치, 메울 전 《說文》 置也。从宀眞聲。
o 두다.
o 宀 집 면을 따르고, 眞 참 진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寰 기내 환, 경기 고을 환, 고을 현 《說文》 王者封畿內縣也。从宀瞏聲。
o 임금이 직할하는 경기 내에 있는 고을을 가리킨다.
o 宀 집 면을 따르고, 瞏 놀라서 볼 경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縣 고을 현은 같은 글자이다.
寀 녹봉 채 《說文》 同地為寀。从宀采聲。
o 고대중국에서 제왕이 신하에게 내린 토지를 寀 녹봉 채라 한다.
o 宀 집 면을 따르고, 采 풍채 채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宀(갓머리)가 부수로 들어간 한자]
宄 도둑 귀 它 다를 타, 뱀 사 宂 쓸데없을 용 守 지킬 수 安 편안할 안 宅 집 택 完 완전할 완 官 벼슬 관 定 정할 정 宗 마루 종 客 손 객 宣 베풀 선 室 집 실 家 집 가 宮 집 궁 容 얼굴 용 害 해칠 해 實 열매 실 寄 부칠 기 密 빽빽할 밀 宿 묵을 숙 富 가멸 부 寒 찰 한 察 살필 찰 寢 잠잘 침 寫 베낄 사 寶 보배 보
[宀(집 면)이 자부로 들어간 글자]
穴 구멍 혈, 굴 휼 字 글자 자 㲾 비 우 灾 재앙 재 牢 우리 뢰(뇌), 깎을 루(누), 뒤져 빼앗을 로(노) 亡羊補牢(망양보뢰) 亡牛補牢(망우보뢰) 梥 소나무 송 賔 손 빈 賓 손 빈 䥌 증거 증
𤡛 미상 㺙 미상 𥢃 미상 𤪓 미상
𦣙 미상 𥘀 미상
𧁸 미상
[English] mián
roof
a type of deep house with walls on all four sides, a roof, a main hall, and back rooms
a kind of flower
[同意漢字]
屋(→尸 주검시) 집 옥
堂 집 당
舍 집 사
邸 집 저
室 집 실
齋 집 재, 재계할 재
軒 집 헌, 추녀 헌
院 집 원, 당 원
[유사한자] 宀冖亠
宀 집 면
冖 덮을 멱
亠 돼지해머리 두
'第七' 카테고리의 다른 글
271. 呂 등뼈 려 (0) | 2021.08.20 |
---|---|
270. 宮 집 궁 (0) | 2021.08.20 |
268. 瓠 표주박 호 (0) | 2021.08.20 |
267. 瓜 오이 과 (0) | 2021.08.20 |
266. 韭 부추 구 (0) | 2021.08.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