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七

241. 夕 저녁 석

by kimlaw 2021. 7. 31.

《說文》 莫也。从月半見。
o 저물다.
o 저녁(evening, night)을 가리킨다.
o 달이 반쯤 보이는 모양을 따른다.

반달

o 상형문자이다.

설문해자
周-毛公鼎

o 반달을 상형하며, 초승달(moon crescent)을 본뜬 月 달 월과 비슷한 모양이다.

o 본래 저녁은 해가 뉘엿뉘엿하여 어두워질 무렵(sunset, dusk), 즉 황혼(黃昏)을 가리킨다.

일몰

o 夕은 𠂊丶, 즉 𠂊 미상과 丶 점 주로 구성된다.

당-안진경

o 穸 광중 석과 같은 의미로도 쓰이고, 광중(壙中 the gloom of the grave)은 시체가 놓이는 무덤의 구덩이를 가리킨다.
o 부수명칭은 「저녁석」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ゆうべ(夕ベ), ゆう(夕), 가타카나에서 タ와 비슷하므로 た라고 하고, 영어로는 radical evening이라 한다.

[夕部]
夜 밤 야 《說文》 舍也。天下休舍也。从夕,亦省聲。
o 쉬다.
o 천하가 휴식하다.
o 夕 저녁 석을 따르고, 亦 또 역의 생략형은 성부이다.

周中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夜는 亠亻夕, 즉 亠 돼지해머리 두와 亻 사람 인, 夕 저녁 석으로 구성된다.
o 晝 낮 주에 상대되는 글자이고, 낮에는 일을 하고 밤이 되면 쉬므로, 원의(原義)에서 가차되어 현재는 주로 夜 밤 야로 쓰인다.
o 亱 밤 야는 같은 글자이다.
夢 꿈 몽 《說文》 不明也。从夕,瞢省聲。
o 분명하거나 확실하지가 않다.
o 夕 저녁 석을 따르고, 瞢 어두울 몽의 생략형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에서는 침상에 누워 잠을 자면서 꿈을 꾸고 있는 모습을 상형한다.

商-殷墟甲骨文

o 갑골문을 보면 나뭇조각 장, 잡을 극, 눈 목을 따르고, 사람이 침대 위에 누워 있는 모양(a person lying on a bed)을 따르고, (hand )과 눈(eye )을 강조하고 있다.

o () 위에 눈썹(eyebrow)이 강조되고, 아래에 사람(person's body)누워 있는 모양으로 된 글자도 있다.

商-殷墟甲骨文

o 후에는 침대를 의미한 나뭇조각 장이 없어지고, 저녁 석이 대신하게 된다.

o 현재 사용하는 夢 꿈 몽은 눈썹(eyebrow)을 나타내는 艹 초두머리 초(혹은卝 쌍상투 관), 눈(eye)을 가리키는 罒 눈 목, 사람(person's body)을 나타내는 冖 덮을 멱이 있고, 아래에는 夕 저녁 석이 그대로 남아 있다.

o 夢은 苜宀夕, 즉 苜 거여목 목과 冖 덮을 멱, 夕 저녁 석으로 구성된다고 보기도 한다.

o 강희자전이나 중국, 한국, 일본에서는 초두머리 초(grass)를 쓰나, 대만이나 홍콩에서는 쌍상투 관(crown, hairstyle)을 쓴다.
o 㝱 꿈 몽은 같은 글자이고, 방안을 나타내는 宀 집 면과 침상을 나타내는 爿 나뭇조각 장, 夢 꿈 몽으로 구성되므로, 방안에 있는 침상에 누워 잠을 자다가 꿈을 꾼다는 의미이다.

설문해자
清-邓石如

o 夣 꿈 몽은 같은 글자이다.
o 梦은 간체자이다.
夗 누워 딩굴 원 《說文》 轉臥也。从夕从卪。臥有卪也。
o 누워 딩굴다(turn over when asleep).
o 夕 저녁 석을 따르고, 卪 병부 절을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누워 있기도 하고 굽히기도 한다는 의미이다.
o 夕 저녁 석은 누워 있는 모습이고, 卪 병부 절은 굽히고 있는 모습이므로, 잠을 똑바로 누워 자기도 하고, 몸을 뒤척이며 굽히기도 한다는 의미이다.

周早
周中

o 夘 누워 딩굴 원은 동음동의이다.
夤 조심할 인 《說文》 敬惕也。从夕寅聲。
o 공경하다(respect).
o 夕 저녁 석을 따르고, 寅 범 인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夝 맑을 청 《說文》 雨而夜除星見也。从夕生聲。
外 밖 외 《說文》 遠也。卜尚平旦,今夕卜,於事外矣。
o 멀다.
o 夕 저녁 석을 따르고, 卜 점 복을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저녁에 점을 치다는 의미이고, 점은 보통 날이 밟은 대낮에 치지만(白天占卜), 外 밖 외에서는 저녁에 점을 치는 모양이므로, 밖에 무슨 일이 생겨 급히 길흉을 점쳐야 한다는 의미이다.

商-殷墟甲骨文
商-殷墟甲骨文
周中

o 内 안 내에 상대되는 글자이고, 주로 外 밖 외(outside, outer)로 쓴다.
o 㚈 어그러질 천과 혼동하기 쉬우나, 서로 다른 글자이다.
o 𠰻 발어사 외 𢫑 들 증  迯 도망할 도  䀤 강샘할 무 夞 땅 이름 욋 㔰 항상 항, 반달 긍은 外 밖 외가 자부로 들어간 글자이다.
夙 이를 숙, 일찍 숙 《說文》 早敬也。从丮,持事;雖夕不休:早敬者也。

o 새벽(early in morning)에 일찍 공경(恭敬)하다.

o 잡을 극을 따르고, 중요한 일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비록 저녁이라고 하더라도 쉬지 아니하므로, 조경(早敬)할 수 있다.

o 갑골문을 보면 달 월(moon), 잡을 극을 따르고, 사람이 달을 잡고 있는 모습( man holding the moon)을 나타내며, 아마도 달에 대한 공경(worship)을 표현한다고 본다.

周早
周晩

o 혹은 사람이 달이 아직 넘어가지 않은 새벽까지 달 아래에서 열심히 일을 하다(a person working under the moon in the early morning when the moon has not set)는 의미로 보기도 한다.

周中

o 금문에서는 달 월을 대신하여 저녁 석을 쓰기도 한다.

o 잡을 극은 무릇 범 혹은 안석 궤로 변한다.

o 几歹, 안석 궤와 살 발린 뼈 알로 구성된다.

𡖶 고요할 맥, 적막할 맥 《說文》 𡧯也。从夕莫聲。

[夕(저녁석)이 부수로 들어간 글자]
外 밖 외 多 많을 다 夙 일찍 숙 夜 밤 야 夠 모을 구 夥 많을 과 夢 꿈 몽 夤 조심할 인

[夕(저녁 석)이 자부로 들어간 글자]
㐴 더위잡을 반 汐 조수 석, 빠를 계, 빠를 혈  𣏐 구기 작  㶤 볶을 초  矽 규소 석 釸 규소 석 邜 돌아누울 석
舛 어그러질 천 斘 오를 승 飧 저녁밥 손
名 이름 명 𧥧 미상
歹 살 바른 뼈 알, 몹쓸 대 㒱 꿈 몽  歺 살 바른 뼈 알  岁 해 세  芕 고수 나물 유 㱑 해 세  穸 광중 석 罗 벌일 라(나), 그물 라(나) 㱔 적을 사 梦 꿈 몽
匇 미상
奖 장려할 장  桨 상앗대 장 浆 즙 장  酱 장 장
䇟 힘줄 건
摉 찾을 수

[English] xī
dusk
sunset
evening, night
slant
oblique
meet in the evening

[疊字] 夕多
夕 저녁 석 sunset
多 [duō] 많을 다 《說文》 重也。从重夕。夕者,相繹也,故爲多。重夕爲多,重日爲曡。

[同義漢字]
暮 저물 모
昏 어두울 혼
晩 저물 만

[유사한자] 夕歹
夕 저녁 석
歹 살 바른 뼈 알, 몹쓸 대

[참고] 夕(저녁 석)이 들어간 한자
氵+夕 = 汐 저녁 조수 식
罒+夕 = 罗 벌일 라(그물 라)
夕+夕 = 多 많을 다
石+夕 = 矽 규소 석
夕+阝 = 邜 둘아누울 석
夕+食 = 飧 저녁밥 손
一+夕 = 歹 살 바른 뼈 알
夕+卜 = 外 바깥 외
林+夕 = 梦 꿈 몽
山+夕 = 岁 해 세
艹+夕 = 芕 고수 나물 유
金+夕 = 釸 규소 석
夕+口 = 名 이름 명

[성어]

命在朝夕(명재조석) [mìng zài zhāo xī]
목숨이 경각에 달려있다.
거의 숨이 끊어질 지경에 이르다.

班固(东汉) 《汉书 龚胜传》 素愚,加以年老被病,命在朝夕,随使君上道,必死道路。
반고(동한) 《한서 공성전》 소우,가이년로피병,명재조석,수사군상도,필사도로。

'第七'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3. 毌 꿰뚫을 관  (0) 2021.07.31
242. 多 많을 다  (0) 2021.07.31
240. 囧 창 창, 빛날 경  (0) 2021.07.31
239. 朙 밝을 명  (0) 2021.07.31
238. 有 있을 유  (0) 2021.07.31

댓글